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의 임상8체질] 체질이란 말의 역사
상태바
[이강재의 임상8체질] 체질이란 말의 역사
  • 승인 2019.11.16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강재

이강재

mjmedi@mjmedi.com


8체질의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_3

KBO리그1)에서 활약하다가 일본프로야구(NPB)에 진출한 이승엽(李承燁)2)은, 일본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옮긴 첫 시즌인 2006년에, 5월 30일까지 홈런을 13개 쳤는데 그 중 10개를 돔구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터뜨렸다. 돔구장에서는 기압이 낮아 타구가 날아가는 거리가 늘어나게 되어 힘이 좋은 이승엽에게 유리하다니 돔구장은 이승엽과 궁합이 잘 맞는 것처럼 보인다. 이 내용은 스포츠조선에 ‘이승엽, 난 돔구장 체질’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그런데 정작 기사 중에는 체질이란 말이 보이지 않고 제목에만 들어가 있다. 돔구장 체질이란 이를테면 ‘돔구장에서 특히 강해’라는 뜻이니, 이때 체질은 ‘어떤 개인의 특성을 표현하는’ 말로, 기자가 별 고민 없이 쉽게 썼거나 기사를 검토한 데스크(Desk)가 넣었을 수도 있다.

 

(1) 일제시대의 체질(體質)

체질이 신문(新聞)에서 사용되었던 역사를 일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본다. 1934년 4월 11일자 동아일보에, ‘의학상으로 본 스포쓰만의 체질’이라는 기사가 있다. 스포츠에 진출한 여성의 골반 크기에 관한 유럽 학자들의 상반된 견해를 주로 소개하는 내용인데, 제목에 쓰인 체질은 스포츠를 하는 사람들의 체격과 건강 성향을 뜻한다. 1930년을 전후한 시대의 다른 기사를 보면, 체질에 맞지 않는 피서지의 선택(1927. 7. 16. 중외), 체질의 유전(1928. 7. 7. 중외), 폐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1929. 11. 25. 동아), 체질에 맞는 직업의 선택(1930. 9. 17. 중외), 체질에 맞는 비타민(1932. 9. 20. 동아), 육아법과 체질(1939. 11. 1. 동아) 등 체질은 개인에게 고정된 특별한 성질이라는 의미를 품고 있다.

 

(2) 체질개선(體質改善)

이 시대에는 체질과 더불어 ‘체질개선’이라는 말도 있었다. 체질개선이라는 말은 1927년 5월 1일에 나온 『동광』 제13호에 실린 진동성의 ‘체육의 목적’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선병질의 체질개선(1933. 9. 21. 동아), 허약체질 개선(1935. 6. 25. 동아), 피부가 약한 아이는 체질개선(1938. 6. 23. 동아)처럼 체질개선도 체질이 쓰이던 시기에 널리 쓰였다. 또 1958년 9월 18일 동아일보 기사에는 “고혈압체질을 당대에 개선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 있다. 이 무렵까지는 체질개선을 사람의 몸과 관련하여 치료와 보건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렇게 하다가 경제 체질개선(1961. 2. 10. 동아), 중소기업 체질개선(1961. 7. 31. 동아), 정당의 체질개선(1962. 8. 23. 경향) 등과 같이 기업이나 조직의 잘못된 분위기나 관행 따위를 바꾸고 고친다는 뜻으로 체질개선이 사회 전반에서 다양하게 쓰이기 시작했다.

이후에 이 말이 회자(膾炙)되고 유행(流行)하면서 ‘체질을 바꾸고 고칠 수 있다’는 인식이 대중 속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체질이란 말은 언제 시작된 것일까.

