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보완대체의학 환자에 도움된다고 판단해 국가적으로 규제”
상태바
“노르웨이, 보완대체의학 환자에 도움된다고 판단해 국가적으로 규제”
  • 승인 2022.11.08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춘호 기자

김춘호 기자

mjmedi@mjmedi.com


독일 “한방치료, 침술 등 공식적인 의학으로 인정 받기 위한 노력”
한국 “한약제제 및 추나 건보 적용, 데이터 기반으로 타 행위도 등재돼야”

[민족의학신문=김춘호 기자] 현재 노르웨이에서는 보완대체의학을 국가 차원에서 규제하고 있고 지원 및 연구가 활발하다고 한다. 또한 독일에서는 국민들의 침술 수용도가 높고 공식적인 의료행위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지난 2일 개최된 ‘글로벌 전통의약 컨퍼런스’에서 제기됐다.  

노르웨이 국립 보완대체의학연구소인 NAFKAM을 이끌고 있는 미에크 종(Miek Jong) 노르웨이 국가전통의학연구센터장(북극대학교 과학대학장)은 “내가 속한 기관은 WHO협력기관이며 정부에서 기금을 받고 있고 설립된 지 20년을 넘어가고 있다”며 “현재 19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9명의 박사와 4명의 교수. 침술 전공자 1명 등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유럽에서는 주로 정골요법과 생약제, 침술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주로 30~50대의 고소득층에서 높은 교육을 받은 여성 환자가 대부분”이라며 “노르웨이는 전체 인구의 39%가 보완요법치료를 받고 있고 병원의 21%는 침술을 활용하고 있다. 노르딕 국가들 중에 노르웨이가 보완대체 의학에 개방적인데 이는 국가 차원에서 규제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국가에서 인정을 하고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규제를 하지 않고 남겨두면 회색지대에 남아있게 된다”며 “노르웨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다. 그래서 재정지원 또한 다른 국가와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도 많이 하고 일반인이 활용하는 연구도 할 수 있다”고 현지 사정에 대해 설명했다. 

독일의 침술의 발전 현황과 더불어 현재 독일에서의 침술의 위상 등에 대해 들어볼 수 있었다. 

독일에서 지난 30년간 침술을 하고 있다고 소개한 클라우스 알베르트 헴브레흐트(Klaus Albert Hambrecht) 독일 국제의약 및 중의학 클리닉 대표는 “독일은 공공의료보험 제도가 있어 직장인 등은 의무가입이다. 민간보험도 있는데 공공의료보험에서 보장하는 것 외에 추가적인 서비스가 보장돼 있지만 월 소득이 5000유로 이상 돼야 가입할 수 있다”며 “침술을 경험한 환자들이 효과에 대해 인정을 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놓고 봤을 때 독일인들은 침에 대해 상당히 수용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00년~2005년 사이에 관련 모델연구가 진행됐고 침술의 효과가 증명됐다. 이로 인해 의료부에서는 의학박사에 ‘침술의’라는 직함을 추가하게 됐다. 현재 침술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의 90%가 의사이고 나머지 10%는 의사가 아닌 의료종사자”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특정한 진단에만 보험료가 환급되고 있는데 우리는 이를 제대로 통합시키기 위해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국민들의 침술 수용도는 높고 부분적으로 보험 대상이다. 한방치료, 침술 등에 대해 공식적인 의학으로 인정을 받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공적기관에서 인정을 받는 아햐 한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한의약의 건강보험 급여 현황과 이슈에 대한 발표도 있었다. 

임병묵 부산대한의학전문대학원 원장은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은 건강보험을 주축으로 운영되고 있고 한의약과 관련해서는 한약제제와 침, 뜸, 부항, 추나 등 몇 가지 물리치료 요법이 급여화됐다”며 “현재는 68개 단미제로 만들 수 있는 56종 한약제제가 보험급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약제제의 경우 68종의 단미제와 이를 활용해 처방할 수 있는 56종 처방의 혼합제제가 보험 적용을 받고 있지만, 혼합제제의 경우 부형제 함량이 높아 효과가 떨어진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복합제제의 급여 적용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한약제제의 활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건강보험에 추나가 추가됐고 첩약도 급여도 되기 시작해 현재 시범사업 기간을 거치고 있다”며 “추나는 여러 임상 효과와 유효성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급여에 진입했다. 이를 기반으로 다른 행위도 급여화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