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서산책/ 849> - 穡經 ②
상태바
<고의서산책/ 849> - 穡經 ②
  • 승인 2018.12.22 0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상우

안상우

mjmedi@mjmedi.com


주자학에 반기를 든 농법기술서

西溪 朴世堂(1629~1703)이 1676년(숙종 2)에 지은 『색경』은 고농서 가운데 농업기술서로 분류되고 있으나 농업경영이나 農政이념도 잘 담겨져 있다. 서명인 ‘색경(穡經)’은 농사에 관한 경전과 같은 책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으로 보이는데, 조선의 사대부가 자작서에 스스로 경전이라 이름붙인 것부터 다소 파격적이라 아니할 수 없다.

◇ 『색경』

조선후기 사상사에 있어서 박세당은 주자의 경서 주석에 근거한 유교적 통치사상에 반기를 들고 반주자학적 입장에서 시류에 반발하여 서로 다른 대척점에 서있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이 책은 저자가 스스로 농사를 지으며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지방의 농경법을 연구하여 꾸민 농법기술서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특히 이 책에는 종래의 농서류와는 다르게 양잠을 비롯하여, 돼지, 닭, 거위와 오리, 양봉과 양어 등 가축과 물고기 기르는 법을 자세히 다루고 있어 상당히 실용적인 면모가 강조되어 있다. 아울러 약초를 비롯하여 채소, 과일 재배법과 접목법 등 의학이나 약초재배법과 유관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의약기술서로 보아도 손색이 없다.

전서는 서문과 상·하 2권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권에는 任地(토질에 따른 적합작물 종류와 농지이용법), 辨土(토질의 특징과 보호법), 耕地(봄갈이, 가을갈이의 최적기), 播種(씨뿌리기)에 대한 개설적인 소개와 각종 작물과 과일, 화훼에 대한 설명이 담겨져 있다.

또 種穀에서는 논벼 · 밭벼 · 보리 · 밀 · 조 · 기장 · 수수 · 콩 · 팥과 녹두 · 참깨 · 들깨 · 삼 · 모시 · 목화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어 種諸瓜菜法에서는 오이 · 수박 · 박 · 동아 · 토란 · 아욱 · 가지 · 무 · 순무 · 겨자 · 생강 · 마늘 · 파 · 부추 · 상추 · 버섯 · 잇[紅花] · 쪽[藍]을 다루고, 種諸果法에서는 배 · 복숭아 · 오얏 · 살구 · 능금 · 대추 · 밤 · 감 · 모과 · 은행 · 포도 등 과실수 재배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種諸樹法에서는 대나무 · 소나무와 잣나무 · 오동나무와 옻나무 · 홰나무 · 닥나무 · 梔子 · 枸杞子 · 사시나무(白楊) 등 나무기르는 방법을 다루었고 種諸花藥法에서는 연꽃 · 국화 · 지황 · 결명자 · 회향 · 참마(薯蕷) · 갈대와 부들 등 주로 약초와 화훼 재배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와 함께 과실수 접붙이는 방법으로 身椄 · 眼椄 · 皮椄 · 枝椄 · 壓椄 · 塔椄 등을 설명하였으며, 아울러 돼지 · 닭 · 거위 · 오리 등 가축을 기르는 방법과 양어 · 양봉에 관한 지식도 다루었다.

하권에서는 뽕나무 기르기[養桑法]와 누에치기[養蠶經]로 크게 나눈 다음, 잠종처리로부터 고치실 뽑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세부 항목을 나누어 서술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농가의 월중행사를 기록한 田家月令과 농사의 풍흉을 예측하는 田家占驗이 이어지고 있다. 그 중 전가월령은 12달에 따라 절기에 맞추어 해야 할 연중행사를 달별로 정리한 일종의 농력이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월별로 첫 대목에 나오는 내용은 『禮記』월령편에 나온 것을 먼저 인용하고 있다. 여타 부분 가운데는 각종 과실과 약초의 파종과 이식, 채취와 수확시기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조선 전기의『鄕藥採取月令』과 대조하여 상호비교 및 연관성을 연구해야할 필요가 있다.

전가점험에서는 해와 달, 바람과 같은 천체변화와 이상기후에 따른 풍흉예측(天文類)과 산천과 지형의 변화에 따른 예측(地理類), 이밖에도 초목 · 鳥獸 · 간지와 연계하여 사계절의 기후와 농사의 풍흉을 예측하는 방법을 논하였다. 이와 같이 이 책은 농림축산을 비롯하여 약초재배와 양잠, 양봉에 이르기까지 농업전반에 걸쳐 계통적으로 서술하였으며, 기상변화와 농사의 풍흉예측법을 연계하여 기술함으로써 이전의 농서에 비해 내용이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후대 농업경제서의 선구격인 저술로 평가받고 있다.

 

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 동의보감사업단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