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 ‘전통 한의학’이란 용어
상태바
시평 | ‘전통 한의학’이란 용어
  • 승인 2010.12.02 16:44
  • 댓글 2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충열

이충열

contributor@http://


시평

'전통한의학'이란 용어

 영국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이 엮은 「만들어진 전통(The Invention of Tradition)」이란 책을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이 얼마나 허상일 수 있는지 놀라게 된다. 우리가 스코틀랜드 전통의상으로 알고 있는 체크무늬의 킬트(kilt) 마저도 18,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

홉스봄은 1870년에서 1914년 사이에 유럽에서 국경일, 의식(儀式), 국기 등 ‘전통’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음을 밝혀내면서 이 같은 ‘전통의 창조’가 이제 막 출범한 국민국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것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결국 ‘전통’이 현재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허구일 수 있다는 것을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전통 한의학’이라는 용어는 어떨까? ‘정통’이 아니고 ‘전통’이라는 용어를 덧붙인 것을 보면 ‘현대’와의 대비를 의식해서 만든 용어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우리는 질문할 수 있다. ‘전통 한의학’이란 과연 무엇인가? 전통시대 한의학을 말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것은 구체적으로 어느 시대 의학인가? 고려시대 의학인가, 조선시대 의학인가? 「동의보감」인가, 「동의수세보원」인가? 따져보면 ‘전통 한의학’은 실체가 없는 것이다. 그야말로 ‘만들어진 전통’으로 어떤 목적을 위해 만들어 낸 용어에 불과하다.

그러면 사람들은 왜 ‘전통 한의학’이라는 용어를 쓰는가? 현대 한의학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전통-현대 이분법을 사용하면 ‘전통 한의학’은 낡고, 이 시대에 맞지 않는 낙후된 의학이 되고, ‘현대 한의학’은 시대의 변화에 발맞춘 개혁적인 의학이 된다.
음양오행, 장상, 경락이론을 ‘전통 한의학’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해 버리면 이 이론들은 우리가 버려야 할 낡은 것이 되고, 대신 과학적 지식, 서양의학 지식으로 무장한 한의학은 시대에 부응하는 현대 한의학이 된다.

그러나 이런 전통-현대 이분법이 우리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사실도 생각해야 한다. 애당초 우리가 전통 한의학과 현대 한의학으로 이분해서 사고해야 할 당위성은 없었다.
20세기가 시작되면서 한의학은 현대화, 과학화, 표준화, 체계화의 길을 걸었고 지금의 한의학은 이런 작업의 결과로서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여 우리 앞에 나타나있다.

그러므로 한의학은 ‘한의학’일 뿐 전통 한의학과 현대 한의학 두 종류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현대화, 과학화의 길을 달려 온 지금의 한의학을 두고 앞으로 한의학으로서 고유성을 좀 더 살려나가야 한다는 입장과, 한의학이 의학으로서 보편성을 확보하는데 좀 더 힘을 쏟아야 한다는 입장 사이에서 정체성 논란이 있을 뿐이다.

한의계 일각에서 한의학을 새롭게 정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한의학적 원리에 입각한’이라는 법률상의 단서가 우리의 행보를 가로막는다는 이유다. 한의학이 변했으니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이에 앞서 우리 스스로의 관점부터 먼저 바꿔야 한다.

‘한의학적 원리’라는 문구를 만들어낸 것도 우리들이고, 이를 지나치게 교조적으로 해석해왔던 것도 우리들이다. 한 때 이 문구는 한의사들의 영역을 지켜주는 방파제 같은 역할을 했고, 지금도 일정 부분 이런 역할을 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이제 와 새삼스럽게 ‘한의학적 원리’를 ‘전통 한의학’과 연결시키고 마치 이것 때문에 한의학이 발전하지 못하는 것처럼 몰고 가는 것은 우스운 일이다. 한의학을 새롭게 정의하려면 먼저 우리들 머릿속에 있는 전통-현대 프레임부터 걷어내야 한다. 우리의 토론이 이념 싸움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지 않게 만들려면 말이다.

이충열 / 경원대 한의대 생리학교실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8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충열 2010-12-07 13:35:12
아무튼 제 글에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하고, 칼럼이라 지면의 제약을 받기 때문에 그리고 글 솜씨가 별로 없어 정확하게 제 의견을 쓰지 못한 것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계속 날카로운 비판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충열 2010-12-07 13:32:34
한의학의 정의, 특히 법률상의 한의학의 정의는 서양의학 진영이라는 상대가 있어 그들을 설득할 수 있는 설득력을 갖추어야 하고 또 정의 자체가 생산력을 가져야 한다고 봅니다. 현상을 있는대로 규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지만 이 정의가 많은 함축과 외연을 낳을 수 있다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결과 보다는 현대화, 과학화, 표준화, 체계화라는 과정에 더 무게를 둔 것입니다.

이충열 2010-12-07 13:27:07
저는 현대 한의학이라는 용어 자체를 반대 하지는 않습니다. 단순히 시대 구분에 초점이 맞춰진 지금 이 시대의 한의학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현대 한의학이라는 용어는 찬성입니다. 다만 현대 한의학이라는 용어를 전통 한의학에 대비되는 것으로 사용한다면 범위가 좁아질 염려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댓글로 하는 토론이라 더 깊은 의견 교환은 무리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차제에 한 가지만 덧 붙인다면

궁금 2010-12-06 20:18:56
긴시간 친절하고 성실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궁금 2010-12-06 20:18:27
교수님께서 음양오행,경락이론이 배제된 한의학을 지칭하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안하지 않으셔서 아쉽기는 하지만 어떤 용어이든 이는 '한의학'자체의 정의보다는 사소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한의학의 '법률적'인 정의 안에
[음양오행,경락이론 등에 기반한 학문적이론 및 치료기술] + [음양오행,경락 등에 기반하지 않은 이론으로 전통한의학에서의 치료기술을 적용하는 치료기법]
의 의미가 포함되면 우선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