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통계로 바라본 한방의료 자화상
상태바
국가통계로 바라본 한방의료 자화상
  • 승인 2015.03.13 0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욱승

장욱승

mjmedi@http://


특별연재 : ‘건강보험통계연보 분석’을 통해 본 한의계 <1> 한방의료기관 현황

장 욱 승
민족의학신문
보건경제연구소
연구실장
2015년도 벌써 3월이 시작되었다. 날씨가 풀리고 계절은 봄으로 바뀌고 있다. 하지만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문제가 아직 답보상태라 한의계로서는 답답한 봄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최근 한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한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는 인공지능의 시대가 곧 도래한다는 것을 설명했다. 여러 가지 이야기 중 특히 눈에 띄는 말은 인공지능이 급격하게 발전하게 된 계기가 인터넷 상에서 나오는 빅데이터의 축적 때문이라는 것이다. 몇 년 전부터 구글에서 무인자동차 기술을 계발하는 것 역시 구글의 빅데이터 처리기술이 인공지능계발로 이어지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예전에는 정보로 처리되지 못했던 수많은 것들이 인터넷의 발달 때문에 정보로 처리되면서 세상이 또 한 번 바뀌고 있는 것이다.

모든 분야에서 정보화는 엄청난 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한의계의 정보화는 정말 낮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임상데이터 뿐 아니라 국가 통계에서도 양방에 비하면 한방 관련 자료는 엄청나게 적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기에 한의사 3만명 시대를 바라보는 시점에서 제대로 된 정책 제시를 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더욱이 기존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바라보는데도 익숙지 않다는 것도 문제이다.

이에 그나마 존재하는 한방의료 관련 국가 통계를 최대한 활용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고 한의계 현실을 직시해보고자 하는 기회를 만들어 보려고 한다.


이번 주에는 첫 번째로 한방 의료기관 관련 자료를 분석해 볼 것이다. <표 1, 2> 참조
위의 표를 보면 2000년 이후의 한방병원과 한의원의 개수 변화를 알 수 있다.

일단 한방병원은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개수가 큰 차이가 없고 2005~2007년까지는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였다. 이후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 한방병원의 증가는 약간 의외의 면이 있는데 다음번에 다시 자세히 언급할 기회를 가지겠다.

한의원은 2007년까지는 계속 500~600개 이상 증가 추세였으나 2008년 이후 300~400개 수준으로 증가개수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의원의 경우 예전보다 증가율이 줄어드는 것은 확실한데 좀 더 의미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 한의사 수와 의료기관 개폐원율도 같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표 3> 참조

한의사 수는 이미 2000년부터 최근까지 700~800명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에 비해 최근 한의원 수는 300~400개밖에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한방병원 개수가 크게 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적체 현상이 생길 수밖에 없다.

개폐업 현황을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폐업수가 증가해서 전체 한의원수가 300~400개 밖에 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전 기사들 내용을 살펴보면 실제로 2002년, 2005년 한의원 폐업수는 각각 503개, 668개였다. 최근 2010년 이후 폐업수가 800개 이상인 것을 감안하면 가파른 증가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예전보다 200개 이상의 한의원이 더 폐업하기 때문에 한의원 증가수가 300~400개로 줄어든 것이다.

최근 5년간 양방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의 연평균 개업개수 대비 폐업개수 비는 다음과 같다. 해당기관별로 각 년도 개업수 대비 폐업수 비율을 구하고 다시 5년 평균치를 구한 값들이다.<그림> 참조
개업수 대비 폐업수 비율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양방이 가장 높은 81.6%고 치과가 65.2%, 한의원은 70.1%다. 그러나 양방의 경우 종합병원이나 기타 병원급 의료기관이 많기 때문에 개인 의원급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은 한의원일 가능성이 높다.

몇 가지 수치들만 살펴봐도 현재 한의계 현실이 여실히 드러난다. 앞으로 여러 가지 자료를 분석해서 한의계의 현실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기회가 되면 좋겠다. 다음 번에 한방의료기관 관련 분석 2탄으로 이어지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