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서산책146] 備急灸方①
상태바
[고의서산책146] 備急灸方①
  • 승인 2003.04.19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급한 병에 速效 나는 一灸療法

그림설명-『비급구방』과 취혈도

앞서 소개한 바 있는 『鍼灸擇日編集』(144회)에 함께 붙여 간행한 것으로 『影宋本備急灸方』이라는 서명이 붙여져 있다. 따라서 이 책이 다시 빛을 보게 된 사연도 역시 조선 책을 복각한 『重刻鍼灸擇日編集』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羅嘉杰이 日本에서 孤本을 구해서 중국으로 돌아가 淸 光緖16년(1890)에 復刻한 것이다.

이 책은 한 권의 저술이 아니라 좀 복잡하게 얽혀진 세 가지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는 宋 寶慶2년(1226)에 失名氏가 老年에 저술한 ‘備急灸法’이고 두 번째는 ‘騎竹馬灸法’, 세 번째는 ‘竹閣經驗備急藥方’이다.

먼저 『備急灸法』은 張渙의 『備急』(1권)을 바탕으로 꾸몄다고 밝혀져 있는데, ‘備急單方’이라고도 부르는 이 내용은 『鷄峯普濟方』 권30에 들어있으며 단행본으로도 되어 있다.

저자는 聞人耆年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명이 아니고 聞人은 이름이 널리 알려진 사람이라는 뜻이며, 耆年은 나이 60살이 넘은 老人을 가리키는 범칭이다. 1226년이면 고려 고종 때로 최종준의 『新集御醫撮要方』이 이루어지는 해이다.

본문에는 『後備急方』, 『千金方』, 『明堂灸經』, 『隨身備急方』, 『延齡至寶方』 등에서 수집한 뜸요법이 17폭의 그림과 함께 소개되어 있다. 대개 여러 가지 發瘡, 腸癰, 丁瘡, 附骨疽, 皮膚中毒風, 卒暴心痛, 轉胞小便不通, 곽란, 轉筋, 풍치통, 독사교상, 狂犬咬毒 등 22종의 위급한 질환증상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 그림은 同身寸法을 표시한 屈指量寸法例로부터 취혈이 까다로운 부위를 자세한 도면으로 그려 덧붙여 놓고 있으며 성별로 취혈이 다른 경우를 ‘男左女右’ 혹은 ‘男女同法’으로 일일이 구분하여 표기해 놓았다.

어려서부터 醫業을 익혀 40~50년을 종사했다고 밝힌 저자는 “倉卒救人者, 惟灼艾爲第一”이라 하여 이미 오랜 임상경험을 거친 뜸 처방을 모아 한 책으로 엮었으니 起死回生하는 효과를 의심할 필요가 없다고 단언하였다.

저자는 이 치료법에 무척 애착을 갖고 있었던 듯 본문의 말미에는 “이 뜸 요법들은 모두 위급한 상황에서 얻은 것들로 환자의 상태나 일기변화에 거리낄 것 없이 믿음을 갖고서 속히 찾아 쓸 것이니 이 책을 얻게 되는대로 가능한 여러 사람에게 돌려보는 것이 나와 뜻을 같이 하는 동지이다”라고 천명하고 있다.

이 『비급구법』에는 이전 의학자들의 급성병에 대한 간편하고 신속한 치료법이 수집, 정리되어 있다. 여기 인용된 것들로는 黃帝, 岐伯, 扁鵲, 華타, 葛仙翁, 陶隱居, 徐文伯, 徐嗣伯, 甄權, 孫眞人, 張文仲, 姚和衆 등인데 대개 당송 이전의 인물들로 다양하다.

또 급성질환의 치료에 대한 뜸법의 기능을 溫中散寒, 回陽固脫 등 虛寒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淸熱瀉火, 解毒散瘀, 痛經活絡, 消腫 등 實熱에 의한 급성질환도 치료할 수 있음을 논하고 있다.

아울러 취혈법을 간편화하고 한 가지 병증에 쓰는 혈자리의 숫자를 적게 하여, 간편한 치료를 추구하였다. 예컨대 22개의 병증에 20여 개의 치료혈 만을 이용하였는데, 대개 하나의 병증에 대하여 주로 사지 말단에 위치한 1~2개의 혈자리 만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취혈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11개의 圖譜를 첨가하였고, 여기에 取穴部位 및 자세에 대해 알아보기 쉽게 표시해 놓았다. 아울러 치료법에 있어서 어느 한 가지 방법에만 구애되지 않고 여러 가지 방법을 동시에 응용한 것도 특색이라 할 수 있다.

그 다음 두 번째로 실려있는 ‘騎竹馬灸法’은 癰疽에 특효가 있는 일명 ‘竹馬灸法’에 대해 여러 장의 그림을 곁들여 상세한 취혈법과 용법을 소개한 것이다. 이것 역시 원작자가 분명치 않고 당시 江西 지역에 傳本이 流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어 세 번째로 실려있는 것은 『備急灸方』의 편저자 孫炬卿이 자신의 경험을 적어 놓은 ‘竹閣經驗備急藥方’으로 ‘烏辛茶方’이라 부르는 차요법이 소개되어 있다. 여기에는 매우 흥미로운 내용이 많이 들어 있고 高麗細辛이 主材로 사용되어 있어 얘기 거리가 많으므로 다음 호에 지면을 늘려 소개하기로 한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안 상 우
(02)3442-1994[204]
answer@kiom.re.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