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락 교수가 쓰는 주의해야 할 한약재들(9)
상태바
김인락 교수가 쓰는 주의해야 할 한약재들(9)
  • 승인 2004.04.23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중국 懷牛膝(懷慶産)을 최고로 친다

■ 우 슬 ■

1. 우슬의 각국 기원 식물

우슬은 신농본초경에 上品藥으로 수록되었으며, 맛이 쓰고 시큼하며, 약성은 평하고 肝腎경으로 들어간다.
肝腎을 補하고 筋骨을 강하게 하며, 어혈을 없애고 경맥을 통하게 한다.
아울러 인경약으로 혈을 끌고 아래로 간다.
식물의 마디가 쇠무릎처럼 부풀어 올랐으므로 우슬이라 하는데 진드기가 들어가서 이렇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식물로는 대한약전에서는 Achyranthes fauriei Leveille et Vaniot 또는 Achyranthes bidentata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로 규정하여 일본약국방과 동일하며, 중국약전에서는 Achyranthes bidentata Bl. 의 뿌리만 인정하고 있다. <표>

Achyranthes는 희랍어의 achyron(겨)과 anthos(꽃)의 합성어이며 연한 녹색의 꽃이 쌀겨처럼 보인다는 뜻이다.
bidentata는 어금니같은 톱니나 뾰쪽한 톱니가 있다는 의미이다.

2. 회우슬

현재 중국에서는 懷牛膝을 가장 우수한 것으로 인정한다.
회우슬은 하남성 焦作市 武陟懸, 溫懸, 沁陽懸, 博愛懸, 新鄕市 輝懸에서 나는 것으로, 중국에서는 지역마다 전국에서 가장 우수한 약재를 선정하여 道地藥材라 하는데 우슬은 懷慶産이 도지약재이다.

회우슬이 우수하다는 기록은 명의별록에서 확인된다. 명의별록은 500년대에 나온 것으로 약재의 산지가 기록되기는 최초인데, 우슬은 ‘今出近道葵州者, 最良. 大柔潤’이라 하였다.

葵州는 현재 河南省 武陟懸과 沁陽懸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어서 나온 도홍경의 本草經集注에서도 ‘河內川谷及臨구’이라 하였는데 현재 河南省 汝南懸에 해당한다.
뿐만아니라 千金翼方에서도 懷州에 우슬이 난다하고, 日華子本草에서는 ‘懷州者, 長白. 近道蘇州者, 色紫’라 하였고, 圖經本草에서는 ‘懷州者, 爲眞’이라 하고, 本草衍義에서는 ‘長三尺者, 最佳’라 하였다. 도경본초에 수록된 우슬그림에서 懷州우슬은 뿌리가 곧고 측근은 적다. <그림 1>

武陟懸志(1829년)에서는 ‘河朔地多肥美, 其近于泌濟間者, 尤宜于玆草…’라 하고, 아울러 ‘牛膝, 以懷慶爲佳’라 하였다.
懷慶이란 말은 元 仁宗 延祐 6년(1319년)에 懷孟路를 懷慶路라 한 것이 처음이다. 明에서는 懷慶府로 되고, 後魏때 懷州라 하였다.

서쪽과 북쪽에는 太行山脈이 있고 남쪽에는 黃河와 지류인 沁河가 위치하여, 모래섞인 황토층이 잘 발달하였다.
따라서 겨울에는 북쪽의 찬기운을 산맥이 막고, 여름에는 남쪽의 더운 기운을 황하가 막으며, 비가 많이 오는 것도 아니지만 황하가 흐르므로, 겨울에는 지나치게 춥지 않고, 여름에는 지나치게 덥지 않으며, 습하지도 않고 건조하지도 않은 지역이다.

이곳의 우슬은 곁으로 가지를 치지 않고 곧게 뻗어 무려 1.5m나 되고, 지름도 4~10mm나 되고 心은 거의 없으며, 꺽어지기 쉽고 기름지다.
<사진 1>과 <사진 2>는 안휘성의 보주약재시장에서 구한 것으로 길이가 45cm 가량되고 단면 가운데 지름 1mm 정도되는 心이 있다. <그림 2·사진 1, 2>

3. 회경의 4대 명약

회경인 河南省 武陟懸, 沁陽懸, 孟懸, 溫懸일대에는 4대 명약이 있는데 우슬 이외에도 地黃, 山藥, 菊花가 예로부터 유명하다.

4. 회우슬의 3종

회우슬 중에도 3종이 있는데, 잎맥이 거칠고 돌기되어 호두잎처럼 생긴 것을 ‘核桃汶’이라 하며, 이외에 뿌리의 노두가 큰 것과 작은 것이 있다.
이 중 핵도문이 가장 우수하다. 최대길이가 1.5m이며 懷參이라고도 하고, 18拳長이라 한다.
주먹 한번 쥐면 길이가 8cm 정도이므로 이를 18번 쥐면 150cm 정도에 해당한다. 생산량이 충분하여 자국내의 수요를 충족하고 수출도 한다.

5. 회우슬과 일반우슬

중국에서도 회우슬을 회경 이외의 지역에 옮겨 심으면 뿌리가 곧게 뻗지 못하고 잔뿌리가 많이 나서 품질이 떨어진다.
우슬에는 회우슬 이외에도 종류가 많이 있다. 도경본초에서만 그림이 4종 있는데, 회주우슬 이외에 단주우슬, 귀주우슬, 제주우슬<그림 3, 4, 5>이 있다.

이들은 모두 잔가지가 많이 나고 곧게 뻗지는 않았다.
아쉽게도 한국에서 나는 우슬은 잔가지가 많고 肉도 별로 없으므로 본초서에 비추어 볼 때 품질이 우수한 것은 아니다.
더구나 현재 중국으로부터 한국에 수입되는 것은 회우슬도 있지만 한국산처럼 생긴 것도 많다. <사진 3>

필자는 부산에서 수입한약재를 관능검사하면서, 우슬을 한국산같은 것을 수입하는 것을 볼 때마다 안타깝게 생각한다.
현재로서는 한국산우슬과 회우슬이 모두 수록되어 있으므로 한국산 같은 것을 수입하더라도 당연히 합격이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중 하나로 소비자인 한의사들이 회우슬을 공급자에게 요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6. 천우슬

川牛膝은 唐대 會昌년간에 나온 理傷續斷方(841~846년)에 처음 수록되었는데, 이 처방집은 골절상이나 외상전문치료이므로 牛膝을 보약으로는 사용하지않고 어혈치료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천독활, 천초, 천망초, 천견우, 천강활, 천오, 천궁, 천산갑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천우슬은 본초서보다 처방집에 먼저 수록되었으며, 본초서에는 蘭茂가 지은 전南本草(1436~1449년)에 실렸다.
천우슬은 Cyathula officinalis Kuan으로 중국약전에는 수록되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그림 6>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