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약무정책은 무리수’ 지적
상태바
‘한의협 약무정책은 무리수’ 지적
  • 승인 2006.09.01 14: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컨소시엄 업체 “어쩔 수 없어 참여”
한의협, 제조업체 중심 한약재 시장 재편 계획

한약제조업를 중점으로 한약재 문제를 개선해 보겠다는 한의사협회의 계획이 실현이 가능하겠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빠르게 개선돼 나가고 있는 한약재 시장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냐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현재 한의협이 추진하고 있는 한약재 시장의 개선 방향은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을 갖춘 제조업소가 중심이 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한의계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맞춰 한약재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한의협은 이들 업체에서 생산된 한약재가 폭넓게 유통될 수 있도록 협조하고, 이들 업체를 중점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공산품도 아닌 한약재를 인위적으로 바꿔보겠다는 것은 현실을 무시한 열망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어 한의협의 약무정책이 어떻게 추진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컨소시엄에는 10개 제조업체가 참가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고, 한의협은 약 30개 업체가 참여하면 한약재 관리능력이 부족한 영세 업체들은 자연히 퇴출될 것이고 한약재 시장이 근본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컨소시엄에 참여한 모 업체 중 일부는 “한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영업을 하는 입장에서 한의협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도리가 없어 하겠다고 대답한 것 뿐”이라며 “한약재 시장이 개선돼 가고 있는데 이제와서 한의협이 끼어들어 업체를 좌지우지하려는 의도를 이해할 수 없고,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할 것”이라고 불만을 털어 놨다.

일부 선두 업체를 중심으로 한약재 시장이 개선되고 있는 것은 정부의 규제강화나 한의협의 의지 때문이 아니라 한방의료시장에서 한의사들이 요구하는 약재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한의협이 일부 업체를 지원하겠다는 것은 오히려 업체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소지도 있다는 것이다.

지난 8월 24~27일 창원에서 열린 ‘경남한의학박람회’에 참여한 모 업체는 “특정 지역에 편중돼 영업을 하고 있는 회사 사정상 지역 기반이 전혀 없는 경남에서 하는 박람회에 참가해도 소득을 얻기 힘들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한의협의 요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참여했다”고 털어 놓았다.
일부 업체들이 가장 불만을 보이는 부분은 한의협이 강압적인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이야기하는 부분이라는 지적이다. 즉, 컨소시엄에 참여하지 않은 업체의 약재를 수거 검사해 문제가 적발되면 관계당국에 고발하는 등 불이익을 주겠다고 말하고 있다는 점이다.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는 모 업체 대표는 “법적으로 규정된 것도 아닌데 자본주의 원리에 반하는 내용이 얼마나 지켜질 수 있겠냐”며 “컨소시엄에 참여하지 않은 업체들이 불이익을 받았다고 반발하고 나설 경우 한약재 시장은 더욱 위축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한의협은 업체와는 별도로 한의사들에게도 컨소시엄에 참여한 업체에서 생산된 한약재를 사용해 줄 것을 계도해 나가고, 불가피한 경우 한의협의 방침에 따르지 않는 한의사의 명단을 공개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컨소시엄에 참여한 모 업체의 관계자는 “업체의 힘만으로는 안 되니까 한의협이 이끌고 나가겠다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고, 다른 업체들도 한의협이 강력하게 의지를 보이고 있으니 일단은 협조해야 하지 않겠냐는 분위기”라며 “그러나 차별화된 한약재가 받아들여질 수 있는 시장이 작은 상태에서 한의협의 요구에 따라 생산한 제품이 가격이 맞지 않아 판매되지 않을 경우 한의협이 과연 책임질 능력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한의협은 이 같은 약무계획을 엄종희 회장 임기 내에 마무리 짓는다는 방침이다.

민족의학신문 이제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