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의 編制 비교에 대한 연구
상태바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의 編制 비교에 대한 연구
  • 승인 2020.03.21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mjmedi@mjmedi.com


임상 한의사 3인이 연구한 황도순, 황도연(54)

Ⅰ. 서론

민족의학신문 1220호에서는 <醫宗損益>1)의 編制 비교를 통해 간행시기를 살펴보았는데, 이번 호에서는 <醫宗損益> 板本 연구의 일환으로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2)의 成冊 순서를 논술하고자 한다. <醫宗損益>의 編制 중 여기에서는 惠庵別号叙와 小像은 제외하고 自叙, 凡例, 引用諸書, 醫宗損益目錄의 항목 순서 비교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도록 한다.

 

Ⅱ. 본론

1. <醫宗損益> 成冊 순서

<醫宗損益>은 成冊 순서가 다른 여러 유형이 존재하는데 다음과 같다.

① 제1형: 自叙, 凡例, 引用諸書, 醫宗損益目錄의 순서

② 제2형: 自叙, 凡例, 醫宗損益目錄, 引用諸書의 순서

③ 제3형: 自叙, 引用諸書, 凡例, 醫宗損益目錄의 순서

④ 제4형: 自叙, 醫宗損益目錄, 凡例, 引用諸書의 순서

⓹ 제5형: 醫宗損益目錄, 自叙, 凡例, 引用諸書의 순서

2. <醫宗損益附餘> 成冊 순서

<醫宗損益附餘>를 조사한 결과 板本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成冊 순서의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다음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① 제1형: 序, 凡例, 醫宗損益附餘目錄, 綱領의 순서

② 제2형: 序, 醫宗損益附餘目錄, 凡例, 綱領의 순서

3.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의 출판 시기

<醫宗損益>의 서문에는 “丁卯暮春之吉 惠庵題”라고 되어 있고, <醫宗損益附餘>의 서문에는 “戊辰暮春下澣 惠庵題”라고 쓰여 있다. 이는 각각 1867년 음력 3월 초하루와 1868년 음력 3월 하순을 가리킨다. 그리고 <醫宗損益>의 標題에는 “同治戊辰新鎸”라고 되어 있고, <醫宗損益附餘> 標題의 같은 위치에는 “校對無訛”로 되어 있다.

 

Ⅲ. 고찰

<醫宗損益>은 책의 成冊 순서를 기준으로 보면 제1형부터 제5형까지 다양하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醫宗損益>보다 앞서 편찬된 <本草附方便覽>의 경우 그 순서가 “序, 凡例, 本草附方便覽目錄”인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이처럼 순서가 여럿인 판본이 존재하는 것은 製冊 과정에서 나타난 차이로 보인다.

중국의 金明玉3),4)은 중국 각 지역 도서관에 소장된 <醫宗損益> 판본에 대하여 연구하면서 책의 순서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中國中醫科學院圖書館 “惠庵序, 目錄, 引用書目, 凡例, 正文等”, ② 上海圖書館 “自叙下有…….凡例, 引用諸書, 目錄, 本文”, ③ 上海中醫藥大學圖書館 “自叙后有…….凡例, 引用諸書, 目錄, 本文”, ④ 中國科學院(上海生命科學硏究院 所藏) “惠庵的叙文, 按著順序是目錄, 引用諸書, 本文”. 여기에는 제1형인 “叙, 凡例, 引用諸書, 目錄”인 판본과 나머지 유형에 속하지 않는 새로운 製冊 순서인 “叙, 目錄, 引用書目, 凡例”인 판본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는 결론에서 “同治戊辰(1868)年 第一次出版后 以后沒有再出版”이라 서술하였다. 즉 초판만 존재한다고 한 것인데 그는 “同治戊辰”에만 주안점을 두고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지 않았기 때문에 <醫宗損益> 판본에 대한 주장의 신빙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진철5)은 “의종손익의 판본은 하나뿐이어서 크게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하였는데 金明玉처럼 조사한 판본이 크게 부족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한편 金明玉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이나 일본 杏雨書屋 소장본에 수록된 것과 같은 惠庵의 초상화와 惠庵別号叙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아직까지 중국에서는 惠庵의 초상화가 수록된 <醫宗損益> 판본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醫宗損益附餘>는 2종의 판본이 있는데 제1형은 序, 凡例, 醫宗損益附餘目錄, 綱領의 순서로 成冊되어 있고, 제2형은 序, 醫宗損益附餘目錄, 凡例, 綱領의 순서로 되어 있다. 標題와 序文의 書體도 거의 모든 책에서 동일하였고 별다른 글자의 補刻도 나타나지 않았다. 2가지 유형의 간행 시기를 살펴보면 <本草附方便覽>과 <醫宗損益>의 순서가 “序, 凡例, 目錄”인 점으로 미루어 후대로 가면서 혼돈을 일으켜 제2형처럼 순서가 되어 버린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제1형이 초기본이고 제2형이 후기본이라 추정된다.

