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한의사 참여시스템을 만들어라
상태바
일선 한의사 참여시스템을 만들어라
  • 승인 2003.03.18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최근 한의계 내외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뭔가 일이 벌어지고 있기는 한데 일이 추슬러지기보다 층층이 쌓여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한의계의 최대 관심사인 국립대내 한의과대학 설치 문제는 그 중요성만큼 한의계의 목소리가 크지 않다. 필요성 그 자체야 두말할 나위 없지만 현실적으로 관철시킬 밑그림이 뚜렷하지 않다. 누구나 승복하려면 당위성이 있어야 하는데도 한의계의 논리는 한의계 자체의 필요성은 될지언정 정책결정 라인에 있는 대학, 교육부 등을 설득하기에는 충분하다고 볼 수 없는 측면도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일선 한의사들은 중앙회-지부-분회 조직을 통해 전달받은 정보는 그저 잘 되고 있다는 것쯤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게 간단치가 않다. 보건복지부만 교육부에 1개대 설치를 요청했을 뿐 아무것도 된 게 없다.

오히려 양의·약계가 기를 쓰고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간지 광고까지 내 한의계를 자극했다. 그들은 의학이론적, 보건학적, 행정적으로 부정적 견해를 제기하면서 도발을 했다. 그러니 정치적으로 의사의 이익을 대변하는 의정회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지는 보지 않아도 훤하다. 정치적 압력은 필연적인 수순이다.

이에 비해 한의계는 어떤가? 의협광고가 나간 지 겨우 1주일이 지나서야 한의협 입장이 나오는가 하면 한의협 신문광고는 아직 나오지도 않고 있다. 단지 필요할 경우 중앙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회장단이 신문에 광고할 수 있도록 결의했을 뿐이다.

일선 한의사도 더디기는 마찬가지다. 한의사전용통신망인 AKOM에 이 문제에 관한 글이 2,3건 밖에 올라오지 않았다. 그것도 극히 피상적인 의견일 뿐이었다.

잘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어쩌면 변명처럼 들린다. 근세 100년, 한의사제도가 생기고 50년이 되도록 성사될 기미를 보이지 않은 국립대내 한의과대학 설치가 하루아침에 잘 되리라고 생각한 것 자체부터가 환상이다. 그런데도 1만3천여 명의 한의사중에 그 필요성과 전략·전술을 운위하는 사람이 2,3명에 불과하다면 과연 살아있는 집단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 자문해볼 일이다.

한의계에 드리운 먹구름은 비단 국립한의대 문제 정도가 아니다. 약사회는 한약학과 폐과문제에 대한 한의협성명서를 물고늘어져 싸움닭의 본성을 여지없이 드러내고 있다. 한의사전문의제에 대한 입장 변경, 중국의 외국인에 대한 중의사 자격증 부여 등도 미래한의학의 위상과 직결되는 문제들인데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따라서 지금과 같이 좋은 기회에 1만3천여 한의사가 힘이 되지 못하는 현실은 분명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차제에 참여하고 싶어도 시스템이 없어 참여하지 못하는 일선 한의사들을 고려해 시스템을 과감히 정비할 것을 제안해본다. 소수가 하는 회무시스템을 하루속히 벗어나 체계적인 의견수렴장치를 갖춰야 하지 않을까?

위기는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개인사도 위기의 연속이자 위기의 극복과정에서 스스로 성장한다. 한의학사도 도전에 응전하는 과정에서 발전하는 것이다. 모든 한의사가 응전에 참여한다면 국립한의대도, 중국유학생 문제도, 전문의제도, 그리고 한약학과 문제도 모두 길이 있기 마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