刊記별 證脈方藥合編 표제지 비교
상태바
刊記별 證脈方藥合編 표제지 비교
  • 승인 2020.06.20 05: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mjmedi@mjmedi.com


임상 한의사 3인이 연구한 황도순, 황도연(60)

선장본 <證脈方藥合編>은 冶洞新刊, 美洞新刊, 里洞新刊, 院山新刊 등 刊記별로 4가지 판본이 있다. 또한 冶洞新刊에는 乙酉二月 冶洞新刊과 乙酉仲秋 冶洞新刊 2개의 刊記가 있는 것과 乙酉仲秋 冶洞新刊 刊記 1개만 있는 것이 있다. 필자는 이전 글(민족의학신문 2018.3.17.자 및 2018.10.18.자 등)에서 <證脈方藥合編> 冶洞新刊 중 刊記 2개가 함께 있는 것은 “전기 증맥야동”이라 하고, 刊記 1개만 있는 것은 “후기 증맥야동”이라 정의하였다. 이렇게 구분하면 <證脈方藥合編>은 총 5개의 刊記가 존재한다.

이번 글에서는 5개의 <證脈方藥合編>에 대해 판본별로 표제지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5개의 표제지는 얼핏 보기에는 거의 동일하게 보인다, 그러나 표제지를 확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모두 다른 판본임을 알 수 있다(그림 1~그림 5). 즉 “전기 증맥야동”의 표제지를 원판으로 삼아 나머지 4개 간기의 표제지는 飜刻本으로 새로 印出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림1
그림1
그림2
그림2
그림3
그림3
그림4
그림4
그림5
그림5

 

표제의 테두리를 보면 의 “후기 증맥야동”은 惠庵先生遺稿 밑이 굵은 선 1개가 아니라 가는 선 2개임을 알 수 있다(그림 2). 또 庵의 제 3획이 다른 판본과 달리 굴곡 없이 판각되어 있다. 또 藥의 제 4획이 “白”으로 다른 판본의 “日”과 다름을 알 수 있다. 院山新刊의 경우 證脈方藥合編 각 글씨마다 삐침이 두드러지게 판각되어 있다. 이 밖에 5개 판본의 書體를 꼼꼼하게 살펴보면 각각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일일이 설명하기에는 지면상의 한계가 있어 刊記별로 “之”와 “爲”의 판각 차이를 예시로 그림 6에서 밝혀둔다. 향후 판본학적 비교 연구의 진전을 기대한다.

 

 

한기춘·서정철·최순화 / mc맥한의원·우리경희한의원·보광한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