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패러다임, 그리고 21세기의 고민(9)
상태바
한의학, 패러다임, 그리고 21세기의 고민(9)
  • 승인 2008.05.14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완수

박완수

contributor@http://


■ 패러다임의 변환(중) ■

지난 회의 지택림(地澤臨)괘에서 두 번째 효(爻)에 이어 세 번째 효도 음효(陰爻)에서 양효(陽爻)로 변하게 되면 곧 택(澤)이 천(天)으로 바뀌면서 이름하여 지천태(地天泰)괘로 됩니다.
이 지천태괘에 대하여 문왕(文王)은 괘사(卦辭)에 이르기를 ‘태라는 것은 적게 가고 크게 오는 것이니 길하고 형통한 것이라(泰는 小往코 大來하니 吉하야 亨하니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공자님은 이 괘사를 해석하여(곧 彖辭가 됩니다)
‘이 괘사가 의미하는 것은 곧 하늘과 땅이 사귀어 만물이 통하고 아래와 위가 소통하여 그 뜻이 같아지는 것이라. 양이 안에 있고 음이 밖에 있으며 굳셈이 안에 있고 순함이 바깥에 있으며 군자가 안에 있고 소인이 바깥에 있는 것이니 군자의 도는 자랄 것이며 소인의 도는 꺼질 것이라.
(彖曰 泰小往大來吉亨은 則是天地 交而萬物이 通也 上下交 而其志 同也라. 內陽而外陰하며 內健而外順하며 內君子而外小人하니 君子道 長하고 小人道 消也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이 괘의 상(象)을 보고 덧붙이기를(곧 象辭가 됩니다),
‘하늘과 땅이 사귀는 것이 태(泰)이니 임금(后)이 이로써 천지의 도를 쌓아 이루며 천지의 마땅함을 보상해서 백성들을 돌보는 것이라.
(象曰 天地交 泰니 后以하야 財成天地之道하며 輔相天地之宜하야 以左右民하나니라.)’고 하였습니다.
즉 음양이 서로 사귀고 천지가 서로 소통하여 만물이 화창한 것처럼 나라의 사람들이 위·아래가 서로 소통이 잘 되고 기의 교환(협력)이 잘 되는 상태이어야 뜻이 같아지고 태평함이 온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아래가 사귀게 돼서 그 뜻이 같아짐이라(上下交而 其志 同也라)’하는 말은 정치에서뿐 만아니라 인체의 건강을 생각함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는 이치일 것입니다. 한의학에서 ‘울(鬱)’이라고 하는 것은 이른바 기의 소통이 잘 안돼서 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울(氣鬱 혹 氣울)’이라고도 합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소통이 안 되는가를 생각해보면 대표적인 것이 자신의 마음이 원하는 것(心願)과 그에 따르지 못하는 자신이 처한 현실일 것입니다.

프로이트(Sigmund Freud : 1856~1939, 정신분석학을 수립한 오스트리아의 의학자)는 인간이 어렸을 때부터 겪게 되는 이러한 욕망(특히 성적 욕망)에 대한 억압이 정신병의 중요한 기전임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즉 인간은 성장하면서 개인적으로는 ‘자신의 마음이 원하는 것(욕망)’이 끊임없이 생기게 되는 데 이러한 욕망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금지된다든지, 혹은 자신이 처한 여건의 부족으로 인해 충족되지 못하면 그 욕망을 억압·억제하고 때로는 아예 망각(그러나 잠재의식 속에는 남아 있게 되는)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한의학의 칠정울결(七情鬱結)도 이러한 인체 내 기의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변증(辨證)의 하나입니다.
칠정(七情)이라 함은 ‘희노우사비공경(喜怒憂思悲恐驚) 즉 기쁘고, 화나고, 걱정하고, 생각이 많고, 슬퍼하고, 두려워하고, 놀라는 것’을 말함이며 이러한 감정의 발생이 제대로 해소되지 못하는 것이 곧 ‘울결(鬱結)’된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정의 발생’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발생된 감정을 어떻게 잘 ‘해소(解消)’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곧 ‘칠정울결’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프로이트는 꿈을 통해서 욕망의 억압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 그것을 ‘확인’하며 ‘인정’할 것을 우리들에게 요구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한의학에서는 칠정울결로 인해 간(肝)의 소통(疏通; 疏泄)하는 역할이 불완전하게 되어 간기울결(肝氣鬱結)이나 간울화화(肝鬱化火)의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즉 간화상염(肝火上炎)의 병증이 되는 것이니 이른바 화병(火病)의 한 종류로도 되는 것입니다.
‘울화가 치민다’는 말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히스테리, 조울증, 우울증 등’의 정신병에서도 이러한 ‘기의 정체, 울체, 소통되지 못함’이 중요한 병리 기전이 될 수 있습니다.

인간이 자신의 욕망이 억압되었을 때 가질 수 있는 자세는 몇 가지로 나뉩니다. 어렸을 때는 대부분 억압된 그 상태로 망각하거나 이른바 ‘잠재의식’ 속으로 밀어 넣어두게 되지만 성인이 되어서는 잠시 참고 있다가 다른 방면으로 폭발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술을 많이 마시게 되면 나오는 행동이라든지, 괜히 다른 사람에게 화를 많이 낸다든지, 아니면 때로는 이유 없는 폭행도 저지르게 되는 것입니다. 가장 추천되는 방식은 그 ‘억압된 상황’을 스스로 ‘긍정’하면서 풀어 없애는 것입니다.

즉 단순히 ‘묻어 두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러한 일이 발생하는 가를 곰곰이 생각해보면서 떠오르는 욕망을 식히든가 아니면 스스로 거두어들일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욕망을 인정하고 스스로 해법을 찾도록 하는 것은 프로이트식 ‘상담요법’과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어찌됐든 ‘기의 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마음도 광활해 질 수 있을 것입니다. 곧 ‘커지는 것-태(泰)’입니다. 하늘과 땅이 교감하듯이 우리 몸 안에서도 ‘상하내외(上下內外)’, 기의 교감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격주 연재>

朴完洙(경원대 한의대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