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식·의약 산업 생산 139조 9500억…건기식 12.7% 증가
상태바
지난해 식·의약 산업 생산 139조 9500억…건기식 12.7% 증가
  • 승인 2022.01.27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숙현 기자

박숙현 기자

sh8789@mjmedi.com


마스크 등 의약외품 생산액 전년대비 120.9% 증가한 3조 7100억 원

[민족의학신문=박숙현 기자] 2021년 식·의약품 산업의 총 생산액은 139조 9500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7.2%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홍삼을 비롯한 건강기능식품의 매출이 3조 3,254억원으로 전년대비 12.7% 증가했으며, 마스크 등 의약외품 생산액도 3조 7,1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0.9% 증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가 지난 2020년 식·의약품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발간한 ‘2021년 식품의약품통계연보’를 분석한 결과를 27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2020년 식·의약품 산업의 총 생산액은 139조 9,500억원으로 2019년 130조 5,600억원 대비 약 7.2% 증가했다.

특히 마스크·손소독제가 포함된 의약외품 생산액과 코로나19 진단시약 등 의료기기 생산액은 각각 3조 7,100억원, 10조 1,400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20.9%, 39.2% 증가했다. 식·의약품 산업 총 생산액의 약 60%를 차지하는 식품산업의 생산액은 전년대비 4.1% 증가한 84조 3,300억원으로 식·의약품 산업의 성장세를 뒷받침했다.

식·의약품 산업의 총 수출액은 36조 1,200억원, 총 수입액은 47조 8,400억원으로 전년대비 총 수출액은 31.0%(2019년 총 수출액 27조 5,800억원), 총 수입액은 2.0%(2019년 총 수입액 46조 9,000억원)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수출액이 증가한 주된 원인은 완제의약품과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수출액이 각각 7조 9,300억원(2019년 수출액 4조 800억원), 4조 2,000억원(2019년 수출액 5,800억원)으로 늘었기 때문이고, 화장품 분야의 수출액도 8조 2,877억원(2019년 수출액 7조 6,086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편 식·의약품 생산·유통 통계에서 관찰된 코로나19와 관련한 세부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다.

우선, 코로나19로 평상 시 건강관리와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의 매출액은 3조 3,254억원으로 전년대비 12.7% 증가했다.

건강기능식품 매출액 1위는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홍삼 품목으로 홍삼의 2020년 점유율은 31.9%(1조 609억원)이었다. 항산화·구강에서의 항균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품목과 활동량 감소로 인한 신체기능 보완(유익균 증식 및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락토올리고당 품목의 매출액도 각각 114.9%, 125.7% 증가했다.

◇건강기능식품 매출액 (단위: 억 원)

 

일상 속에서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소비트렌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의약외품의 경우 코로나19 예방목적으로 마스크와 손소독제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액은 전년대비 120.9% 증가한 3조 7,100억원, 국내 시장규모도 전년대비 145.8% 증가한 3조 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스크 생산액은 2조 483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9배(818.1%) 증가하여 최근 3년 간 1위 품목인 치약제를 밀어내고 생산액 1위(점유율 55.1%)를 차지했고, 외용소독제(손소독제, 손소독티슈 등) 역시 생산액 3,890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10배(926.4%) 증가하여 2위(점유율 10.5%)를 차지했다.

의료기기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진단시약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액은 전년 대비 39.2% 증가한 10조 1,358억원을 기록했고, 진단시약의 해외수출에 힘입어 무역수지가 최초로 흑자로 전환됐다. 특히 체외진단 의료기기 생산액은 3조 3,549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6.3배(553%) 증가했으며, 그중 코로나19 진단시약(고위험성 감염체 유전자검사)의 생산액은 1조 4,267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26.4배(2,535%) 증가하여 최근 3년간 생산액 1위를 기록하던 치과용임플란트를 2위로 밀어내고 1위를 차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