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 볼모로 한의계 위협
상태바
국민건강 볼모로 한의계 위협
  • 승인 2010.01.08 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진성 기자

최진성 기자

cjs5717@http://


뜸사랑 등 제도권 진입 위해 여론몰이 가속화
국민건강 볼모로 한의계 위협
뜸사랑 등 제도권 진입 위해 여론몰이 가속화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불법 무면허 의료행위자들의 발호가 올해도 거셀 전망이다. 고려수지침학회는 며칠 전 모 유력 신문에 한의계가 자신들을 핍박한다는 톤의 광고를 게재했다. 한의계가 뜸사랑 단속 관련 보도자료를 내놓자, 위기감을 느낀 나머지 선수를 치고 나온 모양새다. 여론을 호도하려는 의도가 역력하다. 제도권 진입을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는 이들 행태에 한의계는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 쯤에는 뜸사랑 회원들이 제소한 위헌 제청 결과가 나올 예정이어서, 한의계는 대외적 원군을 확보해야 하는 절박한 입장이다. 불법 무면허 의료행위자들이 그 어느 때보다 여론몰이에 집중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뜸사랑과 수지침 무료봉사 속 이면은?
지지층 확보 위한 얄팍한 전략에 불과


유사의료행위 단체들이 정부 당국의 강력한 단속에도 무료봉사를 계속 감행하는 이유는 하나다. 침구사법 부활과 수지침사법 인정 등 제도권 진입에 있다. 이들은 오랜 세월 강습비로 탄탄한 재정을 확보했고 고위공무원, 언론인, 사회 저명인사 등 언제든지 자신들을 지지하거나 우호세력이 돼줄 인적관계까지 확보한 상태다.

문제는 보건 관계 당국의 불허 의지와 한의계의 저지선을 흔들리게 할 민심을 선점하는 것이다. 뜸사랑과 고려수지침요법학회 등은 그래서 침구봉사에 매달리고 있다. 하지만 뜸사랑은 작년에 김남수의 자격정지 처분, 뜸사랑 회원들의 대거 입건, 강의료 착복 및 탈세 논란 등으로 이미지 훼손이 컸다.

물론 이런 결과가 김남수와 뜸사랑에 대한 동정여론을 확산시켰다는 지적도 있다. 여전히 뜸사랑이 한의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인 셈이다. 여기에 최근 들어 수지침도 가세했다. 수지침사법 추진위원회(위원장 이상운)는 5일 조선일보에 ‘한의사협회는 수지침 강좌와 수지침 자원봉사의 방해를 즉각 중지하라’는 성명서를 광고로 실었다. 위원회는 광고 성명을 통해 대가성 없는 수지침 시술의 비위법성 등을 알리는 대법원 판례(2000년 4월25일) 등을 제시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현행 의료체계로부터 소외된 불치환자나 노인들에게 순수봉사를 펼쳤다며 국민을 현혹하고 있다.

한의계와 유사의료단체 질곡의 역사
침구치료 부작용․한약무용론 등 파장


이들 단체의 불법 의료행위는 역사가 길다. 뜸사랑은 1984년 지방 봉사활동을 시작으로 1993년 애구회(愛灸會)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강좌와 무료봉사 미명 아래 뜸실습에 들어갔다. 한의계와 갈등이 심화된 시점도 이때부터다. 이후 국회에 뜸봉사실을 마련하고 김춘진 의원 등을 통해 제도권 진입을 시도하면서 지금까지 한의계와 여러 차례 마찰을 빚었다. 작년 12월 말에 ‘구당 김남수, 침뜸과의 대화(저자 이상호)’라는 책을 통해 한약이 효과가 없다고 주장해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수지침의 태생과 역사도 뜸사랑 못잖다. 고려수지침요법학회는 유태우 회장이 1975년 고려수지침학회를 창립하면서 국내활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처음부터 수지침을 한의학의 경락이론과 다른 체제를 가진 ‘제3의학’ 또는 ‘생명의학’ 등으로 주장하며 차별화 노선을 걸었다. 이 과정에서 제도권 진입이 여의치 않자 한의학을 공격해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려는 전략을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한의계와 갈등이 정점에 달한 것은 2006년 유태우 회장이 제작한 ‘한방약 부작용의 실상’이란 책자를 전국 보건소에 배포했을 때다. 이 책에는 일반인의 한약 복용 부작용 사례는 물론 수지침학술대회 참가자 87.1%가 한약 부작용을 경험했다는 비객관적인 설문조사도 실려 있다. 당시 한의계는 한수위(한의학 발전과 국민건강 수호위원회)를 통해 성명서 발표와 고발 등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이이제이 전략구사도 필요
전선다각화는 역효과 야기

불법 무면허 의료행위자들의 공격에 고군분투해야 하는 한의계는 이제 전략의 다각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한의협 임원 출신 한의사는 “일선 한의사들은 불법 무면허 의료단체들을 공공의 적으로 간주하고 직접 공격에 나서고 싶겠지만 이이제이(以夷制夷)의 전략구사가 더 필요하다 본다”며 “뜸사랑과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재야단체 등을 우리 측으로 끌어들여 일정한 협력관계를 구축해야지 전선을 다각화하는 것은 역효과”라며 선택과 집중을 강조했다.

문제는 이런 전략에 대한 일선 한의사들의 이해와 지지다. 한의학에 대한 일방적 폄훼공격이 나올 때마다 개원가의 정서적 반발은 무척 거세다. 그는 이에 대해 “한의협 차원에서 개원가에 충분한 사전설명을 해주면 가능한 일이다. 하다 못해 메일을 이용해서라도 대략적인 전략만 설명해도 이해 못할 한의사는 없다”고 주장했다.

최진성 기자

100111-보도-무면허 의료행위-최진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