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서산책211] 醫心方
상태바
[고의서산책211] 醫心方
  • 승인 2004.07.23 1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三國醫學 殘片 남은 房中術의 성전

일본의 의관 丹波康賴가 984년(永觀 2)에 지었다는 이 의방서는 동양 3국의 전통의학 문헌 중 방중술에 대해 전문적으로 기술한 성의학의 고전으로 통한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이 보다도 잊혀진 고대 삼국시대 의학의 잔편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크다.

더욱이 여기 수록된 내용은 중국 隋唐시대 이전의 문헌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미 잃어버린 것으로 보이는 고의서의 내용이 담겨져 있어 보존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본은 일본 淺倉屋 藏板으로 安政元年에 원작자의 후손인 多紀元堅과 多紀元昕이 남긴 ‘刻醫心方序’에 전래 경위가 소상히 밝혀져 있다.

또 校勘姓氏에 보면 앞의 두 사람이 總理로 되어 있고 校勘에 喜多寸直寬, 副校勘에 澁江全善, 森立之 등 일본판 『의방유취』인 聚珍板 목활자본 간행 관련자와 동일한 것을 보아 같은 시기 江戶醫學館의 주요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影寫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매권마다 첫머리에는 목차를 따로 두고 권말에는 背記나 札記를 두어 원문의 오류나 의심나는 곳을 교감해 둔 것으로 보아 공을 많이 들였음을 알 수 있다.

발문에는 半井氏 가문에 수장해 오던 卷子本과 粘葉本을 참조하여 1857년에 影刻했다고 밝히고 있다.
본서는 후에 중국 인민위생출판사에서 1955년과 1993년 두 차례 영인 출판하였다.
전서는 총 30권 분량으로 대형 의방서이다.

권 1에는 治病大略과 服藥法, 合藥法 권 2에는 침구수혈, 권 3에서 14까지는 내과잡병 및 六淫질환, 時行病 등이 들어 있고 권 15~17에는 癰疽, 정腫 등 외과병증, 권 18 湯火傷, 禽獸傷, 권 19~20 服石, 권 21~23 婦人病, 권 24 占候, 권 25 小兒病, 권 26 延年, 斷穀, 권 27 養生導引, 권 28 房中術, 권 29 음식금기, 권 30 食療本草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에는 삼국시기 우리 의학의 편린을 살펴볼 수 있는 두개의 조문이 실려 있는데, 2조문의 百濟新集方과 4조문의 新羅法師方이 그것이다.

백제신집방 중 하나는 권 15 治肺癰方으로 황기 1냥을 물 3되를 붓고 달여 1되를 3번 나눠 마시는 것이다.
또 하나 권 16의 治丁腫毒은 독기가 이미 심장에 들어가 괴로워 죽을 것 같은 증상에 쓰는 처방으로 국화의 잎과 줄기를 함께 찧어 즙을 거른 다음 3되를 한번에 마신다고 하였다.
4조문의 신라법사방 중 첫 번째는 권 2 鍼灸服藥吉凶日第七·服藥頌에 기록된 복약주문으로 다음과 같다.

“新羅法師方云 凡服藥呪 曰南无東方藥師瑠琉光佛, 藥王藥上菩薩, 耆婆醫王, 雪山童子, 惠施阿竭, 以療病者, 邪氣消除, 善神扶助, 五藏平和, 六府調順, 七十万脈, 自然通張, 四체强健, 壽命延長, 行往坐臥, 諸天衛護莎訶.”
동쪽을 바라보고 이 주문을 한 차례 誦讀하고 나서 약을 복용하라(向東誦一遍乃服藥)고 되어 있는데, 대체로 고대 인도 밀교의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것은 권 10의 治積聚方으로 續隨子의 껍질을 벗기고 술 1홉에 섞어 먹되 27알을 나이에 따라 가량하여 먹는다.
다음 2조문은 모두 권 28의 房內篇·用藥石에 수재되어 있는데 하나는 新羅法師流觀秘密要術方으로 唐나라 法師 惠忠傳에 등장하는 法藏驗記를 인용하여 의약설화를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新羅法師秘密方인데 이는 露蜂房으로 妙藥을 만들어 催淫劑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 것이며 내복과 외용이 모두 가능하다 하였고 無損有益, 無病長命한 약이라고 장담하였다.

露蜂房은 이미 오래 전부터 중원지역에서도 약재로 사용해오던 것으로 「神農本草經」에도 올라있지만 위와 같은 용법과 효능으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고려 고종 때 崔宗峻이 펴낸 「御醫撮要方」(1234)에는 위와 비슷한 용법의 처방이 다수 들어있는 것으로 보아 신라의 향약의방이 고려 황실처방으로 전해져 내려왔던 것으로 판단된다.

몇 조문 되지 않아 삼국 혹은 통일신라 시기 의학의 모습을 다 그려내기에는 부족하지만 이 시기 일본에 전해진 우리 의학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어 매우 소중한 기록이 아닐 수 없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안 상 우
(042)868-9442
answer@kiom.re.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