 

(3) 일본의 번역사업

일찍이 일본(日本)은 서양의 문물과 지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고, 그것을 자신들의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이 각 방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8세기에서 19세기 중반에는 네덜란드어로 된 문헌에 대한 번역을, 19세기 중반 이후에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자료를 주로 번역하였다. 1868년에 시작된 메이지유신 이후에 서양의 여러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지식인을 동원하였는데, 원로원과 대장성 등 중앙정부기관에 설치된 번역국이 번역사업을 주관하였다. 이러한 과정 중에 서양의학의 전염병학(傳染病學)에, 동일한 원인이라도 개인에 따라3) 질병의 양상(病狀)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인식이 있었다. 일본의 번역가는 이런 개인의 특징을 ‘체질(體質)’이라고 번역하였는데, 병상이 다른 이유를 체질의 차이 때문이라고 본 것이다. 일제(日帝)가 한반도(韓半島)를 강점한 시대에 ‘번역어인 체질’이 한반도로 들어왔다. 그리고 대중은 이 말을 빠르게 흡수하였다.

 

(4) 전통한의학에서 찾은 체질

전통한의학에서 체질은 익숙한 말이 아니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구축한 한의고전명저총서(http://jisik.kiom.re.kr.)를 검색하여 체질이 쓰인 책을 몇 가지 찾았다. 중국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 중 하간학파(河間學派)의 시조인 유완소(劉完素 1110~1200)가 남긴 저작 중에 『상한직격(傷寒直格)』이 있다. 여기에 ‘體質本虛(체질이 본디 허약하여)’라는 표현이 나온다.

또 원나라 남풍의 의학교수이던 위역림(危亦林)이 1328년에서 1337년 사이에 편찬한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에는 ‘元氣虛則體質怯弱(원기가 허하면 체질이 겁이 많고 마음이 약하다)’는 구절이 있다.

『임증지남의안(臨證指南醫案)』은 청나라 때의 명의(名醫) 섭계(葉桂 1666~1745)의 임상례를 중심으로, 스승의 사후에 제자 화수운(華岫雲) 등이 수집 정리하여 1766년에 간행한 의서이다. 이 책에 비로소 개인이 나타내는 병리적인 특징과 연관하여 체질을 사용한 기록이 보인다. 陽虛體質(양허체질), 陰虛體質(음허체질), 木火體質(목화체질) 등으로 쓴 것이다. 또한 이 책에서는 질병의 상태를 판단하고 치료의 방법을 결정할 때 체질이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하고 있다.

『임증지남의안』은 전통한의학의 역사에서 체질이라는 말을 개인이 가지고 있는 병리적 특성과 연결해서 적극적으로 쓰고 있는 중요한 출전(出典)이다. 그런데 이 시기의 중국(淸)에는 서양의학이 들어와서 중의(中醫)와 서의(西醫)가 서로 충돌되는 국면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체질이라는 용어가 한반도로 들어와서 유행을 주도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5) 혜강(惠崗) 최한기(崔漢綺)

한반도에서는 기철학론(氣哲學論)을 제창한 조선 후기의 사상가 최한기(1803~1877)가 1866년에 편찬한 의서(醫書)인 『신기천험(身機踐驗)』에 ‘體質素虛(체질이 본디 약하여)’란 표현이 나온다. 선대(先代)4)로부터 물려받은 많은 재산을 모두 책을 사 모으는 데 써버렸다는 혜강은, 당대에 중국의학계에서 진행되던 동서양의학의 논쟁과정을 관찰하고 서양의학에 관한 서적을 구하여 연구하였으며, 자신이 세운 철학적 기초 위에서 서양의학의 내용을 이 책에 담았다.

혜강은 중국 책을 많이 보았기 때문에 책에 체질이라고 쓴 것은 아마도 중국 책에서 참고한 것이 아닌가 짐작한다.

 

(6)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

조선이 열강의 틈에서 신음하던 때에 동무 이제마(1837~1900)는 사람의 다름에 대해서 치열하게 고민했다. 그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을 통해 제시한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네 가지 유형에 따라 후인들은 이제마가 만든 새로운 체계를 사상의학(四象醫學)5)이라고 불렀다.

