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정격과 간승격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 고찰
상태바
간정격과 간승격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 고찰
  • 승인 2017.12.15 08: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민지, 박지연

윤민지, 박지연

mjmedi@http://


미래인재육성 프로젝트 참여한 한의대생들 후기 ①

Recent Study Trends of Ganjeonggyeok and Ganseunggyeok: a Systematic Review

 

본 란은 대한한의학회가 주관한 미래인재육성 프로젝트 1차 심사를 통과한 한의대생들이 전국한의학학술대회 포스터 게재 후 참가 후기와 논문 초록을 시리즈로 게재했다. 편집자 주

 

논문 초록 

Ⅰ. 서론

사암침법의 다양한 임상적 활용, 한의사들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현재 연구된 논문은 많지 않다. 기존 연구된 바에 따르면 사암침법의 전통, 독자성, 기본형태, 이론에 관한 문헌연구와 증례보고 위주로 연구되어 있고, 실제 임상 활용이나 기전에 관해서는 연구가 미비하다. 특히 본 연구의 주제인 간정격과 간승격은 임상적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은 반면, 연구된 바는 아직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정격과 간승격, 각각 침법에 포함되는 경혈을 단독 또는 조합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사암침법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2017년 2월 전까지 발행된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하였다. 5개의 데이터베이스, 39개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논문을 수집하였고 포함/제외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Ⅲ. 연구결과

총 43개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간정격과 간승격을 사용한 임상 실험 연구는 총 4건, 증례보고 10건, 간정격, 간승격과 다른 경혈을 함께 사용한 연구 7건, 각 경혈을 단독 또는 조합한 임상 연구 10건, 각 경혈을 이용한 동물 실험 연구 12건이 검색되었다.

간정격 및 승격의 임상 활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포함된 논문의 대상 질환을 일차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사암침법 및 각 경혈의 사용근거를 고찰한 결과 진전과 비만이 가장 많이 연구된 질환이었으며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한 질환은 ALS였다.

 

Ⅳ. 결론

간정격과 간승격에 관한 연구는 증례 보고 위주로 시행되었고, 기전에 관한 연구는 간정격, 승격을 사용한 맥파 변화 관찰, 근시에 관한 연구와 각 경혈을 이용한 연구 12건만이 시행되였다. 또한 증례보고가 다방면의 질환을 포함하고 있는데, 질환에 대한 논문이 1건씩인 경우가 많아서 질병과 침법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힘들었고, 향후 질환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조군이 포함된 대규모 임상 실험 연구와 동물 실험 연구가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학술대회 참관 후기 

포스터 게시한 후 살펴본 결과, 다른 조는 동물실험을 통한 기전 연구나 약리학적 연구를 주로 시행하였으며, 대부분의 조는 systematic review를 시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른 조가 하는 연구를 볼 수 있어서 좋은 기회라고 생각이 되었으며 흥미로운 주제도 많이 있었다. 다만 다른 조에 비해 수행한 연구가 단순하고 간단한 편이라 걱정이 되었다.

본 연구는 간정격과 간승격의 임상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동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제외기준을 거친 후 43개의 논문이 선별되었고, 간정격과 간승격을 사용한 논문은 총 21건, 간승격과 간정격의 각 혈자리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한 논문은 총 22건이었다. 본 연구는 간정격과 간승격에 관한 연구동향을 사용 경혈, 연구방법, 질병에 따라 정리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최종 분석에 포함된 논문 중 간정격과 간승격을 주 치료법으로 사용한 논문이 21건에 불과하여 비교적 적은 연구가 시행되었다는 데 있다. 또한 시행된 연구가 대부분 증례 보고였으며, 임상시험 연구는 단 2건밖에 없었다. 증례보고의 특성상 침 효과에 대한 변인을 통제할 수 없으므로 간정격, 간승격에 대한 명확한 치료효과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각 경혈에 대한 연구 또한 사암 침법의 포함경혈로써 사용된 것이 아니라, 해당 경혈이 속한 경맥의 의미를 반영하여 사용하였으므로 사암침법의 정격, 승격의 보, 사 구성 의미를 찾기 힘들었다. 또한 증례 보고의 대상 질환이 매우 다양하여 사암침법의 임상 활용성 증대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나, 연구된 논문은 대부분 1건에 불과하여 질병과 치료방법의 관계를 명확히 정립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해당 질병과 치료법에 대한 더 많은 대규모 임상 시험 연구가 필요하며, 사암침법의 치료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기전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간정격은 간기능 및 비만도 개선, 근시, 바르톨린선염, 이명, 딸국질과 불면증, 전립선 암, 진전에 효과가 있었으며, 간승격은 대상포진 후 신경통, 공황장애, GERD 및 IBS에 효과적이었다. 분석에 포함된 논문은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증례 보고가 대부분이었으며 그 수가 적어 사암침법의 효능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어려웠다. 따라서 향후 질환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대조군이 포함된 대규모 임상연구 및 치료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동물 실험 연구 또한 더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인 심화 연구를 통해 기전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마련된다면, 간정격과 승격의 임상 활용 범위 또한 확대될 것이다.

 

윤민지, 박지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