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진코디네이터 업무규정 명확 필요
상태바
협진코디네이터 업무규정 명확 필요
  • 승인 2009.08.13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부산대 한의전 협진코디네이터의 활성화 세미나

한·양방 협진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내년 1월31일부터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원장 이원철)이 협진과 관련한 내부과제 ‘2009 한·양방 협진모델 정립 연구’의 일환으로 ‘협진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실시했다. 지난 4월말 ‘한·양방 협진의 정책과 방향’에 이은 두번째 세미나다.
12일 부산대 양산캠퍼스 간호대학 212호에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신병철 부산대 한의전 교수가 ‘한·양방 협진관련 의료제도의 변화’를, 정인숙 부산대 간호대 교수가 ‘한·양방 협진코디네이터의 현황’을 각각 발표했다.
부산대에서는 2010년 양산캠퍼스에서 한·양방 협진을 실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앞서 협진과 관련한 연구로 이원철 원장이 연구책임을 맡아 2008년 ‘한·양방 협진체계 구축사업 연구’에 이어 올해에는 ‘한·양방 협진 모델정립 연구’를 추진해오고 있다.
신병철 교수는 기조발표에서 보건복지가족부 연구용역과제인 ‘한·의·치의 협진제도 발전방안 연구계획’(연세대·한양대 산학협력단) 내용을 소개했다. 보고서는 협진 시행에 앞서 협진의 개념·모델·수가체계 등 관련사항과 예상 문제점, 의료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 내용 등에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더불어 협진제도에 대한 의료전문인의 인식의 차이 조사와 효율적인 협진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직역별로 의료인들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가 현재 진행중이며 발전방안에 대한 법적 제도적 검토를 위해 학계와 법조계 연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시행해 이 결과를 올해 말까지 보고서를 완료할 계획이다.
신 교수는 한편 협진연구와 관련해 향후 논의돼야 할 사항으로는 ▲협진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 필요 ▲협진의 범위·절차·방법 등 명확화 필요 ▲협진모델 및 수가체계 설계 ▲중소병원 및 의원 활성화 방안 ▲협진전문 인력양성 문제를 꼽았다.
정인숙 부산대 간호대 교수는 “협진 코디네이터가 협진환자의 치료상태 확인, 추억관리, 통계 및 환자관리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자는 자”라고 소개하고 전체 병원중 응답한 14개 병원의 간호사·코디네이터 28명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를 보면 협진유형으로는 상호 환자를 컨설팅하는 형식이 가장 많았고(32.1%) 질환별 센터형식이나 함께 환자를 보며 진단·치료를 상의하는 형식이라는 답변도 각각 25%를 차지했다. 특히 이들이 기여하는 영역으로는 ‘환자의 이용편리성’, ‘환자에 대한 설명력’ 에 가장 큰 점수를, ‘한의사와 의사의 진단·치료상 의견상충 조율’에 가장 낮은 점수를 줘 기존의 역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협진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27%에 불과하며 협회차원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희망했다.
인력부족, 역할 불분명, 양방의사의 비협조·인식부족 등을 애로사랑으로 꼽았으며 협진코디네이터 활성화 를 위해서는 ’역할 및 업무규정의 명확화(81.5%)’, ‘교육과정 확립(75%)’ 등이 가장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분석 결과는 한의사·의사의 입장이 아니라 협진을 지원하는 간호사나 코디네이터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로써 보다 객관적인 답변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의미있게 보여진다.
한편 부산대 한의전은 오는 9월 협진연구와 관련한 중간보고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지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