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宗損益의 內局 처방에 대한 연구
상태바
醫宗損益의 內局 처방에 대한 연구
  • 승인 2021.06.05 0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mjmedi@mjmedi.com


임상한의사 3인이 연구한 황도순, 황도연(83)

Ⅰ. 서론

<醫宗損益>에는 처방명 앞에 “內局”이 붙은 처방들이 수록되어 있다. 內局은 조선시대 內醫院으로 內藥房, 藥房, 藥房, 藥院 등의 별칭이 있다. 그렇다면 “內局” 명칭이 붙은 처방은 “內局”이 붙지 않은 처방들과 어떻게 다른 것일까? 필자는 이러한 차이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번 호에서는 <醫宗損益>의 內局 처방들을 <濟衆新編>과 <東醫寶鑑>에서 찾아서 원문을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Ⅱ. 본론

1. 內局 처방(가나다 순)

1) 內局薄荷煎元(卯集 咽喉門)

<醫林> 消風熱, 化痰涎, 利咽膈, 淸頭目, 及治鼻衄, 大小便出血. 薄荷 一斤(取葉), 桔梗 五兩, 甘草(灸) 四兩, 防風 川芎 各三兩, 砂仁 五錢. 右細末, 蜜丸, 兩作三十丸. 每一丸, 細嚼茶酒任下. ○<內局>又有白豆蔲.<濟衆>

2) 內局蛇油丸(酉集 雜方門)

<內局> 治瘰癧, 及飮酒熱痰, 或痰腫, 或熱痰成積, 或瘧疾, 或小兒蛔蟲等症. 藥蛇去頭尾, 如法取油, 菉豆水浸, 去皮晒乾, 作末. 右蛇油 二升, 菉豆粉 一斗, 和勻, 入酒少許, 作丸如菉豆, 薑湯, 或溫酒呑下. 此藥性凉, 虛冷者, 不可服.<濟衆>

3) 內局小兒淸心丸(亥集 小兒門)

<直指> 治諸熱, 及驚熱煩燥. 人參 茯神 防風 朱砂 柴胡 各二錢, 金箔 三十片. 右末, 蜜丸, 如梧子. 每一丸, 竹瀝調下.<寶鑑> ○<內局>臘劑, 加犀角 牛黃.<濟衆>

4) 內局神聖辟瘟丹(申集 瘟疫門)

<醫鑑> 歌曰, 神聖辟瘟丹, 曹傳在世間. 正元焚一炷, 四季保平安. ○蒼朮 二兩, 羗活 獨活 白芷 香附子 大黃 甘松 三乃子 赤箭 雄黃 各一兩. 右末, 麪糊丸如彈子, 黃丹爲依, 晒乾. 正朝早晨, 焚一炷.<寶鑑> ○<內局>加虎頭骨.<濟衆>

5) 內局牛乳粥(子集 身形門)

<種杏> 牛乳汁一升, 入粳米細心少許, 煮粥令熟, 常服, 最宜老人.<寶鑑> ○<內局>牛乳盛於鍋內, 定其多少之限, 而量入淸水, 煎熬到限, 始入細米心, 令熟後, 入鹽水少許, 調味以出, 名馳酪粥.<濟衆>

6) 內局牛黃抱龍丸(亥集 小兒門)

<醫鑑> 治急慢驚風, 痰嗽潮搐, 能鎭驚安神. 牛膽南星 一兩, 天竺黃 五錢, 雄黃 辰砂 各二錢五分, 麝香 眞珠 琥珀 各一錢, 牛黃 五分, 金箔 十片. 右細末, 水煮甘草膏, 丸如芡實, 金箔爲衣. 三歲兒服一丸, 五歲二丸, 十歲三五丸, 薄荷湯化下.<寶鑑> ○<內局>臘劑, 去天竺黃, 以釣鉤藤代用.<濟衆>

7) 內局六香膏(酉集 雜方門)

