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 최대주제 ‘중의우세병종’/ 국의대사 리쩐화(李振華)의 用藥配伍 경험
상태바
▶중의학 최대주제 ‘중의우세병종’/ 국의대사 리쩐화(李振華)의 用藥配伍 경험
  • 승인 2013.06.20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옴니허브 북경연구소

옴니허브 북경연구소

mjmedi@http://


유행성뇌수막염 등 열병치료 뛰어난 효과
1.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으로 유행성뇌수막염 치료

온병의 기초병리는 ‘損陰傷正’이다. 리 교수는 치료시 청열해독과 진액의 유지를 강조한다. 이 방법은 유행성뇌수막염, B형 일본뇌염 등 열병치료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다.
유행성뇌수막염(meningococcal meningitis)은 온병의 춘온병(春溫病)에 해당되는데 발병초기에는 마치 상풍감모(傷風感冒)와 유사하여 갑작스런 발열, 두통, 기침 더불어 구토, 인후건조와 인후통이 나타나며, 많은 환자에게서 피부점막에 출혈점(出血點)이 나타나고, 병이 심해지면 항강(項强), 추휵(抽搐), 혼미 등 위급증상이 나타난다. 1950년대 허난성 위시(豫西)에서 유행성뇌수막염이 대규모로 발병했을 때 그는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을 이용하여, 신량투표(辛涼透表), 청열해독(清熱解毒), 식풍통락(息風通絡), 양개투규(涼開透竅), 보존진액(保存津液)의 치료원칙으로 치료하였다.

위분증(衛分證)일때는 발열, 두통, 인후건조, 구갈(口渴),해수(咳嗽),오심구토(惡心嘔吐),오풍(惡風) 혹은 불오풍(不惡風), 정신부진(精神不振)이 나타나고,대부분 피부에는 출혈점이 같이 나타난다. 가벼운 항강(項強)이 있고 혀끝은 붉으며(舌尖紅) 설태는 박백(薄白)하거나 약간 노랗고(微黃) 맥은 부삭(脈浮數)하다. 이때 치료는 신량투사(辛涼透邪),산열해독(散熱解毒)의 방법을 사용하며 방제는 은교산가감(연교, 은화, 포공영, 갈근, 길경, 행인, 형개수, 박하, 우방자, 담두시, 국화, 죽여, 감초)을 사용했다.

기분증(氣分證)일 때는 고열이 지속되고 자한(自汗)이 나오며 호흡이 가빠지고 인후통과 두통이 있으며 구토가 가중되고 기면(嗜睡)이 있으며 오풍이 없다(不惡風). 얼굴색이 붉고 항강(項強)이 있으며 혀는 붉고 설태는 황(黃)하며 맥은 홍대(洪大)하다. 치료는 청해리열(清解裏熱), 해독존진(解毒存津)의 방법을 이용하며 방제는 백호탕가미(생석고, 지모, 연교, 은화, 갈근, 국화, 죽여, 우방자, 천화분, 진피, 감초)를 사용했다.

영혈증은 고열이 내려오지 않고 항강(項强), 추휵(抽搐), 신혼(神昏), 섬어(譫語)가 나타나며, 심하면 극심한 혼미와 구순건조(口唇乾燥)가 나타나고, 피부피진이 뚜렷해지며 색이 어둡다. 치료는 양혈해독(涼血解毒), 식풍투규(息風透竅)의 방법을 이용하며 방제는 청온패독음(清瘟敗毒飮)가감(서각 또는 수우각, 단피, 적작약, 현삼, 지모, 생석고, 황련, 치자, 황금, 갈근, 연교, 전갈, 지룡, 강잠, 감초)를 사용하고, 안궁우황환(安宮牛黃丸)을 같이 복용시킨다.

회복기에는 체온이 정상이고 의식을 회복하지만 기운이 없고 식욕이 없으며 적게 먹어도 배부르고, 입이 마르고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난다. 혀는 붉은편이고 설태는 박백(薄白)하거나 소태(少苔)이고 맥은 세삭(細數)하다. 치료는 양음청열(養陰清熱), 익기화위(益氣和胃)의 방법을 이용하며 방제는 사삼양위탕(沙蔘養胃湯)가감(북사삼, 석곡, 맥동, 지모, 천화분, 백작약, 태자삼, 진피, 계내금, 울금, 오약, 국화, 감초)을 사용했다.

당시 그는 이상의 방법으로 70례의 환자를 전부 중약으로 완치시켰다.

2. 건비소간(健脾疏肝)으로 위병(胃病) 치료

75계획기간(1986~1990년의 중국국가사업)중 중점연구사업으로 추진되었던 ‘만성위축성위염 비허증의 임상과 실험연구’에서 리교수는 자신의 40여년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因虛致實,因實致虛,虛實交錯’의 병기이론과 ‘脾宜健,肝宜疏,胃宜和’의 치료원칙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그는 만성위축성위염을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과 비위음허증(脾胃陰虛證)으로 나누고 비위양허에는 향사온중탕(香砂溫中湯)[당삼15g, 복령15g, 백출20g, 향부12g, 진피10g, 반하10g, 후박10g, 건강10g, 천궁10g, 사인8g, 목향6g, 정향5g, 자감초3g], 비위음허증은 사삼양위탕(沙蔘養胃湯)[사삼20g, 백작약20g, 맥동15, 석곡15g, 산사15g, 지모12g, 천화분12g, 계내금10g, 단피10g, 오매10g, 진피10g, 생감초3g]을 사용하였다. 300례의 임상과 실험관찰을 통해 유효율은 98.7%, 완치율은 32%로 나타났다.

