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외탕전실 평가인증사업, 어떻게 다뤄지나?
상태바
원외탕전실 평가인증사업, 어떻게 다뤄지나?
  • 승인 2017.09.28 0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예진 기자

전예진 기자

hustlejin@http://


정책과 현실, 두가지가 상응하고 만족하는 원외탕전실 평가인증사업 이뤄질 수 있나

20일 서울역 근처 LW컨벤션 크리스탈홀에서 한약진흥재단이 주최하고 보건복지부가 후원하는 ‘원외탕전실 평가인증사업 설명회’가 개최됐다.

이형훈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관은 축사를 통해 “정부는 2016년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 5개년 계획을 수립해 한의학의 뛰어난 치료 효과와 무한한 발전 가능성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며 “정부와 한의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의학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제기와 한약조제 안전관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만큼 원외탕전실 평가인증사업은 뜻깊고 시의적절한 것”이라고 말했다.

■원외탕전실 평가인증사업은 무엇?

원외탕전실 평가인증사업은 2008년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 이후 원외탕전실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와 한약재 위품 유통 등 한약 조제에 대한 안전관리 문제가 제기되면서 한방의료기관 원외탕전실에서 한약재 구입부터 보관, 조제, 포장, 배송에 이르는 전 과정에 안전관리 체계를 도입해 한약의 품질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는 측면에서 비롯됐다.

궁극적으로는 원외탕전실이 의료기관의 부속시설인 점을 감안해 한방의료기관 스스로 일정한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해 관리 및 운영하고, 전문기관이 인증·평가하는 방식으로 원외탕전실을 적정하게 관리하고 한약의 품질을 제고하자는 취지인 것.

원외탕전실은 2009년 ‘원외탕전실 설치·이용 및 탕전실 공동이용에 관한 지침’ 시행 이후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2014년 78개, 2016년 103개(12월 기준)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37개, 경기 28개, 부산 12개 순이다. 공동이용 기관수에 따른 원외탕전실 상위 10곳 중 1000개가 넘는 한의의료기관과 계약 및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원외탕전실은 3개로 조사됐다.

 

■사업내용, 그것이 알고싶다

한약진흥재단은 본격적인 사업에 앞서 원외탕전실 평가인증제 평가지표 및 운영체계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원외탕전실 평가인증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한약조제 원외탕전실과 약침조제 원외탕전실을 구분해서 지표를 개발하고, 평가에 적합한 운영체계를 개발하는 것. 또 평가지표 및 운영체계의 현실화 도모를 위해 시범평가를 실시하고, 원외탕전실 내 문서와 시설, 제형별 생산 현황, 품질관리 현황 등 정확한 파악을 위해 실태조사를 진행하는 등 최대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9개 평가영역, 25개 평가부문, 68개 평가지표를 선정한 인증기준을 다양한 한약 제형을 조제하고 있는 원외탕전실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조제과정에서 환자의 처방약 혼동 방지 ▲객관적인 평가 및 사후관리를 위한 문서관리체계 항목 도입 ▲탕전실 공간분리를 통한 위생관리 및 오염발생 최소화 ▲위생관리 체계 확립으로 탕전실 신뢰도 구축 등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패널토론, 잘됐으면 하는 마음은 같지만…

신병철 부산대한방병원장이 좌장을 맡은 패널토론에서는 전선우 한의협 법제이사가 먼저 운을 뗐다. 전선우 법제이사는 “이런 평가인증 사업은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겠지만 목적과 취지를 고려해 시범사업과 실태조사를 통한 더 많은 개선작업이 이뤄져야 한다”며 “많은 탕전실이 참여하지 않는다면 결코 성공하지 못할 사업이고, 참여를 독려하려면 현실과 동떨어진 기준 혹은 이상에 가까운 기준보다는 현장의 목소리와 조화를 이루는 타협점을 잘 찾아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경호 복지부 한의약정책과 사무관은 탕전실이 도입된 배경에 대해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필요한 안전 기준에 부합하려면 어느 정도 규모가 있어야 하는 여건상 탕전실이 도심에 위치하는 게 쉽지 않았고, 냄새 때문에 민원이 잦았던 것도 사실”이라며 “원외탕전실은 기존 의료기관 부속시설과 달리 의료기관과 분리돼서 따로 설치 가능한 성격을 갖고 있어 병원은 서울에 있어도 탕전실은 지방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 천 개의 한방의료기관이 공동으로 원외탕전실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인데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의 처방에 따라 대량으로 조제하는 형태로 운영되다보니 안전관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며 “의료기관과 분리되어 위치하고 있더라도 의료기관의 부속시설이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 기존의 식품·의약품 관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판단 하에 올해 초부터 한약진흥재단, 평가인증위원회 등과 머리를 맞대고 검토하고 논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반면 설명회에 참석한 한 참가자는 “이런 회의가 이전에도 몇 번씩 지속되어 왔는데 설명회를 주최하는 측과 원외탕전실 관계자들이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다”고 하소연하며 “협회가 원외탕전실에 신경을 안 쓰고 있는 듯한 느낌이고 원외탕전실 명부는 확보하고 있는지, 아니라면 대체 누가 파악을 하고 있는 건지 답답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백문이불여일견이라고 협회나 한약진흥재단에서 규모 있으면서 안전하게 잘 운영되고 있는 원외탕전실을 관람할 수 있는 투어를 마련하고, 제대로 된 소통을 해나갔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김유진 한약진흥재단 정책기획팀 팀장은 “시범사업 및 실태조사를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반영할 계획”이라며 “현실에 부합하는 기준안을 마련할테니 다양한 의견이 모아질 수 있도록 여러 관계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원외탕전실 실태조사는 일반한약조제 원외탕전실과 약침조제 원외탕전실을 대상으로 (주)리서치코리아가 조사수행기관을 맡아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 사이에 이뤄질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