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순환구조론에 대하여(5)
상태바
한의학 순환구조론에 대하여(5)
  • 승인 2004.04.19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上下表裏는 한의학적 해부학 개념”

싣는 순서
7.한의학의 해부학과 혈액순환계
8. 한의학의 表裏와 현미경해부학
9. 한의학의 陰陽寒熱과 체액의 이동
10. 한의학의 氣味論과 모세혈관의 혈류역학
11. 한의학의 痰飮과 림프순환
12. 경험론과 실재론 그리고 임상의학
13. 해석학 - 한의학 순환구조론
14. ‘본초문답’과 ‘한의학 순환구조론’을 공부하고

이학로(한의사·충남 천안)

7. 한의학의 해부학과 혈액순환계

이제 가정을 하나씩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가정1은 해부학에서 밝힌 장부의 혈액순환로와 한의학의 上中下(表裏) 구분은 연관성이 있다고 했습니다. 해부학에서 밝힌 혈액순환로는 크게 체순환과 폐순환(소순환)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를 순환계라 통칭합니다.

혈액순환계

해부학을 통하여 모습을 드러낸 순환계는 대략 17세기 경에 발견되었습니다. 인체내부에 숨어있는 순환계가 발견되기 전에는 이들 기전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추론이 만들어졌을 것입니다.

그 중 하나가 증상을 하나의 패턴으로 묶어서 바라보았던 증상군 개념입니다. 질병이 일으킨 통증은 몸의 여기저기로 옮겨 다니게 되는데 이런 옮겨 다님이 환자에 따라서 약간 다르기는 하지만 유사한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증상에서 유사한 공통점을 자주 찾아낼 수 있게 되면 이들을 분류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분류된 질병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된 해부학은 체표를 구역으로 나누는 것이었으며, 비교해부학(동물해부학)과 육안해부학에서 얻은 지식이었을 것입니다. 즉 인체를 해부해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구조물을 증상과 연관시키려 노력하였을 것입니다.

증상과 인체구조물

17세기 전에 행해진 해부학에서는 五臟六腑를 연결하는 구조물에 대한 이해가 없었기 때문에 五臟六腑를 개별적인 구조물로 여겼을 것입니다.

혈관과 신경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들의 쓰임을 이해할 수는 없었던 것입니다. 해부학적인 사실을 받아들이기 껄끄러워한 한의학은 인체를 해부학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구분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입니다.

인체구조에 대한 해부학적인 지식이 미약한 상태에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증상이 나타내는 유사한 공통점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구역을 인체에 설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체표에 증상의 공통점을 구분할 수 있는 구역을 설정하고, 육안해부학으로 밝혀진 내장장기와 체표의 관계를 증상에 대비시켰을 것입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개념이 上下와 表裏였을 것입니다. 이들 上下와 表裏는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질병의 변화를 설명하고 원인 부위를 찾는데 매우 곤란한 경우를 만나게 됩니다.

上下와 表裏

한의학은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지만 해부학에 한해서는 커다란 발전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물론 한의학이 보고 싶었던 인체는 4차원 영상과 같은 인체이기 때문에 3차원적인 인체구조는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4차원 영상은 3차원의 입체적인 구조위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부학적인 구조는 한의학에서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한의학에서 지정한 上下와 表裏는 해부학적인 구조물과 관련된 개념임을 알 수 있습니다. 上下와 表裏를 구분함으로써 인체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질병과정을 설명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장기의 순환경로

현대의 해부학은 인체내부의 구조물을 거의 모두 밝혀 놓은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 순환계를 보면 인체는 몇 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각각의 내장장기들은 직접 혈관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혈관망에 전기 플러그를 꽂고 있는 것과 같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肝은 심장 - 대동맥 - 간동맥 - 간내 모세혈관 - 간정맥 - 하대정맥을 경유하여 심장에 이르는 순환경로를 가지며, 腎은 심장 - 대동맥 - 신동맥 - 신장내 모세혈관 - 신정맥 - 하대정맥을 경유하여 심장에 이르는 순환경로를 가집니다.

그런데 肺는 심장- 폐동맥- 폐내의 모세혈관- 폐정맥을 경유하여 심장에 이르는 순환을 가집니다. 즉 肝과 腎은 대동맥과 하대정맥을 공유하며 그 밖의 다른 연결구조는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내장장기를 연결하는 중심축은 대동맥과 대정맥이며, 각각의 장기들은 대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고 대정맥으로 혈액을 환류시킵니다. 이런 혈액의 분포와 흐름을 제어하는 곳이 심장입니다.

上下 2群의 정맥血管系

해부학에서 혈관의 분포를 좀더 자세히 관찰하면 동맥의 분포와 정맥의 분포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심장으로 환류하는 정맥혈관의 분포를 보면 크게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 나뉘어져 환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환류하는 혈액의 흐름으로 볼 때 인체를 上下로 나누어 볼 수 있다는 말입니다.

한의학에서 인체를 上下로 구분할 수 있었던 이론적인 배경에는 혈액순환계라는 해부학적인 구조가 숨어 있었던 것입니다. 말하자면 해부학이 발전하기 이전에는 증상이라는 경험을 통하여 인체의 구조를 거칠게 나눌 수 있었고, 증상의 변화를 통하여 세밀한 해부학적인 구조를 어렴풋이 설명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한의학이 밝힌 上病下治와 下病上治 등의 개념은 이와 같은 혈관의 분포와 연관된 개념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 환류하는 혈관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좀더 깊숙이 들여다보면 인체는 비상사태를 대비하기 위하여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을 소통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있다는 사실을 만나게 됩니다.

이처럼 비상사태를 대비하기 위한 구조물과 上下로 구분하기 힘든 영역을 中이라 명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분해도 내장장기는 엄밀하게 上中下에 배속시킬 수 없다는 것을 한의학은 알고 있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좀더 커다란 범주를 설정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表裏개념입니다. 이렇게 개념을 확대함으로써 上中下에 나타나는 증상과 내장장기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길을 만든 것입니다. 물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연결하는 키워드는 체액입니다.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