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 한의계가 후배와 같이 가는 길…
상태바
시평 - 한의계가 후배와 같이 가는 길…
  • 승인 2013.05.23 13: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미덕

송미덕

mjmedi@http://


 

송 미 덕
경희한의원 원장

한의계 내부의 직장창출
필자는 의약관련 법령, 의약단체간의 힘겨루기 등의 외부적인 부분을 떠나, 우리 내부에서 결속을 다지고, 자존감을 가질 수 있는 실현가능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의사 면허 이후 진로의 대부분은 임상의이다. 개중에는 한의사가 전문직이라 은퇴시점을 조절할 수 있고,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살아도 되는 장점으로 어려서부터 한의사가 되려했던 후배들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요즘은 임상의로 취업도, 개원도 모두 어려워졌다.

한의계가 같이 잘 사는 길 - 감히 이런 제안을 한다. 후배를 부원장으로 고용하자. 부원장이 단순한 액팅(acting)과 침을 놓는 존재가 아닌, 나와 같은 길을 가는 어린 동생이라고 생각한다면, 후배의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 같이 고민해주는 선배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존 선배들은, 현재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후배 한의사들이 수능 고득점으로 입학하여 한의계의 인기를 몸으로 누린 분들이다. 현재 한의원 경영이 어렵긴 하지만, 후배들을 경쟁자로 생각하지 말고, 지속적인 자극을 받기 위해서라도 후배들을 채용하기를 권하고 싶다. 물론 이전에는 불목하니처럼 무급으로도 몇 년씩 선배의 한의원에 기거하면서, 학교 교육 이후 경험을 쌓곤 하던 시절도 있었다고 들었다. 후배들에게 공부하며 때를 기다리라 하기엔 지금의 후배들은 너무 반짝반짝한다. 또한 아무리 공부가 좋다하더라도, 생계를 의사답게 유지할 길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후배들의 고용이 어렵다면, 진료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후배들이 버티고 설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물밀듯이 늘어나는 한의대 졸업생, 한의사의 숫자를 지금 금방 줄일 방법은 없다. 우리의 경우도 대기업의 구조조정에 전 직원의 급여를 줄여가며 직원을 해고하지 않는 방법을 응용하고 있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정원을 줄이는 장기적인 협회의 노력이 있어야겠지만 말이다.

임상을 주로 하는 경우, 자신의 발전을 위해 쓸 시간도 부족하다. 진료한 내용에 대해 연구할 여유도 부족하다. 이런 부족한 시간을 후배들에게 진료에 임할 기회를 주는 것으로 찾으면 어떻겠나 싶다.

옛날에는, 그리고 지금까지도 한의업은 대를 이어 물려주고, 그 누적된 경험으로 몇 대에 걸친 한의원으로 광고도 한다. 하지만 이런 한 세대를 지나야만 이루어질 일들이, 똘똘한 후배들을 통해 시간을 앞당겨 진행할 수 있다면, 우리의 경험이 더더욱 빛을 발할 것이다. 또한 선배는 시시각각 쏟아지는 의료정보에 대해 후배들의 도움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후배들도 마음가짐을 새로이 하는 것이 필요하다. 면허증이 있다고 해서 다 같은 레벨에 오르는 것도 아니고, 능력이 아주 좋아도 자기관리가 안되는 - 대부분 신뢰와 성실도에 관련한 인간성이 문제가 된다 - 경우는 어느 선배라 하더라도 자신의 것을 나누어주기 아까운 것이다. 입장을 바꾸어, 고용하는 위치라면 어떤 후배가 마음에 들겠는지 역지사지 해보면 될 것이다. 훌륭한 파트너십을 만들어가는 것이, 가업이 아닌 진짜 전통 있는 한의사로 가는 지름길임을 인식해야 한다.

국민에게 지식-경험 전달과 한의사 역량을 높이는 활동                                  
- 대국민 (소아, 학생) 교육

향후 10여년 간은 모든 한의사들에게 정체성 회복과 우리의 직능을 확고히 해야 할, 준비하고 고생을 감수해야 할 시간이 될 것이다. 이제까지 열린 과실만을 따먹었을 뿐, 대국민 농사를 짓지 않고, 이제야 근거를 찾아야 한다고 논문이 있고 없고 만을 얘기한다.

또 한가지 제안한다. 후배들이 채워주는 진료실로 생기는 선배의 남는 시간은, 지역사회내의 한의사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써야 한다. 단순한 의료봉사가 아닌, 크고 작은 학교, 학원, 공공기관에 한의학에 대한 인식을 바르게 할 사회적인 노력을 하시길 바란다. 각종 매체에 상업적으로, 수준 이하의 건강상식을 제공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보다 세련된 어법으로 듣는 이의 수준을 고려하여 만든 여러 가지 홍보자료를 선배들의 지역기반에 직접 알리도록 노력했으면 한다.

많이 배우는 것과, 많이 알고 있는 것은 다르다. 또한 내가 아는 것을 누구에게 오롯이 전달하는 것도 쉽지 않다. 그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더 많이 공부하고 아는 것을 정리할 수 있다는 것도 누굴 가르쳐 본 사람은 다 알고 있다. 같이 일하는 후배에게 지식과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임상을 체계화해야 한다. 이 또한 한의계 안에서의 긍정적인 큰 변화가 될 수 있다.

한의사로서 진료, 연구, 그리고 교육
- 한의원에서 진료하는 것만이 한의사인 것은 아니다

누구에게나 잘 하는 부분은 있다. 한의사 안에서도 진단을 잘 하는 사람, 약재를 잘 아는 사람, 침을 잘 쓰는 사람, 연구 자료를 잘 만드는 사람, 또한 조직 안에서 생활하는 것이 잘 맞는 사람 등 자신의 성향과 소질을 잘 판단해서, 진료 외 연구와 교육, 또한 언론이나 회무로 방향을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제 한의사가 포화 그 이상의 시점이 되면, 자연히 한의사이면서도 다른 연관된 업종으로, 또는 완전히 새로운 일을 하는 부류가 생길 것이다. 최근 법조계 진출 시도 또한 긍정적인 사인(sign)이긴 하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우수한 한의사들이 더 이상 좌절하거나 서로에게 박탈감을 느끼지 않고, 스스로 한의사인 것이 자랑스러울 단결을 실천하자. 각자의 위치에서 의료에 대한 수요창출도 하고, 선후배의 정도 느낄 수 있는 이상향을 추구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