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쓰는 체질한의학(1)
상태바
풀어쓰는 체질한의학(1)
  • 승인 2004.04.20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체질은 五臟기능의 强弱에 의해 결정
체질감별법 개발이 가장 큰 과제

길 경 주(서울 복음한의원장)

길경주 원장의 기고문 ‘체질한의학’을 연재합니다. 길 원장은 “이제마 선생의 사상의학은 사상인의 장부의 이치를 연구한 것인데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성격이나 외형등 다른 쪽으로 해석하는데에 치우쳐 있다”며 “잘못가고 있는 사상체질연구의 방향을 바로 잡기 위해 이글을 기고하게 됐다”고 말합니다. 관심있는 독자들의 많은 애독을 바랍니다. <편집자 주>


제1장 體質

1. 韓醫學에서의 體質이란?

歷代의 한의학 서적 중에서 체질에 관한 기록을 찾아보면, 最古의 한의학 서적인 內經(靈樞)의 陰陽 二十五人篇과 通天篇에서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있다.

陰陽 二十五人篇에서는 인체를 木形之人, 火形之人, 土形之人, 金形之人, 水形之人의 五形으로 분류하고 다시 各形을 經絡의 虛實에 따라서 五種으로 세분하여 총 二十五形으로 분류하여 매우 체계적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감별 방법이 모호하여 後代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通天篇에서는 인체를 太陰之人, 少陰之人, 太陽之人, 少陽之人, 陰陽和平之人의 五態人으로 구분하였다.
五態人 중에서 陰陽和平之人은 실재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므로 제외하고 太陰, 少陰, 太陽, 少陽의 네 체질을 硏究 啓發하신 분이 東武 李濟馬 선생이며 그의 저서 東醫壽世保元이 하나밖에 없는 한의학의 체질 醫學書이다.

그러나 역대의 名醫들이 모두 체질을 인정하고 있으며, 또한 체질을 참작하여 用藥한 것을 찾아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명의인 허준 선생도 東醫寶鑑 제일 첫 부분에 “肥人濕多 瘦人火多 白者 肺氣虛 黑者 腎氣足 形色旣秀 臟腑亦異 外症雖同 治法逈別”이라고 한 周丹溪의 말을 인용하여 사람에 따라 形色이 다르고 臟腑도 다르니 外症은 비록 같을지라도 治法은 사람에 따라 아주 다르다고 하였다.

또한 근래에 중국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는 張介賓의 저서 景岳全書에도 臟腑別論에서 인체를 陰臟人, 陽臟人, 平臟人으로 분류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다음은 金元四大家의 學說을 살펴보자.

어찌하여 질병의 원인을 主火說, 主氣說, 主濕說 등으로 각기 다르게 주장했으며 치료 면에서도 滋陰論, 補陽論 등으로 서로 다르게 주장하였을까?

물론 사람에 따라 체질이 다르므로 같은 질병이라도 원인을 학자들의 主觀에 따라 다르게 본 것이다.
오늘날에는 한의사나 양의사나 체질이란 말을 안 쓰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한방에서의 체질과 양방에서 말하고 있는 체질과는 그 내용 면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즉 체질의 개념 자체가 다르다.

양방에서 말하는 소위 산성체질이나 알카리성체질, 혹은 특이체질, 알레르기체질 등은 한방적인 관점에서 보면 체질이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주위환경이나 음식관계, 혹은 약물 작용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는 인체의 거부반응 상태이지 근본적인 체질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면 한방에서는 무엇을 체질이라고 하는가?
한방에서는 生理的인 면에서나 病理的인 면에서 인체의 가장 基本을 肝, 心, 脾, 肺, 腎의 五臟으로 보고 있다.

이 기본적인 오장에 膽, 小腸, 胃, 大腸, 膀胱, 三焦의 六腑가 배속되어 있고, 그 밖의 모든 經筋과 骨格, 肌肉, 體液(精, 血)과 體表의 十二經絡과 十五絡脈, 심지어 耳目口鼻까지도 모두 오장에 배속되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神, 魂, 魄, 意, 志의 정신적인 면과, 喜, 怒, 憂, 思, 恐의 감정적인 면도 인체의 기본이 되는 五臟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인체 내에서 가장 기본이 되며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五臟이 그 기능적인 면에서 일정한 것이 아니고 五臟 중에서 어느 장은 實(强)하고, 어느 장은 虛(弱)한 차이가 반드시 있다고 본다.

이에 의하여 사람에 따라서 生理的인 차이, 病理的인 차이, 精神的인 차이, 感情的인 차이가 形成되어 진다.
즉 다시 말하면 五臟機能의 强弱에 의하여 그 사람의 體質이 결정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방에서는 그 사람의 체질을 알게 되면 곧 그 사람의 오장기능의 강약과 그 사람의 생리적인 면, 병리적인 면, 정신적인 면, 감정적인 면, 모두를 알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체질을 정확하게 감별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한의학 발전에 가장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2. 한의학에서 체질치료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

현재 한방에서의 체질치료법은 크게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다.
그 첫째가 東醫壽世保元을 중심으로 한 四象體質에 의한 치료법이 있고, 또 하나는 五運六氣學을 중심으로 한 運氣體質에 의한 치료법이 있다.

그 밖의 八象體質이나 혹은 五象體質 등이 있으나 모두 다 사상체질과 운기체질의 범위 안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체질치료 방법들이 체질치료에서 가장 우선되어야 할 체질감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또한 객관성이 없으며, 정확한 감별 확률이 저조하여 체질치료를 하기에는 난점이 많다. <계속>

필자약력
▲1938년생 ▲경희대 한의대 졸(14회) ▲현 서울 사당동 복음한의원 원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