藥證과 經方臨床應用-柴胡
상태바
藥證과 經方臨床應用-柴胡
  • 승인 2011.06.09 12: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옴니허브 학술부

(주)옴니허브 학술부

contributor@http://


경방의학논단(9) - 남경중의약대학 황황(黃煌) 교수의 學術思想

往來寒熱·胸脅苦滿 主治, 解鬱, 退熱

시호(柴胡)는 往來寒熱하고 胸脅이 苦滿한 것을 주치하며, 解鬱과 退熱의 효능이 있다.

往來寒熱은 하나의 증후군으로서 바이러스 감염성 질병, 정신신경계통 질병, 면역계통 질병, 여성의 월경병 등 여러 계통의 질병에서 나타날 수 있다. 왕래한열은 3가지 상황이 있다.

첫째, 환자의 發冷發熱이 비교적 장시간 지속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발냉과 발열은 대부분 비정상 체온을 가리키는데, 이러한 상황의 왕래한열은 장시간에 걸쳐 체온이 비정상인 상태를 의미한다. 많은 발열성 질병, 특히 원인불명의 발열이 여러 날 지속되는 것은 대부분 왕래한열로 볼 수 있다.

둘째, 환자의 자각증상으로서 일종의 한열교차감을 가리킨다. 갑자기 바람이 싫고 추위를 타며 피부에 좁쌀이 돋다가는 갑자기 몸에서 열이 나면서 답답해지는 증상, 또는 심흉에는 열이 있는데 사지는 차가운 증상, 또는 상부는 열이 있는데 하체는 차가운 증상, 또는 반신은 차고 반신은 열이 있는 증상이다.

셋째, 일종의 과민상태로서 예를 들어 에어컨바람이 싫은 것처럼 온도변화에 대한 감각의 과민반응이다. 습도, 기압, 일조, 기후, 거주환경, 음향, 냄새의 변화에 대한 과민이나 더 나아가서 심리의 과민까지도 왕래한열로 확장해 볼 수 있다.

往來寒熱에서 ‘往來’에도 특수한 의의가 있는데 3가지 상황이 있다.

첫째, 질병이 지연되고 만성화되는 것을 가리킨다. 임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바이러스감염성 질병, 정신신경계통 질병, 여성 월경병 등은 모두 일종의 왔다갔다 하는 특징을 지닌 질병이다.

둘째, 주기(리듬, rhythm)성이 있음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불면증의 경우 깊은 밤에도 잠이 오지 않는데 이것은 일주기를 나타낸다. 도시 생활자들의 월요증후군은 주(週)주기를 나타내고, 여성의 월경전증후군, 유선소엽증생증 등은 월주기를 나타내며, 알레르기성 기관지천식, 고초열(hay fever), 알레르기성 비염 등은 계절성이 있고 이것 역시 주기성이 있다고 본다.

셋째, 명확한 주기가 없이 때때로 발작하고 멈춰서 짐작할 수 없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간질과 신경병, 과민성질병 등이다. 일본에서는 시호계지탕으로 간질을 치료하는데 ‘往來’와 ‘休作有時’가 변증의 근거가 된다. 그래서 임상에서는 주기성을 가진 발병 또는 수시로 발병하고 멈추는 특징의 질병에 柴胡類方을 자주 사용한다.

胸脅苦滿은 일종의 자각증상이면서 타각증상이기도 하다. 자각증상이란 것은 환자 자신이 느끼기에 흉격 사이가 막혀서 그득하고 답답한 느낌과 옆구리 갈비뼈 밑에 기가 가득 찬 느낌이 있는 것을 가리키며, 환자는 “가슴이 답답하고 가슴통증이 있다” “복부가 창만하다” “숨을 쉴 수가 없다” “심호흡을 하고 싶다” “마음이 불편하다”고 표현한다. 종종 상복부의 불편함, 복부의 창만, 트림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타각증상이란 것은 늑골궁(costal arch)의 하단에서 胸腔 안쪽으로 누르면 의사 손끝에 저항감이 있고, 환자는 脹痛으로 불편하다고 말한다.

이외에 흉협부의 腫塊도 흉협고만에 속하는데, 예를 들어 유방의 창통과 結塊, 분비이상, 겨드랑이 밑의 종괴 등은 모두 柴胡劑를 사용할 기회가 있다.

柴胡帶란? 임상경험으로 볼 때 흉협고만의 흉협부위를 적당히 확장해 볼 수 있는데, 두면부, 어깨, 목, 신체 양측부위의 통증과 종괴 등도 흉협고만의 범주에 귀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두통, 귀의 질환, 어깨와 목 부위의 통증, 흉쇄유돌근의 통증, 갑상선의 종창, 허리와 사타구니의 통증, 서혜부의 종괴와 통증 등으로 임상에서 시호류방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그래서 황황 교수는 흉협부, 신체의 측면, 서혜부 등을 ‘柴胡帶’라고 한다.

흉협고만은 또한 환자의 심리가 우울하고 고통스런 상태에 놓인 것을 의미하며, 기분이 가라앉거나 무관심을 나타내고 식욕부진, 번조, 오심, 입이 마르고 쓰며 인후의 이물감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일부환자는 수면장애와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등이 있다.

시호증의 或然證은 비교적 많다. 예)소시호탕의 ‘或胸中煩而不嘔, 或渴, 或腹中痛, 或脅下痞硬, 或心下悸, 或小便不利, 或不渴, 身有微熱, 或咳’ 사역산의 ‘或咳, 或悸, 或小便不利, 或腹中痛, 或泄利下重’ 등. 이것은 시호증의 적용범위가 아주 넓은 것을 의미하며, 시호증이 주치하는 것이 하나의 증상이나 질병이 아니고, 일종의 체질상태로서 면역계통, 간담, 림프계통, 정신신경계통과 관계된 병리성 체질이라는 의미이다.

