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연, 한증(寒證) 유전지표 발굴…"향후 한의 예방치료 기대"
상태바
한의학연, 한증(寒證) 유전지표 발굴…"향후 한의 예방치료 기대"
  • 승인 2022.10.27 0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춘호 기자

김춘호 기자

mjmedi@mjmedi.com


연구팀, 유전체분석 등 통해 정밀의료서비스 제공 위한 연구 수행

[민족의학신문=김춘호 기자] 한증과 관련된 유전지표가 CIRP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혈액 내 염증 조절 기능에 관여하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 이하 한의학연) 한의약데이터부 진희정 박사 연구팀이 한증(寒證) 연관 유전지표를 발굴했다.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Immunology (IF=8.78)에(논문명  Regulation of CIRP by genetic factors of SP1 related to cold sensitivity) 게재됐다.

한의학에서 한열(寒熱)진단은 기본 변증 내용 중 하나로 임상에서 한증과 열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한증은 냉감을 많이 느끼고, 이로 인해 신체 기능과 대사활동이 저하되며, 저항력이 감퇴하는 증상을 특징으로, 특히 손과 발, 하복부 등이 추위에 민감하다. 

현재는 진료 과정에서 문진, 촉진 등으로 추위에 대한 민감도, 창백한 안색 등을 종합해 한증 여부를 평가하는데 미래에는 환자의 유전 특징 등을 포함한 정밀의료서비스가 한의임상에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유전체분석 등을 통해 이러한 정밀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그 연구 중 하나로 4000명 이상이 참여하는 대전시민 건강 코호트의 유전체역학 정보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한증 연관 유전지표 56개를 찾아냈다. 이어 한증 관련 특정 유전형질을 가지는 그룹에서 혈액 내 염증반응이 더 크다는 것을 밝혀냈다.

◇한증 연관 유전지표의 유전형 차이에 따라 SP1-CIRP 전사조절 차이를 일으켜 세포내 염증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결과를 모식화하였다. 대전시민의 24%에서 발견되는 G allele type을 가지는 집단에서 SP1 전사조절인자의 과발현이 일어났으며 이에 따라 핵 내 있던 Cirp의 세포질로의 전위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사이토카인 생성이 높아졌을 것이라 예상해볼 수 있으며 실제 측정해본 결과 G allele type을 가진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증 연관 유전지표의 유전형 차이에 따라 SP1-CIRP 전사조절 차이를 일으켜 세포내 염증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결과를 모식화하였다. 대전시민의 24%에서 발견되는 G allele type을 가지는 집단에서 SP1 전사조절인자의 과발현이 일어났으며 이에 따라 핵 내 있던 Cirp의 세포질로의 전위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사이토카인 생성이 높아졌을 것이라 예상해볼 수 있으며 실제 측정해본 결과 G allele type을 가진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한증과 관련된 유전지표가 CIRP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혈액 내 염증 조절 기능에 관여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CIRP 유전자가 유전지표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도 함께 밝혀냈다.

CIRP 유전자는 ▲세포 증식 ▲생존 ▲텔로미어 유지 ▲종양형성 등과 같이 다양한 세포 과정에 관여하는 중요 유전자로서 현재 학계에서 유용한 바이오마커로 연구되고 있어, 이번 연구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진희정 박사는 “한증과 관련된 유전지표가 실제 임상적 활용이 유용함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라며 “향후 대전시민 건강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질환에 대한 한증의 유전 영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며, 이를 통해 한의 진단 및 치료의 가치를 한층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진용 원장은 “한열은 한의학의 가장 기본적인 진단개요 중 하나”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한의학적 진단의 유용성을 확인시킨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한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개발로 이어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추진하는 한의학연의 BIG사업의 지원을 통해 수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