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시호가용골모려탕 – 불안, 우울의 first choice②
상태바
[기고]시호가용골모려탕 – 불안, 우울의 first choice②
  • 승인 2022.03.24 0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승원

권승원

mjmedi@mjmedi.com


일본 CPG 속 한방약 엿보기 (53)
경희대학교한방병원순환신경내과 부교수 권승원
권승원
경희대한방병원
순환신경내과
부교수

CPG 속 시호가용골모려탕의 모습은? (표 1 참조)

CPG 속 시호가용골모려탕은 어떤 모습일까? 총 6가지 CPG에 시호가용골모려탕이 등장한다. 이 중 “비추천” 내용을 수록한 1건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신경계, 정신계에 대한 활용을 권고하고 있다.

가장 많이 추천된 증후는 “수면장애”이다. “임신 수유와 약 대응 기본 매뉴얼(개정판)”에서는 임산부의 다양한 증후에 대한 권고를 제시했는데, 불면증이 있을 경우 사용을 고려할 수 있는 한방약 중 하나로 시호가용골모려탕이 이름을 올렸다. 시호가용골모려탕 외에 억간산, 가미소요산이 함께 이름을 올렸으며, 이 처방들을 증(證)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야뇨증 진료 가이드라인 2016”에도 시호가용골모려탕이 등장한다. 이 CPG에서는 야뇨증에 활용할 수 있는 한방약을 야뇨증의 원인인 다뇨, 과민성방광, 수면장애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했는데, 이 중 시호가용골모려탕은 수면장애로 인한 야뇨증에 활용해 볼 수 있는 것으로 추천되기도 했다.

“비만증 진료 가이드라인 2016”에도 등장한다. 비만증 치료 자체에 대한 적용은 아니었고, 충동적 식사행위나 우울증 조절에 활용할 수 있는 한방약으로 억간산과 함께 추천이 되었는데, 부작용이나 상호작용이 일어날 확률이 매우 낮다고 언급했다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삼차신경통에 진료 가이드라인인 “일본신경치료학회 표준적 신경치료: 삼차신경통”에도 시호가용골모려탕이 등장한다. 이 CPG에는 삼차신경통 치료에 대한 증례보고가 있는 다양한 한방약을 소개하였는데, 시호가용골모려탕 외에도 오령산, 시호계지탕, 소시호탕, 계지가작약탕, 작약감초탕 등이 함께 소개되었다.

의외로 생각될 수 있는 분야의 내용도 있다. 바로 남성불임이다. “산부인과 진료가이드라인-부인과외래편 2017”에서는 남성의 정자결핍증에 부작용이 적은 비내분비요법을 자주 활용해 볼 수 있음을 언급하면서 한방약으로는 보중익기탕, 팔미지황환, 시호가용골모려탕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방약 외 함께 추천된 비내분비요법에는 비타민제(비타민 B12,비타민 E), 칼리디노게나아제가 있었다.

아쉽게도 시호가용골모려탕 활용을 추천하지 않은 CPG도 있다. “일본피부과학회 원형탈모진료 가이드라인 2017년판”에서는 시호가용골모려탕, 반하후박탕의 근거수준이 증례집적연구 수준에 머물러있어 현 단계에서는 그 유용성을 판단할 수 없다며 활용을 추천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근거가 축적되어 추후 내용이 변경될 수 있길 기대해보자.

 

임상의의 눈

위에서 언급한 CPG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필자는 이 시호가용골모려탕을 뇌졸중 후 우울에 활용하고 있다. 얼마 전, 관련 체계적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결과도 발표되었는데, 21개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총 1,64명의 환자)을 분석한 결과, 시호가용골모려탕 단독 사용이 항우울제에 비해 Hamilton Depression Scale로 측정한 우울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부작용도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항우울제가 뇌졸중 환자에서 과진정, 인지기능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음을 감안하면 시호가용골모려탕은 보다 활용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시호가용골모려탕을 뇌졸중 후 피로에도 활용하고 있다. 필자는 뇌졸중 입원 진료 환자의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뇌졸중 후 피로’의 발생에 뇌졸중 환자의 우울의 정도와 염증 지표의 수준이 높을수록 피로의 수준을 평가하는 설문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후 재활과정에서 피로를 호소하는 환자들 중 우울이 그 원인인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이 때는 우울에 대한 치료법으로 시호가용골모려탕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임상현장에 계신 한의사분들에게 참고가 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1. 일본동양의학회 EBM 위원회 진료가이드라인 태스크포스(CPG-TF). 한방제제 관련 기록이 포함된 진료가이드라인(KCPG) 리포트 2019.

http://www.jsom.or.jp/medical/ebm/cpg/index.html

2. 조기호. 증례와 함께하는 한약처방. 우리의학서적. 서울. 2015. p.224-228.

3. Kwon CY, Lee B, Chung SY, Kim JW, Shin A, Choi YY, Yun Y, Leem J. Efficacy and safety of Sihogayonggolmoryeo-tang (Saikokaryukotsuboreito, Chai-Hu-Jia-Long-Gu-Mu-Li-Tang) for post-stroke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ci Rep. 2019 Oct 10;9(1):14536. doi: 10.1038/s41598-019-51055-6. PMID: 31601868; PMCID: PMC6787092.

4. Kwon S, Jin C, Cho SY, Park SU, Jung WS, Moon SK, Park JM, Ko CN, Cho KH.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Post-Stroke Fatigue: An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Chart Review Study. Healthcare (Basel). 2021 Nov 19;9(11):1586. doi: 10.3390/healthcare9111586. PMID: 34828631; PMCID: PMC8621383.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