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동향] 채한 박사의 American Report(3)
상태바
[해외동향] 채한 박사의 American Report(3)
  • 승인 2003.12.30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연구의 폭 넓히는 연구비시스템 뛰어나
실패가능성 높은 실험적 과제부터 지원


미국의 최근 연구 동향과 최신 조류를 정말(!) 쉽게 알아보는 방법이 없을까?
Science 혹은 Nature 같은 유명 학술지들을 읽거나, Pubmed를 통해서 한 분야의 전문적인 동향을 검색하는 것도 한 방법이겠습니다만, 전문 용어에 익숙치 않은 경우에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CRISP(http://crisp.cit.nih.gov/crisp/crisp_query.generate_screen)는 Computer Retrieval of Information on Scientific Projects의 약자로,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와 연구 경향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CRISP는 미국 정부가 지원한 biomedical research project들을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 NIH(국립보건원), SAMHSA(약물남용과 정신건강서비스), HRSA(건강정보 서비스 행정원), FDA(식품의약품 행정원), CDCP(질병 통제 및 예방센터), AHRQ(건강 관리 연구원), OASH(건강 보좌 사무국)에서 지원한 연구 정보를 모두 수록하고 있습니다.

알기 쉬운 영어로 간단한 인적 사항과 초록만을 수록하고 있지만, 그 공신력으로 볼 때 의학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한국 한의학으로서 NIH 지원을 받아 최근 언론(민족의학신문 432호, 441호)에 소개된 연구비를 통해, 사용되는 몇 가지 전문용어와 아울러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Grant Number (1R21AT001999-01), PI Name (HEITKEMPER, MARGARET M.), Institu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98195), Project Title (Women’s Heal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본 연구의 책임자(PI; Principal Investigator)는 University of Washington의 Margaret M. Heitkemper (RN, Ph.D) 입니다(개인 약력 참조, http://www.son.washington.edu/faculty/faculty_bio.asp?id=47).

RN은 Registered Nurse의 약자로서, 간호사이기도 한 Heitkemper 박사는 Washington 대학 간호학부의 Co-director 입니다.

그녀의 평소 연구 테마인 대안 상보 의학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건강을 주제로 한 연구비이며, 연구비 번호(Grant Number)를 통해 1년차 Development or Planning Grant(R21)로서, NCCAM(상보대안의학센터) (AT)에서 지원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R21은, 실패 가능성이 높은 탐색적 예비연구(exploratory or developmental research)를 대상으로 초창기 혹은 개념 정립기(early and conceptual stage of development)에 지원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미국의 R21 mechanism은, 성숙된 단계의 연구 혹은 상업화 가능한 결과물을 바로 제시할 수 있는 연구만을 좋아하는 한국적 시스템과는 달리, 지극히 초보적이고 실패 가능성이 높은 실험적 과제부터 지원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히는 미국의 연구비 시스템입니다.

위험부담이 높지만, 잘만 되면 큰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연구비에도 벤처 시스템이 있는 것이지요.

본 연구비는 또한 RFA(Request for application; 지정 연구 과제)에 속합니다.
NCCAM이 추진하고 있는 ‘국제 상보대안의학 연구센터(PICRC)’를 위한 planning grant(입안 연구비)로,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인 공동연구의 기반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NCCAM의 Director인 Stephen E. Straus (M.D.)에 따르면, “본 연구비는 CAM 연구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진취적이고 새로운 국제적인 공동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라고 합니다.

또한 Developmental Centers for Research on CAM (DCRC) specifically for CAM institutions와 Centers of Excellence for Research on CAM(CERC) for established research organizations 라는 차기 프로그램도 곧 시작할 예정이라는군요.

세계적인 연구의 주도권이 미국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보고 있는 듯 합니다.
참고로, 이번 지정 연구 과제(AT-03-002)로 연구비를 받은 면면을 살펴 보면 좋을 듯 합니다.

Bastyr 대학은 인도와 Ayurvedic Medicine을 연구하기로 했구요, Columbia 대학은 중국의 Fudan 대학과 여성질환에 대해서, Johns Hopkins는 싱가폴 국립대(NUS)와 함께 싱가폴에 공동연구 센터를, Mount Sinai는 Gandeepam과 함께 HIV/AIDS 연구소를 인도에, UCSF는 인도와 함께 명상·요가에 대한 연구소를, Maryland 대학은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시카고 일리노이대학과 함께 과민성 대장 증후군/중의학 연구소를, Missouri 대학은 남아프리카의 Western Cape 대학과 함께 Phytotherapy 연구소를 세운다고 합니다.

Harvard 대학은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중국), Keio University(일본)와 함께 Herbal Medicine에 대한 미-중-일 공동 연구단 (research consortium)을 만들기로 했구요, North Carolina-Chapel Hill 대학은 경희대와 함께 중추신경계 질환에 대한 한국 침의 효과를 연구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Abstract: DESCRIPTION (provided by applicant): The application is for a Phase I planning grant to create an international Women’s Heal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Research Center (WHCATRC) in response to an RFA from NCCAM, NIH. This planning grant will involve interdisciplinary investigators in Seattle (Bastyr University, University of Washington) and Seoul,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Won Kwang University, Koryo Hand Therapy clinic) who are interested in women’s health. As part of this 2-year planning effort investigators will meet in person 2 times to delineate research projects for the Phase II application, translate and standardize appropriate tools, determine human subjects review and data safety monitoring procedures, visit potential clinical study sites, and finalize core facilities. In addition, one pilot project will be conducted in Seoul, Korea. The goals of the grant will be as follows: 이하 생략」
<계속>

필자 : 경희대 한의대 졸(한의학 박사), 현 클리블랜드 클리닉재단, 통합의학센터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분은 아래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chaeh@ccf.org
Homepage : www.chaelab.org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