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 안세영의 도서비평] 자연에게도 윤리가 필요하다
상태바
[한의사 안세영의 도서비평] 자연에게도 윤리가 필요하다
  • 승인 2021.01.08 06:2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세영

안세영

ajhj@unitel.co.kr

1987.0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1993. 02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박사 1996.10-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1997.03-2012.0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주임교수 2017.03-2020.02 대한한방내과학회장 저서 남자 그리고 여자, 갑상선클리닉, 몸 한의학으로 다시 태어나다, 성학, 다한증의 이해와 치료 등


도서비평┃자연에 대한 존중

한동안 잘 통제되던 코로나19가 날씨가 추워지면서 다시금 기승입니다. 확진자 최다 발생국 미국에서 얼마 전부터 백신접종을 시작했으니, 생전 처음 겪는 팬데믹 사태도 머지않아 “이 또한 지나가리라”의 길을 밟겠지요. 이후에는? 탄소중립·재생에너지 등 환경보호와 관련된 대책과 논의가 한층 늘어나리라 생각합니다. 세계적 대유행을 초래한 코로나19의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대체적인 의견은 전 지구적 환경 파괴로 모아지니까요. 해서, 이번에는 「생명 중심주의 환경윤리론」이라는 부제의 『자연에 대한 존중(Respect for Nature)』을 꺼내보았습니다.

폴 테일러 지음, 김영 옮김, 박종무 감수, 리수 출간
폴 테일러 지음, 김영 옮김,
박종무 감수, 리수 출간

지은이는 뉴욕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40여 년 동안 철학교수로 재직한 폴 W. 테일러(Paul Warren Taylor)인데, 그는 한 차원 높은 환경윤리의 토대를 철학적으로 정교하게 구축했노라 평가받는 분입니다. 1986년 출간한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인간의 전유물로 여겼던 윤리학을 최초로 자연 생태계에게까지 확장했기 때문입니다. 당시까지의 인간 중심적 공리주의를 뛰어넘어 생명 중심적 평등주의에 바탕한 환경윤리를 주장한 것이지요. 만물의 영장으로 군림해 왔던 인간 또한 지구상 온갖 생명공동체의 일원일 뿐이므로, 인간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윤리규범은 인간 이외의 생명체에도 똑같이 적용해야 한다면서…. 슈바이처의 생명 외경 사상을 심층생태학의 관점에서 더욱 발전시켰다고 할까요?

책은 「환경윤리와 인간윤리」, 「자연 존중 태도」, 「자연을 바라보는 생명 중심 관점」, 「윤리 체계」, 「동물과 식물에게 권리가 있는가」, 「대립 주장과 우선순위 원칙」 등의 이름을 붙인 논문 형태의 글 모음 6장으로 구성됩니다. 소제목에서 풍기는 인상이 만만치 않지요? 예상대로 내용 역시 무척 딱딱해서 책장이 잘 넘겨지지 않던데, 그런 만큼 다 읽고 나서는 뿌듯함이 배가되는 기분이었습니다. “마땅히 어찌어찌 해야 한다.”는 당위(當爲) 관련 서술로 가득한 재미없는(?!) 도덕·윤리 철학서적을 기어이 완독했다는 기쁨이 상당했거든요. 아무튼 진도가 잘 나가지 않으실 텐데, 너무 힘들면 맨 뒤에 수록된 박종무 님의 「해제」만 보셔도 좋습니다. 수의사이자 농사꾼인 동시에 필명 ‘해를 그리며’로 생명·공존·생태에 관한 이야기를 쉽고 친절하게 풀어내는 분답게 저자의 주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았거든요.

한의사라면 근본적으로 모두 생태론자일 수밖에 없을 겁니다. 누가 뭐래도 한의학의 철학적 바탕은 기계론적·존재론적 환원주의가 아니라 유기론적·관계론적 전일주의(全一主義:Holism)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문제시되는 지구환경 파괴와 생태적 불균형은 모두 존재론적 관점에서 빚어진 것 아닙니까? ‘나’라는 인간 존재를 ‘주체’로 간주하고, ‘나’ 이외의 모든 ‘객체’는 그저 대상에 불과하다고 인식함으로써, 자연을 단지 문명 이전의 야만 상태로서 필요한 물자를 얻는 자원으로 전락시켰기 때문이지 않나요? 인간은 자연을 얼마든지 지배·제어·활용할 수 있다는 인간중심주의가 더 많은 부와 이윤을 추구하는 탐욕과 맞물려 지금껏 자연을 파괴해온 주범임이 분명합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관점이 전환되기를 소망합니다. 한의사의 역할이 더욱 막중해졌는데….

 

안세영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세영
1987.0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1993. 02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박사 1996.10-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1997.03-2012.0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주임교수 2017.03-2020.02 대한한방내과학회장 저서 남자 그리고 여자, 갑상선클리닉, 몸 한의학으로 다시 태어나다, 성학, 다한증의 이해와 치료 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임주원 2021-01-09 13:57:47
인간과 동물이 같은 위치에 서있다는 주장이 한의사들의 주장이라면 동물을 약재로 쓰지 말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손진인도 천지에서 존재하는 것 가운데 사람이 가장 귀중하다고 하고 황제내경에도 이런말이 있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자연의 이치를 따르자는 것과 유기체적 관점이 환경윤리로 이어진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