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와 일치되는 연구 안 되나?
상태바
진료와 일치되는 연구 안 되나?
  • 승인 2009.05.01 14: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지난 5년간 한의대에서 연 평균 박사 100편, 석사 200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됐다는 것은 적은 수치가 아니다. 여기에 대학과 정부가 발주해 이루어지는 연구까지 합치면, 양으로는 한의학이 발전하기 위한 인프라가 어느 정도 구축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비하하자는 건 아니다. 나름대로 많은 고민과 시간을 투자해 만들어 낸 작품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이 임상실제에서 얼마나 도움을 주었는지를 물으면 부정적인 응답이 더 많을 것이라는 건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이미 수 천년 전부터 내려와 임상에서 확인된 것을, 거꾸로 동물에게 투약해 뻔한 결과가 나온 것을 자랑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니 당연히 현실과는 거리가 먼 ‘연구를 위한 연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는 낭비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산업화를 주장하는 정부나 기업에서는 새로운 한약제제, 신약의 개발이 목적이다. 이미 개별 한약재가 어떠한 효능·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잘 아는 상황에서 특정성분을 추출하거나 합성해 상품을 개발하려는 기술은 한의사들의 현실을 도외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연구결과가 응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의계의 요구는 일선 한의사가 느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한의대는 결과물을 만들어야 내야 한다는 것이다.

한의약 연구는 한의학적 이론을 현대화 또는 객관화해 재현성이 확보된 근거중심의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그래서 교육·연구·진료의 내용이 일치해야 하고 당연히 연구결과물이 진료에 이용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거리가 먼 게 한의계 연구의 현실이다.

한의학의 특성상 새로운 것을 개발하거나 현대화하는 연구가 금방 이루어지기 어렵다면 한의학을 대중들에게 알릴 수 있는 연구결과라도 내놓으라는 것이다. 조금만 노력하면 특정질환에 대한 한방의료의 효과를 데이터화해서 연구논문으로 발표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의학이 대중들에게 알려지고, 임상가에서 시도될 때 대학은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이런 조건이 갖춰지면 한의학 발전을 위한 장기 프로젝트와 살아 숨 쉬는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