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방 협진의 명확한 이유와 방법 고민해봐야”
상태바
“한·양방 협진의 명확한 이유와 방법 고민해봐야”
  • 승인 2016.08.31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은주 기자

신은주 기자

44juliet@http://


한의약정책연구회, 협진의 성과와 발전 방향 모색


[민족의학신문=신은주 기자] 한의약정책연구회(회장 임병묵)는 지난달 29일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혜정)과 ‘한·양방 협진의 성과와 향후 발전방향 모색’을 주제로 2016년 제4차 한의정책포럼을 열고, 협진의 발전을 위해서는 협진의 명확한 이유와 방법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토론에 앞서 박민정 박사(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사업단)는 ‘한·양방 협진의 도입 및 성과’ 연구발표를 통해 “병원의 협진 도입과 활성화 수준은 병원이 속한 종별(양방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등)로 큰 편차를 보였고, 병원이 속한 지역의 시장 압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며, “연구에서 병원마다 다양한 협력 방식이 반영되지 못했고, 협진의 강도와 주요 치료행위 및 유형을 반영하지 못했다”고 한계를 토로했다.

박 박사는 “향후 병원의 협진 유형 및 협진의 협력 수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며, “협진의 지속가능성 및 사회적 수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가치, 즉 비용효과성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토론에서 이평수 차의과대학교 보건의료산업학과 교수는 “공공의료원에서 한방진료부를 개설하고, 의료기관의 한·양방 교차 고용, 협진관련수가 신설 및 우대 등 보건의료 정책적으로 협진을 유도했지만 잘 되지는 않았다”며, “그 이유는 협진 이유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향후 정책연구에서는 협진도입병원에서는 무엇을 위해 무엇을 협진하는지, 협진 유형별 성공과 실패 요인은 무엇인지, 협진의 장애요인과 극복방안은 무엇인지 연구해볼 수 있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토론의 한 참석자도 이 교수의 말에 동의하며 “협진 시 동일한 언어와 동일한 이론적 기반이 필요하다지만 기본적으로 같아질 수는 없다”며, “한·양방 협진 시 모아지는 부분이 있을 것이며 바로 그 때에 무엇을 위해 무엇을 협진해야 하는지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과연 이윤동기가 없는데 한·양방 협진을 하려고 할까”라며, “높은 수가를 보장해준다면 양방병원에서도 한·양방 협진을 거부할 이유는 없겠지만, 결국 한의사의 주도권은 낮아질 것이라 생각하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발전적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의견을 내놓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