臨床運用

(1)각종 발열성질병 : 바이러스성독감발열, 결핵성저열, 각종 감염성발열. 예를 들어 담낭염, 신우신염, 출산 후 감염, 기관지염, 폐렴에 의한 발열, 원인불명의 저열 등의 대표방은 소시호탕이다.

바이러스성 독감고열일 때 환자의 얼굴이 온통 빨갛고 땀을 흘리며 높은 체온이 지속되고 약간 오풍이 있으며 기침을 하거나 인후통이 있을 때 황황 교수는 소시호탕가감(시호 20g, 감초 10g, 연교 40g, 황금 12g)을 사용하는데 물에 달여서 하루 4회 나눠 복용하면 환자는 온몸에 많은 땀을 흘리고 체온은 정상으로 내려온다.

(2)갑상선질환 : 갑상선기능항진 또는 갑상선선종에서 흉협고만이 나타나면 소시호탕에 모려, 지모 등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황황 교수가 갑상선기능항진 환자를 치료한 적이 있는데, 티아마졸(Thiamazole) 등을 복용하여 약으로 인한 간 손상을 입어 전신이 바짝 마르고 양쪽 안구는 돌출되었으며, 손을 떨고 心慌이 있었다. 소시호탕에 白芍을 첨가하여 복용시키니 2개월 뒤 자각증상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안구돌출도 현저히 좋아졌다.

(3)담낭염, 담낭결석, 췌장염 : 대표처방은 대시호탕으로 발열 또는 왕래한열하고 심하를 눌렀을 때 그득한 통증이나 복통이 있으며 변비 또는 下利 하는 것을 주치한다.

대시호탕의 응용범위는 아주 넓은데 관건은 첫째, 체형으로서 체격이 건장하고 비만하며 목이 좀 짧고 어깨는 넓으며 가슴둘레와 肋弓角이 비교적 크다. 둘째, 복부를 만졌을 때 상복부 또는 少腹部에 압통이나 저항감이 있다. 셋째, 혀가 단단하고 설태가 薄黃하거나 黃厚하다. 넷째, 중 노년. 다섯째, 정신적으로 비교적 긴장된 사람이다.

(4)정신신경계통질병 : 간질, 주기성정신병, 히스테리, 신경증 등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을 사용하며, 이 처방은 왕래한열 흉협고만 수면장애 놀라서 불안해하는 것과 변비 증상을 주치한다.

‘驚悸’는 쉽게 놀라고 담이 작으며 모르는 사람을 보면 무섭고, 길에 나가는 것을 무서워하고 밤에 꿈이 많고 악몽을 많이 꾸는 것이다. 徐靈胎는 “이 처방은 간담의 驚痰을 없애 간질을 치료하는데 반드시 효과가 있다”라고 하였다.

황황 교수는 예전에 우울증환자를 치료한 적이 있었는데, 환자는 호흡을 할 수가 없다고 하며 변비가 있고 표정은 흐리멍덩하며, 전신근육이 떨리고 나무처럼 뻣뻣하게 걷는 등의 증상을 나타내었다.
황황 교수의 경험 처방인 팔미해울탕(八味解鬱湯) : 시호 10g, 백작 10g, 지각 10g, 감초 3g, 반하 10g, 복령 10g, 후박 10g, 소경 10g, 생강 3편, 대조 10g.

(5)완고성통증 : 血府逐瘀湯을 이용한다.

주치 : ①흉협고만, 복통 ②실면, 두통, 정서불안 ③혀가 어둡거나 자줏빛이다.

응용 : 두통을 주로 호소하는 혈관신경성 두통, 고혈압, 뇌동맥경화성 두통, 외상성 두통, 뇌진탕후유증 두통, 편두통, 간질 등. 흉협에 통증이 있는 경우 : 관심병심교통, 폐성심(pulmonary heart disease), 흉막염, 갈비뼈연골염(costal chondritis), 흉부외상, 늑간신경통(intercostal neuralgia) 등. 복통을 주로 호소하는 질병, 예를 들어 딸꾹질, 신경성구토, 위통, 장경련, 유착성장폐색(adhesive ileus), 만성간염, 간경화, 비장비대증(splenomegaly) 등이 있다.

황황 교수는 혈부축어탕에서 길경, 우슬, 생지를 제거한 ‘팔미축어탕’을 사용한다. 병의 경과가 길고 일반치료로 효과가 별로 없으며, 증상이 괴이하고 복잡한 증상을 호소하며, 환자의 정신상태가 아직은 괜찮아 초췌하거나 활기가 없진 않으며, 환자의 근육이 긴장되어 있고 어혈증의 여러 질환이 있다면 이 처방을 사용할 수 있다. 완고성의 실면, 딸꾹질, 두통에 혈부축어탕을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6)부인과 질병 : 생리불순, 생리통, 골반내 감염증, 자궁 외 임신, 갱년기종합증, 유선소엽증생 등에는 소요산, 사역산, 혈부축어탕 등 시호류방을 사용할 수 있다. 월경과 함께 동반되는 질병 예를 들어 월경전의 유방창통, 월경 전 부종, 월경 전 두통, 월경 전 발열 등에는 소요산을 사용할 수 있다.

주치 : ①흉협고만, 왕래한열 ②복통, 부종, 변이 묽은 증상. 〈끝〉

 자료제공 및 정리 / (주)옴니허브 학술부


그동안 귀중한 원고를 제공해 주신 黃煌 교수와 정리해 주신 (주)옴니허브 학술부, 성원을 보내주신 독자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