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서산책272] 穴名搜捷
상태바
[고의서산책272] 穴名搜捷
  • 승인 2005.12.16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東醫穴法으로 考正한 經穴辭典

이 책은 일반적인 침구전문서와 달리 획수에 따라 경혈명을 검색하여 찾아보기 위한 일종의 경혈 혈위 사전이라 할 수 있다. 日本의 藍川玄愼이 지은 것으로 상, 하 2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고본으로 서·발문이 없어 자세한 저술경위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책의 표제와 본문 첫 장에 ‘穴名搜捷(卷之上) 茅山査苞(之一) 藍川愼新吾輯 男 春分卿校’라고 되어 있어, 이 책이 『茅山査苞』라는 전집 가운데 하나이고 원작자가 藍川愼新吾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저자의 생몰연대를 통해 유추해 보면 대략 1800년대 초반에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 藍川愼新吾(혹은 藍川愼, 藍川玄愼, 藍川茅山)는 일본의 의사이자 유학자로서, 이름은 신, 일반적으로 新吾라고 불렸으며, 호는 茅山이다. 출생 시기는 분명치 않으며 1842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생전에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楊上善의 『黃帝內經太素』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교감하여 만든 『太素經攷異』(2권)로 널리 이름이 알려졌다. 이 외에 『參考애穴編』, 『讀甲乙經丙卷要略』, 『讀骨度篇』, 『讀주後方』, 『鍼灸甲乙經孔穴主治』, 『大同類聚方考異』, 『大同類聚方竊疑』, 『茅山査苞』, 『査苞茅』, 『茅山本草醫傳』, 『博桑果圖考』, 『康賴本草校註』 등이 있다.

이 책에는 많은 문헌들이 인용되어 있는데, 침구서 뿐만 아니라 종합의서에 나오는 경혈까지 충실하게 수록해 놓았다. 시기로 보아서는 『外臺秘要』, 『鍼灸甲乙經』, 『醫心方』, 『明堂經』, 『千金要方』, 『千金翼方』 등 唐 이전의 고대문헌으로부터 『醫學綱目』, 『醫學入門』, 『類經圖翼』 등 明代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鍼灸大全』, 『針灸聚英』 등 침구서와 『外科樞要』, 『癰疽神秘灸經』 등과 같은 여러 방면의 전문서가 들어있다. 특히 조선의 『東醫寶鑑』을 언급한 부분도 드물지 않다.

수록한 내용을 개괄해 보면, 經穴의 이름과 異名, 해당경혈의 穴位 등을 나열하고 있으며, 목차는 따로 없고 글자의 획수에 따라 내용을 갈라놓았다. 즉, 상권에서는 1획에서 9획까지, 하권에서는 10획에서 27획까지의 경혈을 수록하였다. 본문은 1획 ‘一窩風’을 시작으로 27획 ‘섭유’에서 끝이 난다. 특별히 이 책은 경혈사전이라고 할 만큼 많은 經穴을 설명하고 있는데, 12경락의 정경혈 뿐만 아니라 ‘奇兪’라고 하여 經外奇穴까지 망라하고 있다. 編註 [섭=관자놀이 섭] [유=관자놀이 움직일 유]

각 경혈은 ‘혈명, 소속경락(경외혈인 경우에는 奇兪), 근거문헌의 인용, 참고사항’의 차례로 기재해 놓았다. 예를 들어 手陽明大腸經의 迎香穴의 경우 “迎香 大腸 資生云 在禾교上一寸鼻孔傍”이라고 되어 있다. 다만 여기에는 경혈의 主治나 穴性이 적혀있지 않고 여러 문헌에 기재된 穴位에 관한 내용만을 실어놓았다. 編註 [교=움 교]

내용 가운데 『동의보감』을 인용하고 있는 몇 가지 항목에 자연히 관심을 갖게 된다. 이 가운데 몇 가지를 예시해 보자. ‘八魁’… 『東醫寶鑑』에는 八교라고 되어 있다. ‘下丹田’ 『동의보감』에는 關元이라고 되어 있다. ‘太陽’… 『동의보감』에서는 양 額骨 뒤 자주빛 혈맥의 위가 이 혈이라고 되어 있다. ‘血극’… 『동의보감』에서는 百蟲과라고 하였다. ‘通理’… 『동의보감』에는 새끼발가락 위 2촌 되는 곳이라 되어 있다. 編註 [극=틈 극]

또 ‘上天체, 三分路, 河車路, 曺溪路, 朝天嶺’ 등의 경혈에는 모두 “『동의보감』에는 長强이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는데, 실제 『동의보감』에서는 長强과 이런 혈들을 직접 연관시키고 있지는 않다. 다만, 『東醫寶鑑·背』 ‘背有三關’에 보면 “人之脊骨二十四節, 節之末名曰尾閭穴, 又名龍虎穴, 又名曺溪路, 又名三차路, 又名河車路, 又名朝天嶺 , 又名上天梯”라는 문장이 보일 뿐이다. 저자는 ‘24樞’가 척추의 끝이기 때문에 長强穴로 보고 이들 혈들을 異名으로 간주한 것이다. 이것은 곧 이 책이 단순히 『東醫寶鑑』 鍼灸篇만을 참고한 것이 아니라 전서를 다방면으로 고찰했음을 알려주는 부분이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안상우
(042)868-9442
answer@kiom.re.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