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감염은 추위와 관계 없다는 말, 진짜일까?
상태바
감기감염은 추위와 관계 없다는 말, 진짜일까?
  • 승인 2014.10.09 1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상훈

윤상훈

mjmedi@http://


한의학 위키칼럼 & 메타블로그


한의학의 온라인 홍보를 위한이웃한의사의 온라인 상담실 운영자http://hdjungin.tistory.com/
예전부터 한의학에서는 감기를 상한(傷상할 상, 寒추위 한)병이라 불렀습니다. 즉 추위에 상해서 걸린 병이란 뜻입니다. 하지만 감기가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질병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 말은 거짓처럼 인식됐습니다.
 
“감기는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일 뿐, 추위와는 관계 없다.”
“남극에서는 감기 안 걸린다고 하더라.”
이런 상식이 의료인에게까지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추위가 감기의 발생을 명백히 증가시킨다는 연구1)2)3)4)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어, 감기가 단순 바이러스질환이 아니라 기후, 면역이 결합된 복합적인 질병이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됩니다.
 
1. 콧속(비강)의 기온저하는 상기도의 면역력을  감소시킵니다5)
 코에서는 우리 몸을 방어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공기를 걸러냅니다.  콧털과 점액을 통해 먼지들을 기계적으로 걸러내며, 점막에서는 백혈구와 대식세포들이 병균과 싸우며 우리 몸을 방어합니다.
추위로 인하여 비강에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면, 비강점막의 혈관이 수축하며 혈류 순환이 저하되고, 백혈구의 감소가 생기게됩니다.6) 또한 점액의 감소(decrease of mucociliary clearance)가 생겨, 기도의 전체적인 면역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결국 추위로 인한 비강내 혈류순환 저하와 점액감소가 감기감염의 기회를 늘어나게 합니다.
 
2. 체온이 낮아지면, 면역세포들의 활동이 떨어집니다7)
우리 몸은 체온이 떨어지게 되면 적응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합니다. 찬 공기에 노출되면 몸의 떨림을 통해 열을 생성하고,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몸 속의 체온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습니다. 면역계 역시 차가운 환경(cold stress)에 적응하게 됩니다. 즉 면역계가 저체온 상황에서 면역적 타협(immunocompromizing effects of therapeutic hypothermia)을 하게 됩니다.
면역적 타협의 일환으로 체온이 떨어지게 되면 몸전체의 백혈구가 감소(leukocytopenia)하고, 백혈구의 이동성(chemotactic migration)이 저하되며, 대식세포의 작용이 억제됩니다. 또한 싸이토카인의 분비가 줄어들며,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고 혈당이 빠집니다. 이러한 인자들의 작용으로 인해 추위에 노출되면 몸 전체적인 면역활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3. 추운 곳에서 감기로 인한 사망확률이 더 높았습니다8)
유럽의 8개국가에서 추위와 감기로 인한 사망과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18℃ 이하의 온도에서, 온도가 1℃씩 떨어질 때마다 호흡기질환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추위요소 인자(추운 집, 적은 옷 등)가 많은 사람일수록 호흡기질환으로 인한사망률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4. 감기예방수칙①- 체온유지를 철저히 합니다 
체온과 면역력의 관계는 아주 밀접합니다. 우리가 세상의 모든 병균을 막을 수는 없지만, 우리몸의 면역력이 충분하다면 웬만한 바이러스들은 이겨낼 수 있습니다. 추워지는 겨울철이면 냉기가 들어올 틈이 없게 철저히 몸을 감싸줍니다. 혹여 감기에 걸려도 으슬으슬한 초기에 확실히 체온을 유지하여 빨리 감기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5. 감기예방수칙②-습도를 적당히 유지합니다
습도는 상기도에서의 면역력 유지에 굉장히 중요합니다. 콧속에 수분이 촉촉히 있어야 점막이 정상 상태를 유지하며 올바른 면역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엔 습도유지에 특별히 주의합시다.
감기는 단순한 바이러스 질환이 아닌, 환경과 면역문제가 결합된 복합질환입니다. 만성적인 감기의 경우 한약을 통한 면역력 치료와 함께 생활습관 티칭이 매우 중요합니다.

 

1) Mourtzoukou EG, Falagas ME. Exposure to cold and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t J Tuberc Lung Dis 2007; 11: 938-943.
2) Makinen TM, Juvonen R, Jokelainen J, Harju TH, Peitso A, Bloigu A, Silvennoinen-Kassinen S, Leinonen M, Hassi J. Cold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ccurrence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Respir Med 2009; 103: 456-462.
3) Liener K, Leiacker R, Lindemann J, Rettinger G, Keck T. Nasal mucosal temperature after exposure to cold, dry air and hot, humid air. ActaOtolaryngol 2003; 123: 851-856.
4) Eccles R. An explanation for the seasonality of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viral infections. ActaOtolaryngol 2002; 122: 183-191.
5) Eccles R. An explanation for the seasonality of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viral infections. ActaOtolaryngol 2002; 122: 183-189.
6) Eccles R. Acute cooling of the body surface and the common cold. Rhinology 2002; 40: 109-114.
7) Polderman K H. Application of therapeutic hypotherm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Opportunities and pitfalls of a promising treatment modality. Part 2. Practical aspects and side effects. Intensive Care Med 2004; 30: 757-769.
8) The Eurowinter Group. Cold exposure and winter mortality from ischaemic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respiratory disease, and all causes in warm and cold regions of Europe. Lancet 1997; 349: 1341-1346.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