한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6) <醫宗損益> 1책 표지 우측에는 “藥性歌”라고 적혀 있어 <醫宗損益附餘>를 제1책으로 하고 <醫宗損益> 子集과 丑集을 제2책으로 하고 戌集과 亥集을 제7책으로 하였다. 그러나 <醫宗損益附餘>에는 閏集이라고 적혀 있어서 보충 본에 해당하는 閏集이 <醫宗損益> 제1책(子集과 丑集)보다 앞설 수는 없으므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製冊 상 오류가 있는 것 같다.

이번 호에서는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의 編制를 비교하였다. <醫宗損益>의 초기본과 <醫宗損益附餘> 제1형의 成冊 순서가 동일하였고, <醫宗損益> 후기본과 <醫宗損益附餘> 제2형의 成冊 순서가 각각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두 책의 저술 시기가 각각 丁卯暮春之吉(1867년 음력 3월 초하루)과 戊辰暮春下澣(1868년 음력 3월 하순)으로 상당히 가까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안상우7)는 <醫宗損益附餘>를 1867년에 저술하였다고 하였는데 이는 착오로 보인다. 따라서 <醫宗損益>의 출판은 戊辰(1868년)이고, <醫宗損益附餘>의 출판 시기는 표제에 정확히 나타나 있지 않으나 序文으로 보아 戊辰(1868년)에 初刊된 것으로 보인다(그림 1, 그림 2).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의 판본은 그림 1과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標題와 序文의 書體가 각기 다르다. 둘 다 武橋贊化堂藏板으로 되어 있으나 “游藝室校訂”과 “游藝室原本”의 차이가 있는 등 판본의 구성 형식이 다르고, 서문에 적힌 刊記가 달라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가 동시에 출간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편 <醫宗損益> 서문의 刊記에 대해 이진철5)은 “丁卯暮昏之吉(정묘년(1867년) 해질 무렵에 혜암 씀)”이라고 하였고, 양휘웅8)은 “丁卯暮昏之吉 惠庵題(정묘년(1867) 말월의 길일에 혜암 쓰다)”라고 번역하였는데, 두 사람 모두 隷書體인 春을 昏으로 오인하였고, 吉이 초하루라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또한,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9)에서 제공하는 <醫宗損益> 해설에는 “丁卯(1867)暮昏之吉 惠庵題”로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10)에 제공하는 <醫宗損益>의 서지사항에도 “丁卯(1867)暮昏之吉 惠庵題”라고 기재되어 있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한편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11)에서는 “手書刻自序: 丁卯(1867)暮春之吉 惠庵題”라고 하여 올바른 정보가 제공하고 있는데, 다른 곳에서도 올바른 정보가 제공되기를 바란다.

향후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의 판본에 대한 진전된 연구 결과를 기대한다.

 

Ⅳ. 결론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의 成冊 순서를 비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醫宗損益> 成冊 순서는 5가지 유형이 있는데 “序, 凡例, 目錄” 순서인 제1형이 초기본으로 추정된다.

2. <醫宗損益附餘> 成冊 순서는 2가지 유형이 있는데 “序, 凡例, 目錄” 순서인 제1형이 초기본으로 추정된다.

3. <醫宗損益>과 <醫宗損益附餘>은 戊辰年(1868)에 출간된 것으로 추정되나 標題와 書體가 달라 동시에 출간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惠庵, 醫宗損益, 필자 소장.

2. 惠庵, 醫宗損益附餘, 필자 소장.

3. 金明玉, 医宗损益 版本研究, 中国民族民间医药, 2012:14:21-22.

4. 金明玉, 医宗损益 研究, 中国民族民间医药, 2012:13:11.

5. 이진철, 의종손익을 통해 살펴본 황도연의 의학사상 연구, 2017,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惠庵, 醫宗損益附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7. 안상우, [고의서산책 344] 醫宗神農本草,

민족의학신문(2007.7.13.,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25).

8. 양휘웅,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DB(https://mediclassics.kr/books/59/volume/1).

9.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http://kostma.korea.ac.kr/dir/viewIf?uci=RIKS+CRMA+KSM-WZ.1868.1100-20150331.NS_0473).

1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http://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116759).

11. 惠庵, 醫宗損益附餘,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

 

한기춘·서정철·최순화 / mc맥한의원·우리경희한의원·보광한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