<俗方> 治冬寒凍傷皸瘃. 白檀香 沈束 丁香 零陵香 甘松香 八角香 各一兩, 爲末, 入三升 蜜中浸之, 封口, 經七日或十日 取出, 微溫下篩去滓, 入三乃子 五錢, 小腦 三錢, 冬瓜仁 七兩或十兩, 攪勻, 再下篩, 貯器中用. ○其滓作團, 火燒甚佳, 此謂江梅香. ○<內局>白淸一斗, 以柳木篦不住手攪, 入冬瓜仁末 八兩六錢, 三乃子末 二兩, 小腦末 一兩, 龍腦末 一錢, 和勻用.<寶鑑>

8) 內局衣香(酉集 雜方門)

<俗方> 茅香(蜜炒) 一兩, 白芷 五錢, 沈束 白檀香 零陵香 甘松香 八角香 丁香 三乃子 各二錢, 並麄末, 入小腦 二錢, 作一貼, 加龍腦尤好, 置衣箱中. ○<內局>衣香每一封, 入白檀香 沈束 丁香 各九兩, 零陵香 甘松香 三乃子 八角香 小腦 萆草 各七兩六錢, 龍腦 一錢, 作封用.<寶鑑>

9) 內局醍醐湯(午集 暑門)

<局方> 解暑熱, 止煩渴. 烏梅肉(另末) 一斤, 草果 一兩, 縮砂 白檀香 各五錢, 煉蜜 五斤. 右細末, 入蜜微沸攪勻, 磁器盛冷水調服.<寶鑑> ○<內局>白淸 一斗, 先煎微沸後, 入烏梅末 十兩, 白檀末 八錢, 縮砂末 四錢, 草果末 三錢, 和勻用.<濟衆>

10) 內局造豉法(酉集 雜方門)

<本草> 以大豆爲黃蒸熟每一斗, 加鹽四升, 川椒四兩同淹, 春秋三日, 夏二日, 冬五日, 卽成半熟, 加生薑細切五兩拌勻, 入器內封口, 埋蓬艾積草中厚覆之, 或馬糞中. 過七日或二七日乃取用.<寶鑑> ○<內局>用黑豆.

11) 內局造煎藥法(酉集 雜方門)

<俗方> 白薑 五兩, 桂心 二兩, 丁香 胡椒 各一兩五錢, 爲末, 大棗(蒸去核, 取肉爲膏) 二鉢 一鉢爲三升 阿膠 煉蜜 各三鉢. 右先熔膠, 次入棗蜜消化, 乃入四味藥末攪勻, 煎微溫, 下篩貯器, 待凝取用, 甚佳.<寶鑑> ○<內局>以白淸 一斗, 阿膠 一斗二升, 先煎熔化和勻後, 入桂皮末 六兩, 官桂末 六錢, 乾薑末 一兩四錢, 胡椒末 五錢, 丁香末 三錢, 大棗肉 八合. 攪勻, 再煎數沸, 磁器收貯, 候凝用之.<濟衆>

12) 內局抱龍丸(亥集 小兒門)

<錢乙> 治驚風, 潮搐, 身熱昏睡. 能下痰熱, 乃心肺肝藥也. 牛膽製南星 一兩, 無膽星則取生者剉炒熟用, 天竺黃 五錢, 雄黃 朱砂 各二錢五分, 麝香 一錢. 右末, 煮甘草膏丸如皂子. 溫水化下, 百日內兒一丸作三次服, 五歲兒一二丸服, 臘雪水煮甘草和藥, 尤佳.<寶鑑> ○<內局>臘劑, 去天竺黃, 以釣鉤藤代用.<濟衆>

 

2. <濟衆新編> 內局 처방과 비교

<濟衆新編>2) 內局 처방은 <醫宗損益> 內局 처방보다 개수가 많다. <醫宗損益> 內局 처방은 內局造豉法을 제외하고는 <濟衆新編> 內局 처방과 처방명과 구성 약재가 일치한다.

 

3. <東醫寶鑑> 처방과 비교

<醫宗損益>의 內局 처방은 <東醫寶鑑> 처방명에 內局이라는 단어가 첨부된 것으로 처방명과 구성 약재가 거의 일치한다. 다만 內局蛇油丸은 <濟衆新編>을 제외한 <東醫寶鑑>과 같은 여러 醫書에도 由來가 없는 것으로 보아 內局에서 創方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왕실 기록물 중 蛇油丸이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承政院日記>로 1670년(顯宗 11) 閏 2월 12일 기사에 “蛇油丸最良於治核”이라 하여 結核 치료에 언급되어 있다.

