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現代 韓醫學 人物史36] 鞠明雄(1907~1987)
상태바
[近現代 韓醫學 人物史36] 鞠明雄(1907~1987)
  • 승인 2009.02.27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남일

김남일

webmaster@http://


實驗精神으로 金絲鍼 개발 보급에 헌신

1980년 한의계는 침구사제도의 부활을 위한 주변 단체들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해 초비상상태에서 이의 저지를 위한 노력을 하게 되었다. 한의사협회에서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 실행위원회를 구성하여 정부 측에 그 부당성을 진정서로 호소하는 작업을 계속 이어나갔다.
침구학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가 불거진 이 시기에 하나의 한의서가 나온다.
『金鍼 및 鍼灸療法과 陰陽體系實證』이라는 책이 그것으로 “鍼灸臨床50年實記”라는 副題가 붙어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이 책의 부제처럼 50여 년간 鍼灸臨床으로 이름이 나 있던 鞠明雄이라는 한의사다.

鞠明雄은 당시 대구시 서구에서 한의원을 운영하는 한의사로서 활발한 활동으로 국제적으로 이름이 나 있었다. 1907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난 후 1926년 일본 동경 상야미술학원을 졸업하였다. 그가 한의사로 활동을 시작한 것은 1957년 한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한 이후다.
이후로 1972년 國際金鍼學會長에 被選되었고, 1975년 臺灣 醫史記念學會에서 心惱學會 顧問으로 초빙되었고, 1976년과 이듬해에는 대한한의학술대회 심사위원으로 피선되기도 하였다.

이외의 저술로 1959년의 『脈學解說』, 1963년 나온 『脈學原理』가 있다. 脈學은 그가 한의사가 된 초창기부터 관심을 가졌던 분야로서 『醫林』 등에 연이어 학술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脈學解說』의 自序에서 그는 이 책을 간행한 취지를 “우리 한의학계에 新進學徒의 診斷學硏究에 一端의 補充參考가 될까하는 생각과 또 沈滯狀態를 면치 못하고 雲中無形을 좇는 격으로 窮極中에 잠긴 우리 한의학계의 현실을 타개하야 難解的인 熟語를 科學的인 現實로 具體化하는 意味에서 今般에 감히 執筆하게 된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脈象을 “五體內外의 生活狀態를 詳細하게 表現하는 生理生化的 律動의 原理”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陰陽論을 전기의 +-전기와 연계시켜 설명을 시도하였다. 이것이 바로 그가 金鍼의 원리와 연결시키려고 한 접점에 있는 이론적 기초이다.
그는 “氣라는 뜻은 어떠한 물질성분이 간직하고 있는 그 물질의 힘, 즉 荷電이다”라고 鍼의 운용대상인 氣를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鍼이라는 의료기구는 “大氣와 人體사이를 媒介하여 주는 안테나 역할을 하는 주요한 기구”가 되며 이를 운용하는 한의사는 전자적 활동을 조절하는 것을 주역할로 삼게 되는 것이다.

그가 陰陽體質區分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도 이와 관련이 깊다. 체질측정방법과 실례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 몸은 남성의 경우를 우위로 삼는다. 여성은 차위로 삼는다. 남녀는 일신의 음양분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따져 보면 남녀를 합한 상태가 천지 우주생명력순환 원칙에 어긋남이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풍이라는 전신장애의 현 증상이 그 실례인 것이다. 남성의 중풍장애증상은 우측의 불수가 초단계요, 좌측불수가 재단계인 것이다.”
음양체질이 구별되면 체질에 따라 12경맥의 해당 혈자리에 金鍼을 주입하는 것이 이 鍼法의 요점이다.

『金鍼 및 鍼灸療法과 陰陽體系實證』에는 각종의 純金注入經絡穴處方들이 나열되어 있고, 전신에 분포된 要穴들이 圖解되어 있다. 이것들은 아마도 저자의 치료혈들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러한 공적으로 1970년에는 許浚醫學論文賞을 수상하였고, 1972년과 1974년 그리고 1978년 한의학논문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1974년에는 人體治療用 金鍼의 實用特許權을 獲得하였고, 1978년에는 金鍼鍼灸療法과 陰陽實證이란 著書의 功績으로 미국 WUM, UNION 대학원에서 명예 이학박사학위를 취득하기도 하였다.

그는 『醫林』에 각종 논문을 발표한다.
「새로운 脈學 해설론」, 「脈學의 원리」, 「純金 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의학적인 영향과 나의 생각」, 「鍼術에 있어서 金絲粒子 埋沒 자극과 銀絲粒子 埋沒 자극의 시술에 따른 효능의 차이에 대하여」, 「임상 치료로 본 한의학의 전망」, 「소아마비에 관한 임상 보고」, 「生理電氣的 인체순환과 그 임상 實例」, 「病理傳經과 臟腑傳經 등의 鍼灸學的 치료방법에 따른 金鍼 注入 요법」, 「經絡에 대한 나의 생각」, 「副腎障碍로 인한 질환」, 「임상에서 경험한 補瀉 방법과 진단」, 「당뇨병에 대한 임상 치료 사례」 등이 그것이다. <월 1회 게재>

金南一
경희대 한의대 醫史學敎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