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위키칼럼&메타블로그-추나요법과 카이로프락틱의 차이는?
상태바
한의학 위키칼럼&메타블로그-추나요법과 카이로프락틱의 차이는?
  • 승인 2012.07.19 15:39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한겸

김한겸

gksrua@hanmail.net


얼마 전 근처 지역에서 근무하는 공중보건의 치과 동생이,
“형! 추나치료 한다고 하자나? 근데 그게 카이로프락틱이랑 뭐가 달라?
“어, 둘이 다르지!”
“그니까 뭐가?”
“아? 그래 그게 머가 다르냐면…”으로 시작된 이야기를 여기에 다시 풀어놓으니 평소에 뭐가 다른지 궁금했던 분들은 재밌게 읽어주세요.

1. 推拿와 카이로프락틱(chiropractic)의 글자가 다르다?
推拿는 한자어 입니다. 한자로 ‘밀 추, 당길 나’를 사용합니다. 밀고 당긴다는 뜻입니다.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일단 밀고 당기고 힘을 주어서 무언가를 치료한다고 생각이 되시죠?
카이로프락틱(chiropractic)의 용어는 그리스어에서 왔습니다. chiro(손을 통해)와 practic(이루어지다)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용어로 손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이야기입니다. 결국 글자가 다를 뿐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들 추나와 카이로프락틱은 기본적으로 사용방법이 같은 手技의학(손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의학)이란 말입니다. 그러면 같은 수기의학이면 다른 게 없는 걸까요?

2. 추나와 카이로프락틱의 치료방법이 다르다?
카이로프락틱은 “인체의 문제는 척추가 제자리에서 어긋나 척주를 타고 흐르는 신경을 압박 혹은 방해함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치게 된다” “인체 역학구조의 변경은 사람에게 지속적인 구조적인 문제와 불균형, 가동시 필요한 에너지의 증가” 등을 바탕으로, 주사나 약물 등에 의존하지 않고 손으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치료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나요법은 카이로프락틱과 비슷하지만, ‘경락, 경근, 척추의 문제로 인하여 장부의 부조화, 그리고 경근 경락의 지속적인 손상에 의한 원활한 기의 흐름에 방해를 주는 문제를 바로 잡는 것’에 포인트가 맞추어져 있습니다.
시작은 이렇게 같지만, 다른 이유로 수기요법이 시작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 더 편리한 쪽, 조금 더 설명이 쉬운 것 등 교류와 배움을 통하여 많이 비슷해지고 있습니다만, 근본적인 마인드의 차이는 치료방식과 치료에 접근하는 것에서 차이가 나기에 목적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근과 경락개념은 최근 서양의 ‘근막경선 이론’ 등에서 유사하게 볼 수 있으나 장부와의 연관성, 기능의 이해적 측면, 기의 소통 등 총론적인 개념에서는 아직 경근, 경락 개념에 미치지 못합니다. 다만 ‘근육’ 하나의 이해 및 접근에 있어서는 한의학의 ‘경근’ 보다 자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추나요법의 역사에 대해서
추나요법은 3000여 년 전의 신석기시대부터 이미 의료행위로 활용되었다고 전해집니다만, 명확하게 증거로 남아있는 문헌으로는 춘추전국시대 저서인 「黃帝內經」 靈樞, 病傳篇에 치료 팔법에서 최초로 볼 수 있습니다.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자면, 추나의학체계의 형성은 선진양한시대부터  蹻摩, 按摩, 按蹻, 蹻引 등으로 명명되어 졌는데, 이 방법이 동양 문화권에서의 수기의학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추나라는 명칭은 중국 명대의 龔雲林이 지은 「小兒推拿方脈 活嬰秘旨全書」나 「小兒推拿秘訣」에 처음 등장하여 오늘날 이 명칭의 기원이 되었고, 많은 변화를 통하여 발전되면서 모든 수기요법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위에 나오는 龔雲林이 지은 「小兒推拿方脈 活嬰秘旨全書」나 「小兒推拿秘訣」은 재활의학과 시험의 단골 문제 중에 하나여서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시험에는 언제나 어느 시대에 누가 지은 책에서 처음으로 무슨 용어를 사용했는지가 중요하니까요.

4. 현재의 추나요법
현대에 와서는 이론적 토대나 임상활용에 있어서 導引과 喬摩를 복합적으로 응용하게 되었고, 잘 만들어진 카이로프락틱 테이블의 경우 치료에 사용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추나요법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더 좋은 도구를 판다면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니까요. 예를 들자면, 보쉬의 전동공구를 사용한다고 해서 한옥을 못 짓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 입니다. 도구가 방법을 편하게 하는 것이지, 만드는 건물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란 것이죠. 좋은 시대가 왔는데 옛날처럼 철봉에 사람을 묶어 놓고 교정할 필요는 없겠죠?

 

 

 김한겸 / 척추를 한방으로 잡는 남자
한방재활의학과 전문의
(http://blog.naver.com/hangom82)

 

이 지면은 온라인상에서 한의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한의학 위키’와의 제휴로 만들어집니다. 더 많은 한의학 칼럼들이 www.kmwiki.net에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의학 위키 필진으로 생각이 젊은 한의사, 한의대생 블로거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참여를 원하시면 임정태 씨 메일(julcho@naver.com)로 보내주세요.  <편집자 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창식 2012-07-18 22:22:33
한국추나학과 카이로프랙틱은 공통부분도 많습니다. 즉 推拿와 한국추나학은 여러 모로 구별해서 보아야 합니다. 카이로프랙틱에 대해서도요.

인창식 2012-07-18 21:19:03
推拿는 중의학의 한 치료술이며 위의 글에 나온 것처럼 역사적 전통 한의학에 뿌리를 두고, 주로 연조직 조작기법으로 구성되며 서구에도 推拿란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추나학은 전통 한의학에는 없던 서구 카이로프랙틱의 high velocity low amplitude 도수교정법 등 여타 도수교정법까지 도입하여 구성한 체계입니다. 즉 한국추나학은 종래 한국/중국/일본의 기존 한의학에서 말하던 推拿와 차이가 큽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