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자본에 한의시장 잠식 시작되나?
상태바
거대 자본에 한의시장 잠식 시작되나?
  • 승인 2011.08.18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예정 기자

이예정 기자

ingpage@http://


KGC라이프앤진 8일 ‘보움스퀘어’ 1호점 개관

건기식과 한방치료 접목, 한약시장 독점 우려

KT&G의 자회사인 KGC라이프앤진(대표이사 김상배)이 최근 ‘생활한방스토어’를 표방하며,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직영 브랜드샵인 ‘보움스퀘어’1호점을 개관하고 각종 언론에 대대적인 홍보작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한의계에서는 의료민영화의 시발탄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의료시장이 매우 기형적으로 형성돼 있어 한·양방 모두 거대 자본이 집중된 병원만 살아남고 영세병원 및 의원들은 고사되는 분위기에서 거대자본이 투입된 한의원은 더 활황을 누리겠지만, 그 외 영세 한의원들은 고사될 것이므로 거시적으로는 한의학시장이 위축되고 취업자리가 더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보움스퀘어 1호점 매장은 전체 1∼2층으로 구성된 가운데, 1층 매장에는 건기식, 한약재(농산물 표기) 등을 포장해서 판매하고 있고, 곳곳에 동영상을 이용한 광고와 깔끔하고 세련된 인테리어로 단장돼 있으며, 2층에는 한의원이 입점해 있는 상태다.

그리고 매장에서는 건강기능식품, 한방식품, 자연식품, 헬스&뷰티 케어 등 품목, 법률상으로 문제가 없는 ‘환제’ 등 약 140여 개의 상품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직영점 2호로는 8월 말에 목동점이, 3호점으로는 9월 초에 대치점의 오픈이 확정돼 있다. 이들의 경우 일반인이 운영하는 형태와 한약사가 운영하는 형태이며, 초기에 이들 형태에 대한 검증을 위한 시범운영을 중심으로 성과를 검증한 뒤, 본격적인 프랜차이즈 정책수립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써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프랜차이즈 운영에 역점을 두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한의사 한약사와 결합한 형태를 추진하기 위해 한의사 한약사 일반인 3가지 형태의 직영점을 운영한다는 것이다.

만약 한의원이 개원을 한다면 운영의 형태는 매출 부분에서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하지만, KGC라이프앤진 측이 제공하는 제품을 취급해야 한다. 개원에 필요한 초기 비용은 인테리어와 초도제품비 등을 합해 8천∼9천만원 선이 될 것으로 보이며, 그 외 별도의 가맹비 500만원이 책정될 전망이다.

KGC라이프앤진 측이 한의사와 결합하면서 가장 역점을 두고자 하는 분야는 안전한 한약재 공급이라고 한다.

KGC라이프앤진의 한 관계자는 “한의사의 경우 탕제는 자제해 주길 바라고 있으며, 다만 100처방 내에서의 처방과 보움에서 제공하는 제품을 공급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며, “추후 한국인삼공사에서 한약재 공급까지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한 한의사는 “이는 한의사들 스스로의 전문성을 축소하는 것으로, 향후 한의사가 전문 의료인으로의 위상이 크게 실추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거대한 자본의 투입으로 전체 한약시장을 독점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렇게 된다면 한약재의 중간소비자인 한의사들뿐만 아니라 한약재 유통업체들의 경우도 커다란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한의사는 “현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한약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안의 재정비 부분인데, 한의협을 주축으로 학회 대학 등이 공동으로 참여해 부작용이 많거나 독성이 강하거나 습관성·의존성이 큰 한약재들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마련해서 식약공용 품목을 대폭 축소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한의협의 한 관계자는 “지난 주 담당팀이 현장을 방문했고, 현재 여러 정황을 파악하고 있으며, 조만간 건강기능식품관련 TF위원회(위원장 김호철)를 소집해 한의협의 입장을 정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의료실천연합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 이유로 참실련의 한 관계자는 “자본과 의료의 결합 자체가 의료시장의 왜곡을 가지고 올 것이며, 잘 되든 안 되든 전체 한의사의 이익에 반하는 결과를 가져올 게 뻔하며, 의료인으로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들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예정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