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 추출 천연물 KIOM-C, 항암 효과 확인
상태바
한약재 추출 천연물 KIOM-C, 항암 효과 확인
  • 승인 2014.07.24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춘호 기자

김춘호 기자

what@http://


한의학연, KIOM-C의 종양세포 성장·전이 억제 효능 추가로 밝혀
한방처방을 바탕으로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물질이 종양세포의 성장 및 전이 억제에도 탁월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기존 항암제가 가진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도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기존의 항암 치료법을 보완·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진열 박사
한국한의학연구원 마진열 박사팀은 2011년 신종플루 치료제로 개발한 ‘KIOM-C’로 동물실험한 결과 종양세포의 성장을 최고 79.1%, 폐 전이를 최고 71.5%로 억제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국내 및 국제 특허 출원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누드마우스(athymic nude mouse, 가슴샘 없는 생쥐) 대퇴부에 악성 종양을 접종한 후 대조군에는 식염수를, 실험군은 KIOM-C를 농도별로 2개 군으로 나눠 각각 85mg/kg, 170mg/kg을 매일 1회씩 10일간 경구투여(입으로 투여)했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170mg/kg 농도에서 종양의 크기가 최대 79.1%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KIOM-C를 경구투여한 실험군에서 종양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팀은 In-vitro(세포 실험)에서 KIOM-C가 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단백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종양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종양 전이 억제 실험에서 먼저 마우스(C57BL/6)의 꼬리 정맥에 고전이성 암세포(B16F10)를 주입했다. 이후 대조군에는 식염수를, 실험군에는 KIOM-C를 농도별로 2개 군으로 나눠 각각 170mg/kg, 510mg/kg을 매일 1회씩 17일간 경구투여했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510mg/kg 농도에서 폐 전이가 최대 71.5%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연구팀은 세포독성이 없는 조건의 In-vitro(세포 실험)에서 KIOM-C가 종양 전이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과 이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유전자발현조절단백질)의 활성을 함께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GLP 인증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KIOM-C의 △급성경구독성시험 △생물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 이상 시험 △소핵 시험(유전독성을 규명하기 위한 시험법 중 하나)을 의뢰한 결과, 모두 기준을 통과하면서 안전성을 확인했다.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KIOM-C를 투여한 군에서 폐로 전이된 검은색 종양의 콜로니 개수가 현저하게 적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F 폐의 앞면, B 폐의 뒷면).

KIOM-C는 2011년 마진열 박사팀이 개발한 15종 이상의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천연물로 신종플루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팀은 KIOM-C의 항바이러스 효과와 더불어 항암 효능도 확인한 셈이다.

또한, 이번 연구결과로 항암 치료 과정에서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기존의 항암 치료법을 KIOM-C가 보완·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재 연구팀은 유효 성분을 분리·추출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에 있으며, 기술이전을 통한 천연 항암제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마진열 책임연구원은 “전통적인 한방처방을 기반으로 개발된 KIOM-C가 구성 생약 성분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부작용은 없으면서 뛰어난 항암 효능을 보였다”면서, “최근 항암제 개발 추세가 암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경구제 개발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임상시험을 거친 후 상용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승훈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은 “한의학에 근거해 개발한 신약 물질은 우리 선조들의 풍부한 임상경험을 통해 이미 그 유효성과 안전성이 입증된 만큼 개발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경제적이다”라며, “앞으로도 한의학연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천연물 신약 소재 개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PLoS ONE’(IF 3.73) 5월호(온라인)와 종양 관련 유럽의 국제전문학술지(SCI)인 ‘Oncology reports’(IF 2.297) 1월호에 게재됐다.

김춘호 기자 what@mjmedi.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