 

Ⅲ. 고찰

<濟衆新編> 凡例에는 “一 內醫院, 進上藥, 則皆書內局, 以別之.”라고 나오고, <醫宗損益>의 凡例에는 “一 內醫院 進上藥係, 是東醫之可知. 故依濟衆例, 藥方上, 書內局二字, 以別之.”라고 나온다. 즉 <醫宗損益>의 內局 처방들은 惠庵이 凡例에서 밝힌대로 <濟衆新編>의 표기 사례를 따라 內醫院에서 進上한 약을 구별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醫宗損益> 內局 처방은 內局造豉法을 제외하고는 <濟衆新編> 內局 처방과 일치한다. <東醫寶鑑>3) 雜病篇 卷之九 雜方의 諸法에는 豆豉法이 나오는데 “以大豆爲黃蒸卽末醬每一斗, 加鹽四升, 川椒 四兩同淹, 春秋三日, 夏二日, 冬五日卽成半熟, 加生薑(細切) 五兩, 拌勻, 入器內封口, 埋蓬艾積草中厚覆之, 或馬糞中, 過七日或二七日乃取用, 旣潔且精.<本草>”라고 되어 있다. 이를 <醫宗損益>의 內局造豉法과 비교하면 맨 마지막의 “旣潔且精”이 첨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일치한다.

그렇다면 “內局”이 붙은 처방은 “內局”이 붙지 않은 처방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 것일까? 그 해답은 가감법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醫宗損益> 內局 처방들은 말미에 “內局”이 附記된 가감법이 붙어 있다. 즉 “內局”이 붙은 처방은 처방의 구성이 기존의 처방과 다른 게 아니라 기존 처방에다 內局에서 사용한 가감법을 附記한 것이다. 다만 內局蛇油丸은 內局의 創方으로 “內局”으로 시작되는 가감법이 없다.

<攷事撮要>4) 卷四 雜用俗方의 酒方에는 內局香醖法이 나오는데 “造麴, 以麥磨之並其末, 而每一圓, 入一斗, 碎菉豆一合, 調和造作. 〇白米十斗, 粘米一斗, 百洗烝出, 用熱水十五瓶, 調和, 待其水盡, 入于烝飯然後, 鋪之簞上寒之, 良久, 曲末一斗五升, 腐本三升, 調和釀之.”라고 되어 있다. 연이어 나오는 紅露酒釀法은 “如香醖, 而麴則以二斗爲限, 香醖三瓶二鐥, 燒出一瓶, 承露時, 以芝草一兩細切, 置于瓶口, 則紫色濃深, 內局則以壓淸酒, 用銀器煎取, 故與外處不同.”이라고 하여 內局의 제조법이 외부의 방법과 다르다고 밝히고 있다.

한편 <宜彙>5) 卷之四 雜方의 酒方에 나오는 內局香醞法과 紅露酒釀法은 <攷事撮要>와 일치한다. 또한 <醫方合編>6) 卷之三 釀酒方의 酒方救酒法에도 紅露酒가 나오는데 <攷事撮要>와 일치한다. 향후 <醫宗損益>과 <濟衆新編>에 나오는 內局 처방 외에 다른 醫書에 나오는 內局 처방을 조사하여 기존의 처방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조사가 더 필요하다.

 

Ⅳ. 결론

<醫宗損益>의 內局 처방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醫宗損益>의 內局 처방들은 惠庵이 凡例에서 밝힌 바대로 內醫院에서 進上한 약들이다.

2. <醫宗損益> 內局 처방들은 內局造豉法을 제외하고는 <濟衆新編> 內局 처방과 일치하며 內局에서 사용한 가감법을 附記한 것이다.

<참고문헌>

1. 惠庵, 醫宗損益, 필자 소장.

2. 康命吉, 濟衆新編, 필자 소장.

3. 許浚, 東醫寶鑑, 필자 소장.

4. 攷事撮要,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청구기호 : 일산古031-21).

5. 宜彙, 한국의학대계(제32권), 여강출판사, 1994:775.

6. 醫方合編,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청구기호 : 한古朝68-105).

 

한기춘·서정철·최순화 / mc맥한의원·우리경희한의원·보광한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