盲腸炎案
상태바
盲腸炎案
  • 승인 2014.02.06 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남일

김남일

mjmedi@http://


歷代名醫醫案 <203> 歷代名醫醫案 (202) - 蔡仁植의 醫案(2)
내용: 6개월된 姙産婦가 盲腸炎이 발생하여 산부인과 병원에서 진찰한바 병명을 붙이지 못하여 주사 한 대도 놓아주지 아니하므로 밤 9시쯤 나의 자택에 와서 치료를 구하기에 진찰한 결과 盲腸部位는 胎兒의 膨脹關係로 壓痛이 나타나지 아니하고 右腰側 季肋下 深部를 橫으로 按診하니 劇痛하며 腹痛이 심하여 坐臥不安하고 情神이 恍惚하여 보기에도 민망한 감을 금할 수 없었다. 加味薏苡仁湯 2첩을 연달아 복용시키고 12시 20분쯤하여 곽향정기산에 山茴香 五錢, 當歸 三錢을 가하여 4첩을 주고 자기 집으로 돌려 보냈더니 그 다음날 오후 9시쯤 전화로 疼痛 및 他證이 完治되었으니 약을 더 복용하지 아니하여도 되겠느냐고 하기에 병이 나았으면 그 藥이나 再煎하여 복용하라 하였던 것이다. 그 후로 소식이 없더니 일전에 내원하여 선생님의 은혜로 그 후 安過할 뿐 아니라 일전에 順産生男하였는데 産後小腹痛이 있어 약을 구하기 위해서 왔다 하기에 加味生化湯 2첩을 투약하였다.(「대한한의학회보」제2권 제6,7합병호. 통권12호, ‘臨床落穗’, 1964년 7월 1일)

按語: 蔡仁植 선생(1908∼1990)은 동양의약대학, 경희대 한의대 교수 등을 역임한 고전 의서에 능통한 傷寒論의 전문가이다. 이 醫案은 盲腸炎을 치료한 醫案이다. 채인식 교수에 따르면 1962년 12월부터 1964년 6월까지 200여명의 盲腸炎 환자가 내원하였는바 한 사람도 치료에 실패한 경우가 없었다고 한다. 그는 盲腸炎에 대해 加味薏苡仁湯을 처방하였는데, 이것은 大黃牧丹皮湯을 加減한 처방이다. 그는 “急性에는 薏苡仁 五錢, 蒲公英, 金銀花 各三錢 내지 五錢, 瓜蔞仁, 牧丹皮 三錢, 大黃, 桃仁 一錢 내지 一錢半이고, 慢性이면 薏苡仁 五錢, 金銀花 五錢, 瓜蔞仁, 牧丹皮 各三錢, 大黃, 桃仁 一錢 내지 一錢半, 小茴香 二錢 내지 三錢 或 加玄胡索 一錢이고, 婦人일 경우엔 加當歸尾 二錢 내지 三錢, 玄胡索 一錢 내지 一錢半이며, 만약 挾食胃炎이 있을 때는 平胃散劑 등의 消炎劑 및 疏通經絡作用을 하는 正氣散劑中의 두세개의 藥을 加味하여 사용할 뿐이다”라고 加減法을 소개하고 있다. 蔡仁植 교수가 加味薏苡仁湯을 두첩만 주고 藿香正氣散 네 첩을 투여한 것에 대해 ‘임산부인 점을 감안하여 破血劑인 牧丹皮, 桃仁, 大黃 등의 약제를 투여하기에는 염려된 바가 크기 때문이었다’ 고 한다. 혹 胎動이라도 생길지 모른다고 판단되어 加味薏苡仁湯은 두 첩만 투여하고 行氣劑인 藿香正氣散을 4첩 투여한 것이다. 아울러 그는 맹장염치료에 있어서 절대안정이 필요하며 음식물을 잘 조절해서 장기의 장애를 방지하여야 하며 조금 나았다고 해서 과도한 行步라든지 努力을 해서는 안 되며 약 일이주일동안 과음, 과로, 과식 및 지방흡수과다는 모두 금물이며 투약하는 약첩수는 다섯첩에서부터 열다섯첩이면 완치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 교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