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주역] 간위산 - 입을 태산처럼 무겁게 하라
상태바
[모두의 주역] 간위산 - 입을 태산처럼 무겁게 하라
  • 승인 2021.04.15 05: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혜원

박혜원

mjmedi@mjmedi.com


박혜원
장기한의원 원장

아침 출근길에 삼거리를 지나쳐야 한다. 내가 진입해야 하는 도로는 좁은 길이라 좌회전 신호를 따로 받아야 하는데, 아침 바쁜 시간에 어디 그런가. 맞은편 도로에서 차가 안오면 그냥 슬쩍 들어가는 차량이 많다. 나도 늘 그런 유혹에 시달리는데, 오늘은 특히나 뭘 했던가 어물쩡대다가 출근시간이 촉박해져 그 삼거리에 섰다. 그런데 내 앞에 서 있는 차는 맞은편에 차가 한대도 오지 않는데도 좌측 방향지시등을 켠 채 그냥 서 있는거다. 시간은 없고 마음은 급해졌지만 재촉할 수는 없었다. 지각하게 된 것은 전적으로 내 잘못인 것도 있고, 신호를 받는 것이 원칙이며, 무엇보다 그 앞차는 어린이들을 태운 유치원 차량이었기 때문이다. 제 신호를 받을 때까지 가지 않고 멈춰 있는 것은 유치원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의 당연하고도 올바른 선택이었다.

중산간괘는 산을 의미하는 간괘가 두개 겹쳐 있는 괘이다. 흔히들 어려운 일을 맞닥뜨렸을 때 ‘산 넘어 산’이라고 이야기한다. 물론 불굴의 의지로 그 산을 넘고 넘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조금 더 안전한 길을 택한다. 멈추는 것이다.

간괘의 괘사는 다음과 같다.

艮其背 不獲其身 行其庭 不見其人 无咎

彖曰 艮止也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其時 其道光明 艮其止止其所也 上下敵應 不相與也 是以 不獲其身 行其庭不見其人 无咎也

산은 멈추어 움직이지 않는 것이지만 주역의 간괘는 다르다. 움직일 때는 움직이고 그칠 때는 그치는 것이다. 움직이는 것은 바람도 물도 움직이지만 그 무게가 다르다. 굉장히 무거운 물건이 움직일때는 처음은 비교적 작은 힘에도 멈추지만,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가속도가 붙어 나중에는 멈추기가 매우 힘들어진다. 간괘의 움직임은 그래서 신중하다.

初六 艮其趾 无咎 利永貞

초육은 막 움직임이 시작되는 상태이다. 발은 행보의 시작인 곳이고, 이것을 어디로 딛느냐에 따라서 올라서거나 내려서거나 혹은 구덩이에 빠질 수도 있다. 그러니 발을 내딛기 전에 올바른 결정을 하는 것이 좋으며, 이미 발을 내딛었더라도 다음 걸음을 걷기 전에 빨리 판단해야 한다. 더 나아가지 못할 곳에서 조심성 없이 발을 내딛는 것은 위험하다. 게다가 초육은 위로 첩첩이 쌓인 산의 가장 아래에 있는 효이다. 여기가 흔들거리면 저 위의 산들이 모두 흔들리고 산사태가 일어나니, 오래도록 바르게 해야 한다.

六二 艮其腓 不拯其隨 其心不快

발이 나갔으면 다리에 힘을 주는 동작이 따라야 한다. 힘을 주면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그럼 남은 다른 발은 따라오게 되어 있다. 그런데 그 상태에서 멈춰야 한다. 한쪽 다리로만 서 있는 상황이나 다름이 없다. 위는 무겁고 지탱해야 하는 다리는 한쪽만 쓰고 있으니 불편하기 짝이 없다. 어느쪽이든 방향을 정해 다시 물러나든지, 다른 발을 이쪽으로 불러와 두 발로 서든지 해야 하는데 위에선 아직 결정을 못 내리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다리에 힘을 빼거나 마음껏 움직일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위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도 없는데 움직이지도 못하고 있으니 불쾌할 수 밖에 없다.

九三 艮其限 列其夤 厲 薰心

간괘는 양효가 위에 있고 아래 음효 두개가 받치고 있는 모양새로 이루어져 있다. 정말로 발과 다리, 그리고 허리와 같은 모습이다. 구삼은 음효 두개 위에 얹혀 있는 양효로, 움직임이 적은 음효보다는 움직임이 많다. 한쪽으로만 구부러지는 무릎이나 조금 더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가동성이 적은 발목보다 허리는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런데 지금 허리로 무언가를 버티고 있으니 등뼈가 찢어질 것 같다. 허리를 다쳐본 사람은 알겠지만 허리가 아프면 다치지도 않은 다리마저 꼼짝하기가 힘들다. 무게중심이 허리에 실려 있는데 그대로 버티고 있어야 하다니, 조금만 더 시간이 지나도 정말 뼈가 부러질 것 같은 상황에 멈추어 있으려면 불쾌한 정도로 끝나지 않는다. 그야말로 걱정과 불안으로 마음이 타들어가는 것이다.

