[醫宗損益]의 編制 비교를 통한 간행시기 연구(1)
상태바
[醫宗損益]의 編制 비교를 통한 간행시기 연구(1)
  • 승인 2020.01.18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mjmedi@mjmedi.com


임상 한의사 3인이 연구한 황도순-황도연(50)

Ⅰ. 서론

그동안 한의서를 대상으로 編制에 대한 연구가 종종 진행되어 왔는데 아직까지 <醫宗損益>의 編制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다. 이번 호에서는 그동안 수집하고 조사한 <醫宗損益>의 編制를 비교하여 간행에 대한 계통을 재정리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Ⅱ. 본론

<醫宗損益>은 跋文의 유무에 따라 크게 초기본과 후기본으로 나눌 수 있고, 嬰兒初生救急 凡十八條 항목의 유무에 따라 다시 초기1본, 2본과 후기1본, 2본, 3본으로 나눌 수 있다(표 1). 다만 여기서의 초기와 후기는 간행년도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판각의 補刻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임을 밝힌다.

 

1. 초기본과 후기본의 차이

초기본에는 혜암의 跋文이 없고, 후기본에는 발문이 있다(그림 1). 跋文의 匡郭을 자세히 살펴보면 上下匡郭에 틈새를 발견할 수 있는데(그림 2), 이를 통해 후기본이 발문을 보각하였기 때문에 匡郭에 틈새가 생긴 것임을 알 수 있다.

 

2. 초기1본과 2본의 차이

跋文이 없어서 초기본에 해당하는데, 卷十一 末尾에 嬰兒初生救急 凡十八條의 유무에 따라 초기1본과 초기2본으로 구분할 수 있다. 嬰兒初生救急 凡十八條의 匡郭을 자세히 살펴보면 괘선이 어그러져 있고, 上下匡郭에 틈새도 발견할 수 있다(그림 3). 따라서 (가)판이 초기1본이고, (나)판이 초기2본임을 알 수 있다. 초기1본으로는 필자 소장본1)이 있고, 초기2본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청구기호 (고)615.32 의종손-6) 소장본2)과 필자 소장본3)이 있다.

 

3. 후기1본, 2본, 3본의 차이

跋文이 있어서 후기본에 해당하는데, 惠庵別号叙(小像)의 유무 차이와, 嬰兒初生救急 凡十八條의 유무 차이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惠庵別号叙(小像)가 있는 경우가 후기본 가운데 앞서는데, 嬰兒初生救急 凡十八條가 없는 경우는 후기1본, 嬰兒初生救急 凡十八條가 있는 경우는 후기2본에 해당한다. 후기1본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청구기호 육당 C6 A8 1) 소장본4)이 있는데, 이 책은 육당 최남선이 소장하던 것이 후손에 의해 고려대학교에 기증된 것이다. 후기2본은 일본 杏雨書屋 소장본5)이 있는데, 이 책은 三木榮이 소장하던 것이 그의 아들에 의해 杏雨書屋에 기증된 것이다. 惠庵別号叙(小像)가 없는 경우 후기3본에 해당하는데, 嬰兒初生救急 凡十八條 또한 補刻되어 있다. 후기3본은 강은진 소장본6), 송재웅 소장본7), 필자 소장본8) 등이 있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醫宗損益>은 후기3본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1. 惠庵, 醫宗損益, 최순화 소장.

2. 惠庵, 醫宗損益,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3. 惠庵, 醫宗損益, 최순화 소장.

4. 惠庵, 醫宗損益,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5. 惠庵, 醫宗損益, 일본 杏雨書屋 소장.

6. 惠庵, 醫宗損益, 강은진 소장.

7. 惠庵, 醫宗損益, 송재웅 소장.

8. 惠庵, 醫宗損益, 한기춘 소장.

(다음 호에)

 

한기춘·서정철·최순화 / mc맥한의원·우리경희한의원·보광한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