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기획] 가시오갈피(上)
상태바
[본초기획] 가시오갈피(上)
  • 승인 2003.04.19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시베리아의 인삼 '가시오갈피'

국내산 다량 유통 의문, 장수·?만 재배성공

오가피는 한의사만이 아니라 일반인도 신문이나 잡지 등을 통해 효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고 있고, 주의에서 식품으로 흔히 접할 수 있는 한약재다.

인삼과 같은 오갈과(Araliaceae)에 속해 있고 ‘草本’은 ‘人蔘’, ‘木本’은 ‘五加皮’라고 하니 그 효능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5개 잎이 한 곳에서 나는 모습이 인삼하고 똑같아 싹이 돋을 때는 심마니도 구별하기 힘들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문제는 가시오갈피라고 하여 판매되고 있는 기능성 표방 식품이다. 문제가 될 듯해 지금은 가시오갈피라는 이름 대신 다른 명칭을 붙여 판매를 하고 있는 곳도 있으나 한약에 대한 상식이 부족한 일반인을 혼동시키기에는 충분하다.
이들 제품은 대부분 ‘시베리아 인삼’이라는 별칭을 붙여 “러시아 운동선수들이 근육강화 지구력향상 피로회복 등을 목적으로 복용했다”는 것을 꼭 나열한다. 그리고 “강장 강정 신경통 중풍 당뇨병 고혈압 저혈압 건망증 불면증 및 류마티스 치료 등에 탁월한 효과가 인정되어 현재는 건강음료 및 약제로 개발되고 있으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자랑한다.

여기에 몇 십년의 연구 끝에 재배에 성공했다느니, △△대학 벤처업체에서 수많은 연구 끝에 개발 성공이니 하며 파우치에 담긴 건강음료(?)를 판매한다.

인삼보다 우월(?)·멸종위기(?)

그런데 몇 해 전에 TV 아침 프로에 오가피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한 업체가 소개되며, 진행자가 “인삼보다 효능이 뛰어나다”라고 소개를 한 것이 기억난다. 그리고 가시오갈피는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해있고 대량 배양에 성공해 곧 농민들에게 분양할 예정이라고 밝혔었다.

정말 인삼보다 뛰어나고,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일까?

다음해에 분양 받은 대부분의 농가에서 발아에 실패해 종묘업자와 농민들간에 법정문제로까지 비화됐었다. 또 설령 발아가 됐더라도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는 말이 있듯이 북위 45도가 넘는 지역을 주산지로 갖고 있는 가시오갈피의 효능이 그대로 보존된 채 재배될 수 있었을까 의문이 난다.

만약 가시오갈피가 세계적 멸종위기가 아니라면 과거 파동을 일으켰던 두충 사건이 재연되는 것은 아닐지 걱정이 앞선다.

가시오갈피에 대해 연구를 벌이고 있는 안덕균 교수(전 경희대)는 러시아 북단 지역에는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광활한 지역에 가시오갈피가 자라고 있다고 전한다.

극동지역 서생 식물

관련업계의 홍보 덕인지 일반인이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가시오갈피 ‘刺五加’이다.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에서 나온 자료에 의하면 가시오갈피는 러시아의 우수리강 유역의 하바로프스크지역(북위 45∼50°)과 사할린(북위 46∼51°), 중국의 흑룡강성, 길림성, 요령성 등의 동북 산간지역(북위 39∼51°) 및 일본의 북해도 동북부 등의 극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돼 있고, 우리나라에는 북부지방에서 태백산을 따라 지리산에 조금 자생하고 있다고 나와 있다. 또 기온 상승으로 식물군의 남방한계선이 계속 북으로 올라가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그 많은 국산가시오갈피가 유통되고 있는 것일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가시오갈피의 재배가 공식적으로 인정된 곳은 강원도 인제와 전라북도 장수 두곳인데 말이다. 인제의 경우 소량이지만 수확이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고, 가시오갈피는 근피를 써야하기 때문에 장수의 경우 최소한 3∼4년은 지나야 첫 수확을 기대할 수 있는 형편이다.

양약식 약리효능연구만 활발

그러다 보니 가시오갈피라고 해도 정말일지 의문이 난다. 또 일반인 중에는 가시가 있는 것은 모두 가시오갈피로 잘못 알고 있어 이 같은 우려는 우려로만 끝나지 않을 공산이 크다. 서울오갈피 섬오갈피 등 대부분의 오갈피에는 가시가 있기 때문이다.

가시오갈피가 다른 오갈피속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줄기에 0.5∼0.8cm되는 가늘고 긴 바늘모양의 가시가 지면을 향해 밀생하고 있는 것이지만 2년이 지나고 나면 이중 가시가 떨어진 것도 많이 발견된다고 해 분별의 어려움을 더해준다.

오갈피속 나무 중 가시오갈피를 별도로 떼어내 연구를 한 것은 한의학권 국가보다는 러시아나 유럽이 앞서있다.

구 소련 과학아카데미 연구원의 브레크만 박사가 산삼을 연구하는 중 같은 오갈피과인 가시오갈피의 효능을 밝혀내면서부터 연구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이후 독일 일본 등에서도 가시오갈피의 약리적 효능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가 진행 중이다.

국내에도 가시오갈피의 약리적 효능에 대해서는 약대나 일부연구소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한의학에서 祛風濕藥으로 분류되는 五加皮가 같은 속에 들어 있다는 이유만으로 補氣藥인 人蔘과 동일하게 취급되어 식품으로 판매되는 현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의문이다.

우리나라 약전에 오가피는 “오갈피나무(A. sessiliflorum Seeman) 또는 기타동속식물의 뿌리,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이라고 정의돼 있어 가시오갈피 역시 오가피약으로 투약할 수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약전에 오가피를 5가지로 나누고 있고 그중 하나가 刺五加(A senticosus Harms)이다.

<계속>

이제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