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대비 약초산업 대응방향은?
상태바
한·중 FTA대비 약초산업 대응방향은?
  • 승인 2011.06.30 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은주 기자

신은주 기자

44juliet@http://


약용작물 품질강화 및 타 산업과의 연계방안 제시

약초산업 국회 정책토론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대비해 우리나라 약초산업에 대한 경쟁력 확보방안과 지혜를 모으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22일 한나라당 성윤환 의원이 주최하고 한·중 FTA약용작물생산자 대책위원회(공동대표 엄경섭, 이영종)가 주관한 ‘한·중 FTA 우리  약초산업, 무엇을 준비해야하나’ 정책토론회에서 학계와 현장 전문가들은 생산량이나 가격만으로는 중국과 경쟁할 수 없다는 의견에 동의하며 대응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사진〉

서울대 농경제학과 노재선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한·중 FTA 비준 시 약용작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14.7%의 생산액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수입량은 107억 8천9백만 달러 증가하는 반면 수출량은 5천9백만 달러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약용작물 산업 대응방향으로 △친환경인증 및 농산물우수관리인증(GAP) 확대를 통한 높은 품질 수준 확보 △식품 및 기능성 가공식품 등 다양한 상품개발 △천연물의약 및 한약제제의 산업화를 위한 기술적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약용작물의 산업제도 보완점에 대해서는 △첩약 및 한방제재의 원산지 표기 강화 △첩약의 건강보험 적용 △약용작물 HS코드의 문제점과 확대의 필요성 △약용작물 종자 품종육성 및 품질강화 등을 꼽았다.

진도 구기자유통영농조합법인 김홍엽 대표는 “GAP인증농산물이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며 “대량 소비업체와 GAP인증농가가 연합해 공동 마케팅을 추진하고 소비자 교육을 통해 GAP제도 홍보효과 제고가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소비생활연구원 김연숙 이사는 “한약재 수입검사에서 동일한 한약재가 식품용과 약품용으로 구분돼 있어서 부적격 한약재의 경우 식품으로 수입돼 한약재로 전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품질검사기준에서 식·약 공용한약재의 일원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양대 식품영양학과 박용순 교수는 “생산량이나 가격만으로는 중국과 경쟁할 수 없다”며 “단순한 약용작물 공급 측면을 넘어서 식품, 제약, 관광 등의 산업과 연계해 수요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박충범 과장은 “약용작물의 블루오션 개척을 위해 산업화 지원정책 및 소비자 안전 확보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특히 농수식품부, 농진청, 식약청, 산림청 등으로 분산된 약용작물 관련 정책의 일원화 및 콘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은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