 

(7) 혈액형(血液型) 그리고 기질(氣質)

1901년에 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 1868~1943)는 사람의 혈액이 섞이면 응집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ABO식 혈액형을 발견하였다. 일본의 교육학자이자 심리학자인 후루카와 다케이치(古川竹二 1891~1940)는 1927년에,「혈액형에 의한 기질연구」라는 논문을 통해 ‘혈액형 성격학(다혈질B형, 우울질A형, 점액질O형, 담즙질AB형)’을 만들었다. 이것이 ‘혈액형 기질 상관설’이다. 1932년에는 『혈액형과 기질』6)이라는 책을 펴냈다.

10대 중반에 폐렴으로 고생하면서 한의학에 관심을 가졌던 이을호(李乙浩 1910~1998)7)는 중앙고보(中央高普)에 다니던 시절부터 해초(海初) 최승달(崔承達)8)의 문하에서 『동의수세보원』을 배웠다. 그리고 스승의 권고로 경성약전(京城藥專)에 진학하여 서양의약학(西洋醫藥學) 지식을 접하게 된다. 때마침 일본에서 들어온 혈액형 기질설에 흥미를 갖고, 혈액형인 A, B, O, AB의 네 가지 유형과 이제마의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을 연결하여 사상인(四象人)을 구분하고자 시도하였다.9) 이후에 그런 시도가 잘못이었다고 밝혔는데, 이을호는 1930년대에 신문에 실은 대중 기고를 통해서 사상의학의 성격을 규정하고 해설하였다.

『동의수세보원』은 1901년에 처음 출간(初版, 辛丑本)된 이래로 출판은 계속 이어졌다.10) 그러면서 이제마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은 대중 속으로 서서히 침투하고 있었다. 그리고 1930년대를 지나면서 일본에서 혈액형 성격학이 들어왔다. 이보다 앞서 (번역어에서 유래한) 체질이란 용어는 이미 신문에서 쓰이고 있었다. 1930년대의 한반도에서 여러 가지의 개념이 섞이고(混) 있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이제마의 사상의학을 체질의학(體質醫學)이라고 적극적으로 표현한 사람이 있다. 사상의학회(四象醫學會) 부회장이던 권항전(權巷全)은 1959년 4월 26일에『동아일보』에 기고한 글에서 ‘사상의학을 체질의학으로 바꿔 말할 때 가장 간명한 설명이 된다’고 하였다. 권항전이 바로 권도원(權度源)이다.

※ 참고 문헌

1) 정용재 「권도원 사상의학의 이해」 2008. 8.

 

이강재 / 임상8체질연구회

 

각주
1) Korea Baseball Organization 한국야구위원회
2)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 프로야구 지바 롯데 마린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릭스 버팔로스에서 뛰었다.
3) 장부조직(臟腑組織)과 남녀, 연령, 영양 등에 인하여
4) 친부(親父)는 가난했는데, 큰집에 양자로 가서 부자였던 큰아버지의 재산을 유산으로 받았다고 한다.
5) 1924년 자료에서 처음 확인
6) 이러한 혈액형 성격학은 선정적인 언론을 타고 특히 일본과 한국에서 대유행하게 되었다.
7) 현암(玄庵)
   영광에서 약국을 경영하면서 민족자강운동에 앞장섰다가 체포되어 옥중에서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를 접하고, 출옥 후 한국 사상과 문화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광복과 함께 사재를 염출하여 영광민립중학교를 세우고 교육 운동에 진력했다. 전남대 철학과 교수로 부임해 다산 경학사상 연구를 기초로 조선조 사상을 탐구하고, 민족 고유의 정신으로 한국 문화의 자주성을 발견하여 한국학의 개척자가 됐다. 이러한 업적으로 ‘한국 사상 연구의 현대적 기반을 닦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8) 1888. 6. 24. ~ 1967. 5. 11.
   이을호는 스승의 함자(銜字)를 최승돈(崔承敦)이라고 쓴 적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