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명의의안 223] 肝臟性神經症案 - 金永萬의 醫案(1)
상태바
[역대명의의안 223] 肝臟性神經症案 - 金永萬의 醫案(1)
  • 승인 2014.07.04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남일

김남일

mjmedi@http://


내용: L이라는 부인이 평소 신경질이 좀 있었는데 남편은 好酒家여서 귀가 시간이 항상 늦거나 때로는 歸家를 아예 않을 때도 있었다. 평소의 성격이 예민하여 남편에 대한 불만이 점차 커지더니 드디어는 神經症狀을 발작하기에까지 이르렀던 것이다. 처음에는 가슴이 좀 답답해지고 때로는 두근거리고 얼굴에 상기되어 열이 오르고 입맛을 다시면 입이 마름을 느끼고 잠이 온 것이 고르지 못하여 짜증이 자주나며 안절부절하는 때가 많아지고 몸이 피곤하며 바로 앉아 있으면 불편을 느껴 자주 자세를 바꾸며 때로는 눕기를 좋아하고 꿈을 자주 꾸게 되었는데(뒤숭숭한 꿈, 쫒기는 꿈, 처음 보는 남자와 데이트를 하는 꿈,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꿈 등등으로 그 신경증의 정도는 진단의 척도가 되기도 한다.) 의사의 진찰로는 神經衰弱이라는 것이다. 신경차단제나 진정제를 사용하면 잠만 오고 별 효험이 없다는 것이다. 외모로는 별 이상이 없어서 정상인이나 다름이 없으나 본인 자신은 퍽 괴로운 나날을 보내야만 하였다. 저자가 그 여인을 진찰해본 결과 한방적인 진단으로 肝實證이란 판단을 하여 加味逍遙散과 柴胡抑肝湯을 투여하였더니 감쪽같이 치료되는 것을 보았다. (이 때 증상이 비슷하더라도 心經病일 수도 있으니 구별을 하여야 할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古來로부터 “肝에 이상이 있으면 色이 청색을 띠며(갑자기 입술에 지아노제가 오는 경우 등) 계절로는 봄에 잘 일어나며 맛은 신 것(酸味)을 좋아 하거나 싫어하며, 怒하기를 좋아하고 눈물이 흔하거나 아주 메마른다”라고 한의서에 기록되어 있다. (김영만, 「肝臟과 한방」, 醫藥社, 1981)

按語: 金永萬 先生(1927∼1990)은 경기도 웅진 출신으로 경희대 한의대 6기로 졸업하여 한의사가 된 이후로 고려대 의대에서 수학하여 의사면허까지 가지고 있었는데, 경희대와 원광대에서 교수생활을 한 경력이 있다. 「간장과 한방」은 한의학적 입장에서 肝臟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증상으로 되어 나타나는 것들을 서양의학적 견지에서 논한 서적이다. 이 醫案은 神經症을 가진 환자를 肝實證이란 판단을 하여 加味逍遙散과 柴胡抑肝湯을 투여하여 완치한 경험을 적은 것이다. 그는 「간장과 한방」에서 肝實證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肝은 피를 저장하는 臟器여서 血分이 지나치게 많으면 肝實證이 되는데, 이렇게 되면 잘 怒하며 心下가 굳게 팽만하고 양쪽 脇痛이 있으며 肝氣가 逆上하여 頭暈, 目眦變赤하고 頸項强直, 背强筋急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關脈이 浮大數으로 나타난다. 이 때는 降氣, 淸熱, 順血하기 위해 瀉靑丸, 龍膽瀉肝湯, 當歸龍薈丸을 쓴다.” 이 설명에서 肝實證으로 언급하고 있는 각종 증상들은 위에 언급한 부인의 증상의 맥락과 같은 구조로서 신경성 질환으로 인해서 肝氣가 上逆된 각종 증상들을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加味逍遙散과 柴胡抑肝湯은 「東醫寶鑑」婦人門에 나오는 加味逍遙散은 婦人雜病에 사용하는 처방으로서 “血虛煩熱潮熱盜汗痰嗽似勞”를 主證으로 하고, 柴胡抑肝湯은 “慾心萌而多不遂以致寒熱類瘧”을 主治로 한다.

김남일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