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 요가 32탄, 요가의 정의 및 기원
상태바
진료실 요가 32탄, 요가의 정의 및 기원
  • 승인 2022.10.21 07: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서휘

김서휘

mjmedi@mjmedi.com


김서휘 명가한의원
김서휘
명가한의원

지금까지 대략 30회 정도 요가 동작을 소개하는 글을 연재했다. 앞으로 몇 주 간은 방향을 조금 달리하여 요가의 이론적인 부분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한다.

 

1. 요가의 정의

요가(Yoga)라는 말은 인대 고대어의 일종인 산스크리트어(범어(梵語)라고도 함)이다. 그 어근은 유즈(yuj)’로 ‘결합하다’, ‘얽어매다’, ‘붙이다’, ‘멍에 씌우듯 이어 붙이다’, ‘자신의 주의력을 이끌어주며 집중시키며, 그것을 사용하고 응용한다’ 등의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진정한 결합의 의미로 영적인 교감과 신과의 합일이라고도 하며, 마음과 육체의 결합, 인간과 자연의 조화 그리고 영원한 진리와의 결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간디가 해석한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ita)』의 서문에서는 ‘요가는 육체와 마음과 영혼의 모든 힘을 신에 결합시키는 것’ 이라고 말하고, 요가의 전제가 되는 지성, 마음, 감성, 의지를 단련시키는 것이며, 삶을 여러 각도에서 평등하게 바라볼 줄 아는 정신의 안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말을 마차에 결합시키다’ 또는 ‘말에 멍에를 씌우다’가 있다. 인도의 고대 문헌에서는 이 내용에 대하여 마차-인간의 육체, 말-인간의 마음, 타고 있는 사람-영혼에 비유하여서 ‘자아완성의 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인간이 외부 환경을 느끼고 수용하여 심신을 조절하여 진정한 자아의 해탈로서 완성의 길에 오른다는 뜻으로 삼매(三昧-Samadhi, 명상의 최고 경지)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요가 수트라(Yoga Sutras)』를 저술한 파탄잘리(Patañjali)

 

2. 요가의 기원

요가의 수행법이 문헌으로 기록되어있는 시기는 BC 1,000년경으로 이때의 요가는 음식, 수면, 욕망 등을 억제하고 호흡을 조절하여 의식을 한곳에 집중하는 고행적 행법이었다. BC 500년경에는 고행과 구별되는 요가 고유의 수행법과 철학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고, BC 200년경에는 명상적인 실천뿐만 아니라 철학적 사색, 윤리적 실천, 종교적 헌신 등을 모두 요가라고 불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요가 내용들이 경전으로 만들어진 것은 2,500년 전이다. 파탄잘리(Patañjali)가 요가 수련 과정을 8단계로 체계화하여 설명하였으며, 기원 전 2세기에는 요가 경전 『요가 수트라(Yoga Sutras)』를 저술했다. 하타 요가의 고전 문헌인 『하타 요가 프라디피카(Hatha yoga pradipka)』에는 다양한 호흡과 아사나들이 설명되어 있으며, 이것은 현대 요가의 수행 실천의 기초가 되고 있다. 또한 위 사상이 나타나는 문헌인 『바가바드 기타』에 요가의 종류와 실천 방안이 기록되어 있다. 이렇게 요가는 많은 시대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순수 자연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성립되면서 다른 사상과 구별되며, 현대 인도사상에서도 요가는 넓은 의미로 철학, 윤리, 종교까지 포함하는 수행 철학을 갖추게 되었다.

*참고 문헌 : 음양오행론적 관점에서 본 Yoga의 원리 연구 : Hatha Yoga Asana를 중심으로/박미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