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醫學·歷史遺跡 探訪記(27) - 윤창열
상태바
中國醫學·歷史遺跡 探訪記(27) - 윤창열
  • 승인 2004.09.17 1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 皇天上帝께 天祭를 올리던 天壇 □

⑧ 皇乾殿

祈年殿은 하늘을 상징하기 때문에 평지보다 높은 곳에 건축하여 우뚝 솟아 있지만 皇乾殿은 평지에 위치하여 기년전에서 한참 내려가야 한다.
황건전은 祈穀의식을 치른 후에 皇天上帝와 皇帝先祖의 위패를 보관하는 장소이다. 祈穀大典 당일 神位는 龍亭에 놓여 祈年殿으로 옮겨지고 이 이외의 날에는 皇乾殿에 보관된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이면 禮部와 太常寺의 관원들이 香을 올린다.

이 건물은 永樂 18년(1420년) 처음 지어졌을 때는 天地壇의 天庫로써 天地神位를 보관했고 嘉靖 24년(1545년) 皇乾殿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한다.
전 안에는 정면에 돌로 만든 須彌座 위에 皇天上帝神位가 모셔져 있고 양쪽에 황제의 선조들의 신위가 있다. 祭祀前 一日에 황제는 친히 皇乾殿에 와서 香을 사르고 禮를 행하였다고 한다.

皇乾殿의 서쪽에 있는 하나의 門을 古稀門이라고 하는데 乾隆帝가 71세되던 乾隆 46년(1781년) 자신이 이 문을 만들어 出入하면서 자신의 자손중에서 “有壽登古稀者 方可出入此門”이라하여 이러한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後世의 皇帝중에 70세를 넘긴 황제는 한 명도 없었다.

⑨ 長廊과 七星石

長廊의 기점은 기곡단의 東전門이고 종점은 宰牲亭이다. 中間에는 神廚가 있다. 이 長廊은 지금은 천단의 관람을 마친 사람들이 東門에 있는 주차장으로 나가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할 出口지만 옛날에는 神廚에서 요리한 祭需들을 운반하던 통로였다.
옛날의 제천의식은 해돋기 전에 행해졌기 때문에 燈을 달아서 길을 밝혔다 하며 지금과 달리 앞은 창문이요 뒤는 벽으로 된 밀폐식 복도였다고 한다.

이는 供物을 옮길 때 비바람이나 눈,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장랑은 모두 72間이라서 72장랑이라고도 부르고 또 72連房이라고도 불렀으며 속설에 이곳에는 72 煞(죽일 살)이 있다고도 하였다.

七星石은 長廊의 남쪽에 있다. 전설에는 하늘에서 떨어진 돌이라 하나 위에 山形紋이 있어 인공으로 조각한 돌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가 있다.

七星石은 북두칠성의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明나라 嘉靖年間에 大享殿을 개축할 때 道士가 가정황제에게 말하기를 大殿의 巽方(손방, 東南方)이 空虛하여 국토가 견고하기 어렵고 國運이 지속되는 데 불리하며 황제의 수명에도 대단히 좋지 않다고 하여 돌로써 누를 것을 건의하였다 한다. 가정제는 道敎를 독실하게 믿었기 때문에 도사의 말을 듣고 이곳에 七星石을 두어 風水를 진압했다고 한다.

七星石을 갖다놓은 또 다른 說로는 옛날에 황제들이 天祭를 올릴 때는 항상 泰山에 가서 封禪을 했는데 泰山의 꼭대기에는 七峰이 있다고 한다. 이제 태산에 가서 封禪을 하지 않고 이곳 천단에서 天祭를 올리니 七星石은 泰山七峰을 상징하여 이곳에 갖다 둔 것이라는 것이다.

淸나라가 들어온 후에 七星石의 동북쪽에 하나의 작은 돌을 더 갖다 놓아 지금은 모두 8개의 돌로 되어 있지만 이름은 여전히 七星石이라 부른다. 돌을 동북쪽에 하나 더한 것은 淸나라의 皇帝들이 그들의 뿌리인 東北方과 근본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서였다고도 하며, 만주족이 中原에 들어온 이후 그들도 華夏의 一員임을 표시하기 위해 건륭제가 조칙을 내려 돌을 하나 더 증설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⑩ 天壇에서 유래한 북경의 특산품 益母膏

天壇에는 藥과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천단이 건립된 후에 神樂觀의 道士가 야생의 益母草를 천단에 옮겨 심었다 한다.
천단의 토양은 益母草의 生長에 적합하여 잘 자라자 道士들은 돈을 벌기위해 천단의 益母草는 仙藥이라고 널리 선전하면서 益母膏를 고아서 藥局을 만들어 큰 돈을 벌었다.

明·淸시기에 이 약은 비록 여러 번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후세에 만든 益母膏는 더욱 뛰어나고 효과가 좋아 마침내 北京의 특산품이 되어 전국 각지로 팔려 나갔을 뿐만 아니라 中國 최초의 수출 상품의 하나가 되었다 한다.

과거에 천단은 沙土地帶여서 여기서 생산되는 沙參의 효과가 아주 좋았다고 한다. 그런데 淸末에 이르러 土質이 변화되고 사삼의 소출도 줄어들고 약효도 떨어졌으며 1915년 天壇이 개방된 뒤에는 원래 피던 흰 꽃이 紫色의 꽃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沙參花紫 天壇開放, 婦女進園 仙藥失效”의 말이 당시에 생겨났다고 하는데 沙質土에서 粘質土로 바뀐 영향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한다.

천단의 관람을 마치고 同治 3년(1864)부터 있었다는 유서 깊은 老子號인 북경오리구이 전문점인 全聚德에서 저녁식사를 하고 호텔에 도착하니 8시가 넘은 시간이었다. 이 호텔에서는 京劇을 매일 저녁 공연하는데 도착시간이 늦어 관람기회를 놓쳐버렸다. <계속>

윤 창 열
대전대 한의대 학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