鄕藥名으로 본 新訂方藥合編의 傳承에 대한 연구②
상태바
鄕藥名으로 본 新訂方藥合編의 傳承에 대한 연구②
  • 승인 2019.04.20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mjmedi@mjmedi.com


(이전 호에 이어)

 

2. 里洞新刊과 美洞新刊의 영향

里洞新刊과 美洞新刊에는 安息香의 향약명이 “북모진”으로 되어 있고, 冶洞新刊과 院山新刊에는 “북모진”으로 되어 있다. <新訂方藥合編>에는 安息香의 향약명이 “북모진”으로 되어 있으니, 이는 里洞新刊과 美洞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그림 9).

3. 美洞新刊과 院山新刊의 영향

美洞新刊과 院山新刊에는 五加皮의 향약명이 “닷둘흡”으로 되어 있고, 冶洞新刊과 里洞新刊에는 “딧둘흡”으로 되어 있다. <新訂方藥合編>에는 五加皮의 향약명이 “잣둘흡”으로 되어 있는데, “닷둘흡”의 변형된 형태인 “잣둘흡”으로 된 것은 구개음화 현상으로 인한 변화이며, 이는 美洞新刊과 院山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그림 10).

4. 美洞新刊, 冶洞新刊, 院山新刊의 영향

美洞新刊, 冶洞新刊, 院山新刊에는 鵲肉의 향약명이 모두 “가치고기”로 되어 있고, 里洞新刊에는 “간치고기”로 되어 있다. <新訂方藥合編>에는 鵲肉의 향약명이 “가치고기”로 되어 있으니, 이는 美洞新刊, 冶洞新刊, 院山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그림 11).

Ⅲ. 고찰

線裝本 <方藥合編>과 <新訂方藥合編>의 향약명을 비교해 본 결과 人參, 豨薟, 甘蕉, 王不留行, 葛根, 苜蓿, 龍骨, 人中白의 향약명은 里洞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安息香의 향약명은 里洞新刊과 美洞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五加皮의 향약명은 美洞新刊과 院山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鵲肉의 향약명은 美洞新刊, 冶洞新刊, 院山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新訂方藥合編>은 향약명의 채택에 있어 線裝本 <方藥合編> 중 바르게 판각된 판본을 골라 편집하여 책을 출판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甘蕉는 線裝本 <方藥合編>의 “파쵸불휘”, “다쵸불”, “만쵸불휘” 가운데 “만쵸불휘”를 채택하였고, 苜蓿의 경우 “거어목”, “거이목”, “건어목” 가운데 “건어목”을 선택한 것이다. 또한 安息香은 “북모진”과 “북모진” 가운데 “북모진”을 채택하고, 五加皮는 “딧둘흡”과 “닷둘흡” 가운데 “닷둘흡”을 채택하여 판각시 철자의 오탈자에 대해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여러 線裝本 <方藥合編>의 향약명 중에서 신중하게 골라서 책을 출판한 것은 이 책을 만든 崔承學의 식견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崔承學의 서문 刊記가 “隆熙元年 十二月上旬 大寧崔承學書于大同報社編輯室”이라고 되어 있어 1907년 12월에 <新訂方藥合編>을 편집하고 서문을 썼음을 알 수 있다. 이 내용을 통해 里洞新刊의 간행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新訂方藥合編>의 향약명을 기록하는데 里洞新刊 판본이 많은 영향을 미쳤으므로 <新訂方藥合編>이 완성되어 서문을 쓴 1907년 12월을 里洞新刊 간행시기의 하한선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좀 더 정확한 里洞新刊의 상한·하한선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豨薟의 향약명은 “진득찰” 대신 전라도 방언인 “진두찰”로 되어 있고, 鵲肉의 향약명은 전라도 방언인 “간치고기” 대신 “가치고기”로 되어 있어 이에 대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Ⅳ. 결론

鄕藥名을 통하여 線裝本 <方藥合編>과 <新訂方藥合編>의 傳承 관계에 대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人參, 豨薟, 甘蕉, 王不留行, 葛根, 苜蓿, 龍骨, 人中白의 향약명은 里洞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2. 安息香의 향약명은 里洞新刊과 美洞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3. 五加皮의 향약명은 美洞新刊과 院山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4. 鵲肉의 향약명은 美洞新刊, 冶洞新刊, 院山新刊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惠庵, 重訂方藥合編, 乙酉仲秋 美洞新刊, 필자소장.

2. 惠庵, 證脈方藥合編, 乙酉仲秋 冶洞新刊, 필자소장.

3. 惠庵, 證脈方藥合編, 乙酉仲秋 院山新刊, 필자소장.

4. 惠庵, 證脈方藥合編, 乙酉仲秋 里洞新刊, 필자소장.

5. 黃度淵 原著, 崔承學 譯述, 金光濟 校正, 新訂方藥合編全, 光東書局, 隆熙2(1908), 필자소장.

 

한기춘·서정철·최순화 / mc맥한의원·우리경희한의원·보광한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