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칼럼] 사주나 점을 믿으시나요?
상태바
[김영호 칼럼] 사주나 점을 믿으시나요?
  • 승인 2015.03.05 1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호

김영호

mjmedi@http://


김영호 칼럼

김 영 호
부산 공감한의원 원장
부산광역시 한의사회 홍보정책기획이사
지난달 15일과 22일 2회에 걸쳐 JTBC에서 방송한 ‘이영돈 PD가 간다-대한민국 10대 점술가를 찾아라’를 재미있게 보았다. 점술도 명맥이 끊이지 않고 아직도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한의사들 중에도 사주나 관상 등을 공부하는 분들이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필자는 사주나 주역을 공부해본 적이 거의 없어서 일반인의 관점으로 이 프로그램을 본 느낌을 함께 나누어 보고자 한다.

환자 중에 한의사라 하면 점술에 대해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것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많다. 하지만 한의사들 중 대다수는 점술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을 것으로 짐작된다. 음양오행을 공부하였으니 일반인들보다 사주에 대한 얘기를 듣고 조금 더 폭넓은 이해가 가능한 정도이다.

2회에 걸친 ‘이영돈 PD가 간다-대한민국 10대 점술가를 찾아라’를 본 후의 느낌은 대략 2가지 정도로 요약해볼 수 있었다.

▶사주는 악보다
미술이나 문학과 달리 음악은 항상 해석하는 연주자가 필요하다. 미술과 문학처럼 결과물이 나와 있어서 그것을 우리가 바로 감상하고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연주자를 통해서 재해석된 음악을 우리가 듣는 것처럼 사주도 해석이 필요하다.

사주의 근간이 되는 여러 책과 이론이 있어서 방송에서도 연쇄살인범 유영철이나 유괴된 후 사망한 이형호 군과 같이 사주의 모양새가 뚜렷한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이영돈 PD가 다른 사람의 사주를 자기 사주인 것처럼 가지고 갔을 때는 사주철학을 바탕으로 하는 역술인 중 한 명도 그것이 이영돈 PD의 사주가 아닌 것 같다는 말을 하지 못했다. 검증에 실패한 셈이다.

우리나라에서 수 십년 간 사주만 공부하고 역술가로 활동했던 분들이니 이 분들의 실력이 없어서는 아닐 것이다. 사주라는 학문 자체가 가지는 한계일 수 있다.

사주철학이라는 악보는 분명히 존재하는데 안타깝게도 그 악보가 세밀하지 못하여 악보를 연주하는 연주자(역술가)마다 다른 해석이 있을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사주를 본 후 풀이가 별로 좋지 않더라도 크게 마음에 담아둘 필요는 없어 보인다. 방송에서도 나온 것처럼 언론 노출도가 높은 무속인들이 고가의 굿을 하라고 강요하는 경우는 더더욱 무시하는 것이 좋겠다.

▶혼(魂)은 존재한다
혼백(魂魄)을 여러 번 들은 적이 있고 오행귀류표를 통해서 혼신의백지(魂神意魄志)를 외웠듯이 혼(魂)은 생명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 중의 하나이다. 이 방송에서 재미있는 점은 이영돈 PD가 다른 사람의 사주를 본인 사주라고 역술가를 찾았을 때 실력이 뛰어나다고 1차 검증에 통과한 4명의 역술가 모두 2차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하지만 무속인 점술가 두 명은 노숙자를 카메라맨으로 위장시킨 2차 테스트를 모두 통과했다.

이 방송을 보면서 혼(魂)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아무리 육체라는 껍데기를 잘 위장한다고 해도 그 사람이 평생 동안 살아온 기운과 혼(魂)은 드러날 수밖에 없다. 어떤 사람과 있을 때 느끼는 ‘편안하다’ ‘귀티, 부티가 난다’ ‘사기꾼 같다’ ‘살기가 느껴진다’ 이런 느낌들을 일반인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을 조금 더 세밀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무속인이다. 그러니 노숙인을 번지르하게 카메라맨으로 포장해도 들킬 수밖에 없었다.

사주를 깊게 공부한 한의사가 아닌 일반적인 한의사로서 이 방송을 보고 느낀 바는 사주라는 것은 분명히 유의성이 있는 통계지만 내용이 촘촘하지 않아서 역술가들이 평균적인 실력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는 점과 운명이라는 단어에서 운(運)자가 차를 운전하다 할 때의 운(運)자이니 우리에게 주어진 명(命)을 가지고 잘 끌어나가기만 하면 꽤 괜찮은 인생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땅에서 나오는 금(gold)처럼 보석으로 태어나면 귀하게 대접 받을 수 있지만 쇠로 태어나더라도 대단한 금속 공예가를 만나면 수 십 억원의 조각품이 되어 금(金)보다 더 귀한 인생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우리는 너무 육체만 중시하며 살게 마련인데 우리에게는 우리가 쉽게 바꿀 수 없는 인생의 바코드 같은 혼(魂)이 우리에게 담겨져 있다는 것도 기억해야 한다. 육체를 가꾸는 것은 물질로 가능하지만 혼(魂)을 가꾸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남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것,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 ▲사회와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베풀어 적선(積善)하는 것 등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오는 이런 내용들을 잘 지키면서 살아야 우리의 혼(魂)이 귀(貴)해지고 그러면 자연히 고귀하고 부유한 느낌이 나는 아우라를 갖게 된다.

반대로 범죄를 저지르거나 자신의 업(業)을 하면서 남을 속이고 해를 끼치며 사는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혼(魂)이 탁해지고 더러워져서 타인에게 뭔가 ‘사기꾼 같은 느낌, 범죄자 같은 느낌’을 주게 된다.

요즘 아침마다 반야심경을 쉽게 현대어로 번역해둔 것을 읽고 있는데 글귀의 마지막에 참 좋은 구절이 있어 소개하면서 이번 칼럼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읊어라. 마음은 사라지고, 혼은 고요해지고, 모든 것은 여기에 있고, 모든 것을 초월한 자가 될지어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