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3.1 운동 100주년…통합의사로서의 독립 꿈꾼다”
상태바
한의협 “3.1 운동 100주년…통합의사로서의 독립 꿈꾼다”
  • 승인 2019.02.26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춘호 기자

김춘호 기자

what@mjmedi.com


1899년 기사 통해 통합의사 역할 확인…한의학 말살정책으로 의생 격하 수모


[민족의학신문=김춘호 기자] 한의협이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이제는 한의사도 일제의 잔재에서 벗어나 ‘통합의사’로서 진정한 독립을 이뤄내 국민건강증진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는 논평을 26일 발표했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는 “3.1 운동의 정신을 이어 받은 수많은 애국지사들의 헌신과 희생을 바탕으로 우리 민족은 마침내 독립을 맞이했으나, 안타깝게도 한의계는 아직까지 진정한 독립을 맞지 못하고 있다”며 “일제의 본격적인 압제가 시작되기 전인 1900년, 대한제국 의정부 총무국 관보과에서 발행한 관보(제1473호, 내부령 제27호)에 공포된 ‘의사규칙’을 살펴보면 당시 의사는 전통의학을 수행하는 한의사를 위주로 하여 서양의학의 지식과 신기술을 습득한 의료인을 포괄하는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1899년 설립된 관립학교 초대 교장에 종두법으로 유명한 한의사 지석영 선생이 임명되고, 같은 해 3월 8일자 황성신문에 ‘내과는 서양의술과 동양의술을 서로 참조하여 가르친다’는 내용의 기사가 실린 사실만 보더라도 당시 의사였던 한의사가 ‘통합의사’로서 역할을 담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하지만, 일제의 무단통치가 본격화 되면서 일제는 민족문화 말살의 일환으로 ‘한의학 말살정책’을 집요하게 전개하여 한의사는 의생으로 격하되는 수모를 겪고, 한의사의 의권은 끝없이 추락하여 아직까지 그 위상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한의학 말살정책과 맞물려 일제 강점기부터 시작된 노골적인 서양의학 우대정책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한의사들은 환자 진료에 현대의료기기를 자유롭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치매 국가책임제, 장애인 주치의제, 커뮤니티케어 등 국가가 주도하는 공공의료정책에서도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국민의 진료선택권을 보장하고 진료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의사가 역할과 영역에서의 제약 없이 포괄적 의사로서 활동 하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덧붙여 “한의협은 국민의 건강증진과 생명보호라는 책무를 보다 훌륭히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통합의사’의 길을 묵묵히 헤쳐 나갈 것임을 다시 한 번 다짐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