刊本別 마지막 선장본 [방약합편]에 대한 고찰
상태바
刊本別 마지막 선장본 [방약합편]에 대한 고찰
  • 승인 2020.08.22 03: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mjmedi@mjmedi.com


임상 한의사 3인이 연구한 황도순, 황도연(64)

Ⅰ. 서론

본지 제1244호에서 일제강점기 이후 비선장본 <방약합편>이 수많은 출판사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출간되었음을 보고하였다. 그런데 선장본 <방약합편>은 출판법 발효 이후에도 판권지가 붙은 채로 간간이 출판되어서 출판법 발효와 더불어 한꺼번에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간본에 따른 마지막 <방약합편>은 실제로는 이전에 간행한 책을 단지 마지막으로 판권지를 붙여 팔았다는 의미 외에는 크게 주목받지 않고 있으나, 격동기 한국 근현대사에서 선장본 <방약합편>이 어떤 출판사에서 종언을 고했다는 것을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는 일일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선장본 <방약합편>을 간본별로 나누어 마지막 선장본 발행사항을 살펴봄으로써 선장본 <방약합편>이 언제까지 명맥을 유지하였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冶洞 刊本

冶洞 刊本으로는 1913년 10월 25일 지물서포에서 <증맥방약합편>1)을 간행한 것이 있고 이후 1915년 3월 17일 동미서시에서 발행한 冶洞 刊本 <증맥방약합편>2)도 있다. 冶洞 刊本의 마지막 선장본 <방약합편>은 1918년 2월 20일 회동서관에서 출판하였다3)(그림 1). 그런데 이 판본은 <방약합편 전재의방활투>의 표제지를 달고 있지만 내용은 <증맥방약합편>으로 본문과 표제지가 일치하지 않는 판본이다. 표제지 외에는 모두 <증맥방약합편>과 동일하므로 冶洞 刊本의 <증맥방약합편>으로 보아야 타당하다.

 

한편 회동서관의 경우 선장본 <방약합편>의 최종본을 발행하기 전에 이미 1914년 8월 20일에 신연활자로 <신교중정방약합편>4)을 발행하기 시작하였고, 1917년까지 재판을 발행하고 있었다. 회동서관에서는 당시 선장본 <방약합편>과 신연활자본 방약합편을 병행하여 발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 美洞 刊本

美洞 刊本으로는 1916년 5월 25일 태화서관에서 발행한 <중정방약합편>5)이 있는데 이 책은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또한 1917년 6월 30일 한남서림(京城府 仁寺洞 百七十번지)에서 발행한 <중정방약합편>6)도 있는데 이 책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美洞 刊本 중 마지막으로 추정되는 판본은 한남서림에서 출판한 <중정방약합편>7)인데 발행일이 ”大正 年 月 日發行“으로 되어 있어 정확한 발행 시기는 알 수 없다(그림 2). 다만 한남서림의 주소가 京城府 寬勳洞 十八번지로 되어 있어서 한남서림에서 출판한 다른 서적의 간기를 조사한 결과 <중정방약합편>의 발행 시기는 1918년 12월 30일에서 1937년 7월 15일 사이일 것으로 추정된다.

 

3. 里洞 刊本

里洞 刊本으로는 1911년 8월 22일 서계서포에서 발행한 <신정방약합편8)이 있는데 내용은 <증맥방약합편>과 동일하며 이 책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里洞 刊本 중 마지막으로 추정되는 판본은 1932년 11월 5일 양책방에서 발행한 <신정방약합편>9)이 있는데 내용은 <증맥방약합편>과 동일하다(그림 3). 里洞 刊本은 다른 선장본과 비교해 볼 때 가장 늦은 1932년까지 명맥을 유지했으나 현재 시중에서는 傳本을 찾기 힘든 刊本이다.

 

4. 院山 刊本

院山 刊本으로는 1911년 8월 22일 서계서포에서 발행한 <증맥방약합편>10)이 있다. 서계서포에서는 1911년 8월 22일에 里洞 刊本의 <증맥방약합편>을 발행하였다고 위에서 서술하였는데 같은 날자에 院山 刊本의 <증맥방약합편>도 발행하여 서로 다른 刊本의 선장본을 판권지만 붙여서 판매한 것으로 보인다. 또 1916년 10월 8일 다가서포에서 발행한 <증맥방약합편>11)과 1916년 11월 25일 문명서관에서 발행한 <증맥방약합편>이 있다.

院山 刊本 중 마지막으로 추정되는 판본은 문명서관본인데 이 책에는 발행일이 “大正五年 十一月 二十五日”로 동일하면서 “印刷者 金正根”인 판본12)(그림 4)과 “印刷兼發行者 梁完得”인 판본13)(그림 5)이 있다. 이는 <방약합편>이 그만큼 인기가 높아 많이 인쇄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당시 출판의 난맥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院山 刊本의 선장본 <방약합편>은 후대에 가장 많이 팔린 판본이라 그런지 현재 시중에서 傳本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간본별 마지막 선장본 <방약합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간본별로 처음과 마지막 선장본 <방약합편>을 연결하는 계통도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Ⅲ. 결론

간본별 마지막 선장본 <방약합편>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冶洞 刊本의 마지막 선장본은 1918년 회동서관의 <증맥방약합편>이다.

2. 美洞 刊本의 마지막 선장본은 발행일 미상인 한남서림의 <중정방약합편>이다.

3. 里洞 刊本의 마지막 선장본은 1932년 양책방의 <증맥방약합편>이다.

4. 院山 刊本의 마지막 선장본은 1916년 문명서관의 <증맥방약합편>이다.

 

<참고문헌>

1. 증맥방약합편, 지물서포, 1913,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2. 증맥방약합편, 동미서시, 1915, 중국 중의과학원도서관 소장.

3. 방약합편 전재의방활투, 회동서관, 1918, 필자 소장.

4. 신교중정방약합편, 회동서관, 1914, 필자 소장.

5. 중정방약합편, 태화서관, 1916,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6. 중정방약합편, 한남서림, 1917,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7. 중정방약합편, 한남서림, 발행일 미상, 필자 소장.

8. 신정방약합편, 서계서포, 1911,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9. 신정방약합편, 양책방, 1932, 필자 소장.

10. 증맥방약합편, 서계서포, 1911, 필자 소장.

11. 증맥방약합편, 다가서포, 1916, 필자 소장.

12. 증맥방약합편, 문명서관(a), 1916, 필자 소장.

13. 증맥방약합편, 문명서관(b), 1916, 필자 소장.

 

한기춘·서정철·최순화 / mc맥한의원·우리경희한의원·보광한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