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래포럼 54차토론회] “한약은 당연히 의약품…의약품으로써의 신뢰성·전문성 갖추도록 고민 필요”
상태바
[한미래포럼 54차토론회] “한약은 당연히 의약품…의약품으로써의 신뢰성·전문성 갖추도록 고민 필요”
  • 승인 2017.05.10 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예진 기자

전예진 기자

hustlejin@http://


김태호 대한한의사협회 약무이사

‘한약은 의약품입니까?’라는 원론적인 질문에 답변할 필요가 있다. 한약은 당연히 의약품이고 의약품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국민적인 인식은 과연 한약을 의약품으로써의 지위가 있다고 인정하고 있는가? 솔직히 말해 세모인 것 같다. 왜 세모냐? 소위 말하는 건강기능식품, 건강원에서 달이는 약, 혹은 마트나 시장에서 구매하는 약재를 통해 집에서 끓여먹는 것도 한약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의약품으로써의 지위를 명확하게 구축하지 못해 약화사고, 중독사고 같은 문제가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원론적인 고민이 시작된다. 이미 ‘한약은 위험하다’, ‘간독성이 있다’, 탈모사건 등 굉장히 많은 호도들이 있지 않았나. 

‘왜 한의계는 방어기제가 없나’ 라는 질문으로부터 이 사업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GMP, GLP를 통해 우수한 한약제제 만들어야 한다고 본다. 기존 한약은 안전하다라는 인식과 안유심(안전성 유효성 심사) 면제가 계속 유지되기는 힘들 것이다. 양약, 케미컬도 1966년도 미국에서 기존에 시판되어 있던, 안유심을 거치지 않은 4천여 종의 의약품을 재평가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임상 정보가 구축 되고 간독성과 약의 효과 등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됐다. 일련의 과정들을 거쳐야만 발전하고 전문성을 부여받아 의약품으로써의 지위를 공고하게 가져갈 수 있다. 한약제제도 마찬가지다. 

현재 한의계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부의 인프라 구축을 통해서라도 구축해나가야 한다. 조제 한약에 대한 우려도 많이들 한다. 이런 비유를 하고 싶다. 예전에 첩지에 약을 싸주고 환자가 집에 가서 달여 먹곤 했다. 1980년대에 탕전기가 등장하면서 포장된 약이 나오기 시작했지만 기존의 첩지에 싸주는 방식이 불법이거나 혹은 제재를 받았나? 아니었다. 다만 시장성의 원리에 따라 조금 더 편리하고 복용이 간편한 탕전기 조제방식 형태로 자연스레 넘어갔던 것 뿐이다.

이제는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는 단계가 생긴 것이다. 원외탕전 제도에 대해서도 의약분업의 전초라는 의견이 다분한데 사실 의약과 약업을 같이 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다. 원외탕전은 의료기관의 부설로써 한의사 외에는 개설할 수 없다. 조제권이 제한되는 부분이 전혀 없다.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방어기제를 가져가기 위해 이 단계를 어떻게 업그레이드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때다. 

이 사업 자체가 세 가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의약품으로써의 전문성을 가져갈 수 있을지, 신뢰성을 높여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에 포커스를 둬서 사업을 이해했으면 좋겠다. 발전적인 방안 있다면 함께 수렴해 보완해나갈 수 있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