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정보] 한의원 실내건축 계획
상태바
[경영정보] 한의원 실내건축 계획
  • 승인 2003.03.27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환자는 균형잡힌 인테리어를 원한다

유 운 형(메디컨설트 대표, 경희대 의료경영학과 겸임교수)


□ 한의원 인테리어의 의미

의료기관의 인테리어는 의료서비스가 전달되는 중요한 하드웨어 장치라고 볼 수 있다.

하드웨어가 갖출 핵심적인 세 가지 요소는 그 자체로 견고한가, 기능의 전달 - 즉 하고자 하는 일에 쓸모가 있는가, 그리고 결과적으로 아름다운 느낌을 주는가 하는 점이다.

기존의 한의원 인테리어를 이런 관점에서 살펴보면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주로 시각적인 미적 추구나 기본적 견고성을 얻기 위하여 기능이 희생된 경우가 많다.

한의원에서의 인테리어는 의사가 환자와 만나서 무슨 일을 어떻게 하는지를 면밀히 관찰하고 그 때의 각자의 행동적 심리적 변화는 어떠한가를 평가하고 이를 순기능으로 풀어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의료기관 인테리어의 새로운 시각

1. 의료시설의 인테리어는 그 필요성에 관하여 그간 많은 오해와 애증을 실험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라 부르는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과 낮은 이해도가 그 원인이기도 하지만 지난 수 십년간의 의료서비스 산업의 발전이 여러 가지 제도적, 사회적 이유로 부진한 데서 원인을 찾을 수도 있다.

2. 의료서비스와 질병의 상태는 이제 우리 일상에서 제외시킬 수 없는 보편화된 삶의 한 형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의료기관은 학교나 관공서, 호텔이나 공항 처럼 불특정 다수의 이용이 보편화된 장소이다.

이런 시설들이 갖춘 실내환경의 수준을 보아도 병원의 환경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낙후되어 있는지 잘 알 수 있다.

일부 의료수가가 통제되지 않는 종목(성형외과, 치과 등)의 의료시설은 이러한 사회적인 흐름과 같은 수준이거나 더 향상된 환경으로 조성되는 것에서 그 대비는 더욱 두드러진다.

무엇이 상대적인 낙후를 조장하는 요인일까 살펴보면 재정적인 이유보다는 의외로 오랜 시간 동안의 독점적인 서비스 제공 행태가 나은 무관심과 서비스 정신 결여가 그 원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3. 소비자인 환자의 묵시적인 요구는 도외시 한 채로, 진료만 열심히 하면 된다거나(대학병원), 그나마 환자를 돌봐준 것에 대한 우월한 지위에서의 시혜적인 발상(과거의 공공의료시설), 지역적인 특수성을 빙자한(환자는 저소득층에 많다) 환경개선 노력 미흡 등이 흔히 보던 의료시설 건축환경에 대한 태도이다.

그러나 이제는 환자의 욕구가 노골화되고(환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의료시설이 자신에게 합당한 대우를 해주기 원한다.

즉, 백화점 이용고객 처럼 자신에게 걸 맞는다.

또는 어울린다는 느낌을 중시하는 소비자이다) 미흡한 환경으로는 선택받지 못한다는 점을 깨닫고 개선책에 관심도가 증가되고 있는 분야가 바로 인테리어이다.

4. 인테리어는 환자의 삶의 질을 올려 주고자 하는 의료기관의 성의표시로 이해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인테리어는 합리적인 기능을 충족시켜야 하는 더 중요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있을 것이 제 자리에 있어서 쓰기에 편리하고, 쓰기에 편리한 것은 저절로 만족스럽게 보인다는 비결이 숨어 있는 것이다.

무턱대고 소모한 고급재료, 어울리지 않게 사치스러운 느낌을 주고자 한 장치, 기능은 잘 충족이 되지 않았는데도 아름다움만을 추구한 것 같은 불균형 등이 인테리어에서 피해야 할 항목이다.

□ 달라져야 하는 사고방식

5. 의료기관의 인테리어에 관해서 달라져야 하는 사고방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인테리어는 사람의 환경을 조성하는 피상적인, 가시적인 부분에 덧붙이는 요소가 아니라 실내에서 하고자 하는 일을 잘 할 수 있는 환경과 장치를 통틀어서 일컫는 것이다.

㉯ 따라서 전문가에게 일을 의뢰할 경우도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자세히 알려주어서 거기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게 만들어야 한다.

㉰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잘 알려 주기 위해서는 진료내용을 미리 문서로 작성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 자신이 돌 볼 환자의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특성을 연구하여 요구사항을 미리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 환자는 완성된 진료환경에서 배열된 사물의 기호적인 언어를 통하여 자신을 얼마나 배려하고 있는 지 읽어 내므로 성의를 보일 수 있는 요소(예; 청소상태, 정돈상태, 친절도, 서비스 태세 등)가 실내 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한다.

㉳ 절약할 항목과 꼭 돈을 들여야 할 곳에 대한 우선순위를 매겨둔다.

㉴ 의료기관의 인테리어는 주기적으로 개선되고 확장되는 성질을 가지므로 최초 시설할 경우는 간막이 변경, 도색 주기나 청소 주기 등을 염두에 두고 설치하고 다음번 업그레이드 할 때는 무엇을 개선 하겠는지 항상 연구해야 한다.

㉵ 환자는 어울리지 않는 가구나 비품(특히 기증된 물품)에 대하여 아주 낮게 평가하므로 불필요하거나 특별한 의도가 있지 않다면 반입을 하지 않는다.

㉶ 항상 환자에게 더 많은 자연광과 공간, 창문을 할애하려고 노력한다.

㉷ 전체적인 시설의 규모와 윤곽을 시설이용자가 짐작할 수 있도록 공용부분을 계획한다.

㉸ 인테리어의 내용연수인 5 년 후에는 무조건 시설을 업그레이드 한다.

㉹ 직원의 근무여건으로서의 인테리어라는 관점을 함께 고려한다.

6. 인테리어는 균형의 문제이지 절대기준이 있어서 이에 맞추려하는 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환자는 자신의 몸이 불편할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장소가 자신의 잠자리라는 점을 감안하면 저절로 의료기관의 인테리어가 창조해야 하는 공간의 특성이 드러난다.

즉, 심리적으로 부담이 없어야 하고, 특별한 점이 없지만 제 자리에 모든 것이 정돈되어 있어야 하며, 환자자신의 사회적인 프라이드에 걸맞아야 하고, 환경제공자인 의료진의 성의를 드러내는 정도면 충분하다.

다만 무엇이 이러한 것들을 가능케 할 것인지는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