비만(痞滿)은 병위(病位)가 위(胃)이지만,비위(脾胃)는 장부 표리관계로 남운승강(納運升降)을 하며, 간비(肝脾)와 간위(肝胃)는 극승모(克乘侮)의 특수한 생리‧병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胃)를 치료할 때는 비(脾), 간(肝)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향사온중탕의 경우 간울(肝鬱), 비허(脾虛), 위체(胃滯)의 병기적 특징을 고려하여 소간(疏肝), 건비(健脾), 화위(和胃), 소적(消積), 강기(降氣)의 약을 사용하였다. 통중유보(通中有補), 보중우행(補中寓行)을 통해 건비(健脾), 소간(疏肝), 화위(和胃)가 이뤄지도록 하였다.

이 밖에 그는 설진이 아주 많은 변증정보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설체(舌體)가 반대(胖大)하면 비허(脾虛)이다 ; 설체가 반대하고 설태가 정상이면 비기허(脾氣虛)이다. 먹을 수 있으나 소화가 되지 않고 비(脾)가 운화를 하지 못한다. 심한 경우 수습의 배설(水湿排泄)이 상실되어 부종허반(浮肿虚胖) 또는 고지혈, 당뇨병, 심뇌혈관질병 등을 야기한다 ; 설체가 반대하고 설질이 담(淡)하며 설태가 박백(薄白)하면 비위허한(脾胃虚寒)이다 ; 설체가 반대하고 설질이 담하며 설태가 니(腻)하면 비허습조(脾虚湿阻)이다;설체가 반대하고 설태가 황니(黄腻)하면 습열온결(湿热蕴结)이다. 설태 황색의 경중(轻重)과 설질색의 홍강(红绛)과 담백(淡白)을 근거로 습(湿)이나 열(热)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3. 비위(脾胃)를 조리(調理)해서 腸疾을 치료한다

궤양성대장염은 중의에서 ‘腸澼’, ‘腸風’, ‘臟毒’의 범주에 속한다. 주로 직장과 S자결장의 점막과 점막하부층에 미란, 궤양을 형성하는 원인불명의 미만성비특이성염증이다. 임상표현은 복사(腹瀉), 점액농혈변(黏液膿血便), 복통과 리급후중(裏急後重)이다. 대부분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스트레스, 피로, 음식실조 등이 발병 유인이다. 리교수는 비허습조(脾虛濕阻)가 병리기초이며, 습열호결(濕熱互結), 기체혈어(氣滯血瘀)는 병리변화(變化)이며, 비신양허(脾腎陽虛)가 병리전귀(轉歸)라고 판단한다. 오령산, 평위산, 이중탕, 황련환을 합방하여 사용한다. 처방은 초백출, 저령, 창출, 후박, 위두구(煨豆蔻), 오적골 각 10g, 복령, 흑지유(黑地榆) 각15g, 택사, 가자육(訶子肉) 각 12g, 오미자, 보골지 각 20g, 초의이인(炒薏苡仁)30g, 건강8g, 목향, 황련 각 6g, 계지, 오수유 각 5g, 감초3g, 대조 5매이다. 치료기간에 맵고 기름지거나 차갑고 소화가 잘 안되는 음식은 금지시킨다.

관격(關格)은 만성불완전성 장경조(慢性不完全性腸梗阻)에 속하며,일반적으로 공장(空腸)과 직장(直腸)사이의 장관(腸管)에서 내용물의 운행이 막힌 것을 가리킨다. 형성원인은 기체(氣滯), 혈어(血瘀), 한응(寒凝), 열결(熱結), 습조(濕阻), 적식(積食), 충결(蟲結) 등이다. 장부(腸腑)의 기는 강(降)하고 통(通)해야 하는데 폭음폭식, 음식실조, 기혈어체(氣血瘀滯), 열결한응(熱結寒凝), 조시내결(燥屎內結) 등으로 인해 장의 전화(傳化)기능이 장애를 받아 청탁불분(清濁不分)하고 장도에 쌓여 이 병이 발생한다. 급성(急性)환자는 대부분 실열증(實熱證)으로 복통, 복창(腹脹), 구토, 배기(排氣)와 배변(排便)이 안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 대승기탕을 이용하여 통부사열(通腑瀉熱),급하존음(急下存陰)하므로서 배출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구토를 멈추게 한다. 마비성장경조(麻痹性腸梗阻)를 해결하기도 한다. 만성(慢性)환자는 소간리기(疏肝理氣), 온중건비화위법(溫中健脾和胃法)으로 치료하며 온중방(溫中方)을 사용한다. 처방은 토초백출(土炒白朮), 복령(茯苓), 한반하(旱半夏) 각 10g, 진피, 초(炒)백작, 초(炒)향부, 초(炒)지각, 서회(西茴) 각 6g, 사인, 오약 각 8g, 북산사(北山楂), 침향 각 5g, 목향4g, 계지3g, 감초2g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