六四 艮其身 无咎

허리 위쪽의 몸은 가동성이 적다. 이동하는데 기여하는 바도 허리 아래쪽보다는 작다고 볼 수 있다. 그 부분은 그저 무게중심을 잡는데 일조할 뿐, 그저 가만히만 있어도 중간은 가는 자리다. 괜히 그 자리를 이리 저리 흔들어봐야 좋을게 없다. 특히 허리에 무거운 것이 얹혀 있는 상태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러니 가만히 있으면 허물할 것도 없다.

六五 艮其輔 言有序 悔亡

똑같은 간괘인데 아래쪽의 상황과는 달리 위쪽은 한가롭기 그지없다. 산도 꼭대기로 올라갈수록 봉우리가 되는 것처럼 위쪽은 받칠 무게가 가볍기 때문이다. 볼은 입 안에 든 혀와 이를 지탱하면 그만이고, 가벼우니 마음대로 움직이기도 쉽다. 그러나 그치라고 했다. 말에는 차례가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혼자 오랫동안 좋아해왔다 하더라도 첫만남에 청혼을 하면 따귀를 맞기 쉽상이다. 누군가의 장례식장에서 자기에게 생긴 좋은 일들을 떠벌이는 것은 무례 중의 무례다. 그런 말들은 때를 보아 꺼내 놓아도 괜찮은 것들이다. 지금은 그저 입을 다물 때인 것이고, 그래야 나중에 후회할 일이 없다.

上九 敦艮吉

상전에는 以厚終也라 하였다. 두텁게 함으로써 마친다는 것이다. 무엇을 두텁게 하는 것일까? 멈추려는 뜻을, 그만큼의 오랜 시간동안 관철한 것이다. 멈출까? 말까? 다시 가볼까? 하면서 실제로 움직이는 부분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고, 멈춰 있는 채로 중심을 잡는 것이다. 중심을 잡는데 실제로 힘을 쓰는 허리 다리 몸통이 가장 중요할 것 같지만, 사실은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머리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 어지럼증이 있으면 몸을 잘 가누지 못하는 것처럼 머리가 제 역할을 수행해야 다른 부분들이 중심을 잡을 수 있다. 상구는 양효이니 더 위로 올라가고자 하거나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다. 그러나 그 자리에 멈춰서 다른 효들이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그러니 길하다.

간괘는 서로 음양응이 되는 효가 하나도 없다. 양효는 양효끼리, 음효는 음효끼리 짝이 된다. 그러니 서로 기댈 수도 덜어줄 수도 없다. 각자 짊어진 무게를 책임지는 것이다. 그저 멈춰 있기만 하면 되는 초육도 있고, 멈출 수는 있지만 마음은 불편한 육이도 있고, 불안과 고통을 감내하는 구삼도 있다. 이들에게는 선택지가 별로 없다. 그저 견뎌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외괘의 효들은 다르다. 움직여도 되지만 움직이지 않는 편을 선택하는 것이다. 아래에서 받치고 있는 세 개의 효들을 위해서.

사람의 삶의 무게는 그 사람만이 안다. 겉으로는 아무리 화려해 보여도 어느날 홀연히 세상을 버리는 사람이 한둘이던가. 나는 힘들다고, 내가 세상에서 제일 불쌍하다고 하는 사람도 들여다보면 남들보다 나을 때가 있고, 나는 괜찮다, 행복하다 하는 사람도 속은 문드러질 대로 문드러져 있을 때도 많다. 그러니 멈춰라. 그의 짐을 대신 짊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그 짐에 못된 말 한마디, 위로랍시고 공감능력 없이 아무렇게나 던지는 말 하나 더 얹는 것쯤은 멈춰도 될 일 아닌가. 괴로움이 있으면 어디든 토로하고 싶은 것이 사람이지만, 최소한 말을 꺼내기 전에 내 괴로움을 푼다고 한 그 말에 상처 입을 사람이 있다는 것을 한 번 더 멈춰서 생각하는 것이 그토록 어려운 일인가. 이미 뱉은 말이더라도, 우리에게는 멈추고 사과할 수 있는 선택지가 항상 있다. 사람은 항상 스스로를 가장 힘든 위치에 있는 구삼이라고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실은 위쪽에서 한가로이 입을 놀리는 육오일수도 있다는걸 한번만 더 생각했으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